[include(틀:다른 뜻1, from=R1, other1=야마하 슈퍼스포츠 바이크, rd1=야마하 YZF-R1)]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학 서열화/외국/미국, top2=대학입시/미국)] [include(틀:대학평가)] [include(틀:영미권의 교육 및 유학)] [목차] == 개요 == [[파일:hiRes_CC_logo_v4.jpg|width=200]] {{{+1 Carnegie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clearfix] * [[https://carnegieclassifications.acenet.edu/|공식 웹사이트]] '''카네기 분류'''는 [[미국]]의 [[대학교]]들을 유형 및 교육 수준에 따라 평가하는 표준 평가 체계이다. 1970년 카네기 재단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14년부터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관리하고 있다. 첫 평가 기준은 1973년에 발표되었고, 이후 1976년, 1987년, 1994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18년에 개정판이 발표되었다. 평가 결과는 매년 1월 말에 나온다. 2021년의 분류가 최신이며, 이 분류에 version1부터 version10까지 조금씩의 수정이 있었고, 대대적인 새 분류는 2025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https://carnegieclassifications.acenet.edu/carnegie-classification/]]] == 평가 기준 == 대학의 교육 방식에 따라 유형을 나눈 뒤, [[박사]] 학위가 있는 종합대학의 경우 각 유형 내에서 제공되는 학위 프로그램, 교육 환경 및 학문 수준, 연구 규모 및 성과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좋은 순서대로 R1, R2, D/PU의 형태로 각 대학의 등급을 나누는 방식으로 평가한다. 근거 자료는 IPEDS, [[칼리지 보드]] 등에서 수집한다. 각종 공식 기관들에게 공인되는 만큼 그 분류 기준이 상당히 엄격하다. 5000여개의 대학 중 150여개 만이 R1에 속할 정도로 선별적이며, 2016년 [[아이비 리그]] 소속 명문 사립대학인 [[다트머스 대학교]]조차도 R1에서 R2로 일시적으로 강등되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모교로 알려진 [[로체스터 공과대학교]] 역시 R2에 속해 있을 정도이니 그 기준이 매우 까다롭다. 2015년에는 명문사립 [[조지타운 대학교]]가, 2016년에는 명문사립 [[보스턴 칼리지]]도 R1에 합류하였다. 2018년 [[Apple]] CEO [[팀 쿡]]의 모교로 알려진 [[오번 대학교]]도 R1으로 승격되었다. === 기본 분류 === '''기본 분류(Basic Classification)'''는 카네기 분류가 처음 생겼을 때부터 있던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다. 아래는 2018년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서술한 것. * 최신 버전인 2021년 분류에서 조금 바뀌었다. [[https://carnegieclassifications.acenet.edu/carnegie-classification/classification-methodology/basic-classification/|2021년 BASIC CLASSIFICATION]] *“Tribal Colleges” -> “Tribal Colleges and Universities”로 변경. *“Special Focus Research Institution” 생성. ''리서치 대학교'' 기준을 만족하지만, 한정된 분야의 학위만 수여하는 기관들. 예를 들면, [[록펠러 대학교]], 베일러 의과대학,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가 이 카테고리에 속한다. --주로 의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작 "Medical Schools & Centers" 카테고리가 또 있다.-- *“Engineering Schools” + “Other Technology-Related Schools” -> “Engineering and Other Technology-Related Schools”로 변경. ==== [[박사]] 학위 수여 ====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Doctoral Universities)은 아래 기준 중 하나를 만족하는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 > * 2016-17학년도 동안 20개 이상의 연구/장학 분야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 * 2016-17학년도 동안 2개 이상 프로그램에서 30가지 이상의 전문직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단, 특수목적교육기관(Special Focus Institution)[*S 특정 분야만 다루는 [[전문대학]].]이나 부족대학(Tribal College)[*T 특정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은 제외한다. 이 중 2016-17학년도 동안 최소 5백만 [[미국 달러]]의 연구비를 사용한 대학들은 연구 활동이 얼마나 활발했는가에 따라 '''R1'''(연구 활동이 매우 활발한 대학)과 '''R2'''(연구 활동이 활발한 대학)으로 나뉜다. 나머지는 일반적인 '''D/PU'''(박사/전문직 대학)으로 분류된다. ==== [[석사]] 학위 수여 ==== [[석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Master's Colleges and Universities)은 위의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Doctoral Universities) 기준에는 못 미치지만 2016-17학년도 동안 50개 이상의 [[석사]] 학위를 수여한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 단, 특수목적교육기관(Special Focus Institution)[*S]이나 부족대학(Tribal College)[*T ]은 제외한다. 이 중 2016-17학년도 동안 200개 이상의 [[석사]] 학위를 수여한 곳은 '''M1'''(큰 프로그램), 100~199개를 수여한 곳은 '''M2'''(중간 크기 프로그램), 50~99개를 수여한 곳은 '''M3'''(작은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다만 석사 학위를 50개 미만 수여했어도 [[학사]] 학위보다 석사 학위를 많이 수여했으면 M3로 분류된다. ==== [[학사]] 학위 수여 ====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Baccalaureate Colleges)은 [[학사]] 이상 학위가 모든 학위의 50% 이상을 차지하지만 2016-17학년도 동안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 기준 및 석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 단, 특수목적교육기관(Special Focus Institution)[*S]이나 부족대학(Tribal College)[*T]은 제외하며, M3로 분류된 대학들은 이 쪽으로 재분류되기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전교생 수가 4,000명 미만이다. > * 규모 및 환경 분류에서 Highly residential(전교생의 반 이상이 [[기숙사]] 생활, 80% 이상이 주간대학생) 기준을 충족한다. > * 아래 두 기준 중 하나를 만족한다. > * 재학생 구성 분류에서 High undergraduate(주간대학생 중 76% 이상이 학부생)을, 학부 교육 방식 분류에서 No graduate coexistence([[학사]] 학위 분야에서 석박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음) 혹은 Some graduate coexistence([[학사]] 학위 분야의 50% 미만에서만 석박사 학위를 수여) 기준을 충족한다. > * 재학생 구성 분류에서 Majority undergraduate(주간대학생 중 50% 이상이 학부생)을, 학부 교육 방식 분류에서 No graduate coexistence([[학사]] 학위 분야에서 석박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음) 이 중 [[문리과대학]] 분야 학위가 반 이상을 차지하는 곳은 '''Arts & Science Focus''', 나머지는 '''Diverse Fields'''로 분류된다. ==== [[학사]]와 [[전문학사]] 학위 수여 ==== [[학사]]와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Baccalaureate/Associate's Colleges)은 [[전문학사]] 학위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 단, 특수목적교육기관(Special Focus Institution)[*S]이나 부족대학(Tribal College)[*T ] 혹은 석박사 학위를 충분히 수여하여 R1, R2, D/PU, M1, M2, M3에 속한 [[대학]]은 제외한다. 이 중 [[전문학사]] 학위가 90% 미만인 대학은 '''Mixed Baccalaureate/Associate's Colleges'''(학사/전문학사 혼합), 나머지는 '''Associate's Dominant'''(전문학사 우세)로 분류한다. ==== [[전문학사]] 학위 수여 ==== [[전문학사]] 학위만 수여하는 [[대학]](Associate's Colleges)은 목적과 학위 취득 희망 학생 비율에 따라 각각 3가지로 나뉜다. 목적에 따라서는 [[편입학]](transfer), [[취직]](career & technical), 편입학/취직 혼합(mixed)으로, 학위 취득 희망 학생 비율에 따라서는 전통적(traditional), 비전통적(nontraditional), 혼합(mixed)으로 나뉜다. ==== 특수목적교육기관 ==== 특수목적교육기관(Special Focus Institution)은 특정 분야만 다루는 [[전문대학]]을 가리킨다. * '''2년제''' * [[보건대학]] * [[기술대학]] * [[예술대학]] * 기타 * '''4년제''' * [[종교대학]] 및 [[신학대학]] *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 기타 보건 계열 * [[공과대학]] * 기타 기술 계열 * [[예술대학]] 및 [[음악대학]] * [[로스쿨(미국)|법학전문대학원]] * 기타 특수목적교육기관 ==== 부족대학 ==== 부족대학(Tribal College)은 특정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 === 기타 === 이 외에 학부 교육 방식, 대학원 교육 방식, 재학생 구성, 학부생 구성, 규모 및 환경에 따른 분류도 발표한다. == 영향력 == > An important reference for understanding how U.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compare to one another is the Carnegie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 [[https://educationusa.state.gov/foreign-institutions-and-governments/understanding-us-higher-education|미국 국무부 웹사이트]] 실제로 카네기 분류는 [[미국 국무부]], [[풀브라이트 장학금]], [[교육부#s-2.2]] 등에서 공식적으로 유일하게 인정받고 인용되고 있다. 또한 각 대학들이, 홍보 차원에서라면 몰라도 실제 대학 경영 차원에서 [[U.S. 뉴스 & 월드 리포트]]와 같은 상업적 대학순위에는 크게 중점을 두지는 않지만, 카네기 분류 R1에 속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기를 써서 노력하는데, 결국에는 이를 근거로 정부지원 정책, 발전기금, 연구 지원비 등 각종 펀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Most college-bound teenagers and their parents never look at U.S. News and World Report’s college rankings, which is actually a healthy thing. > [[https://thecollegesolution.com/15-reasons-to-ignore-u-s-news-world-reports-college-rankings/|15 reasons to ignore U.S. News & World Report’s college rankings]] > U.S. News changed the way it ranks colleges. It’s still ridiculous. > [[https://www.washingtonpost.com/education/2018/09/12/us-news-changed-way-it-ranks-colleges-its-still-ridiculous/|The Washington Post]] > The US News rankings are terrible for students. Why don't colleges stop them? > [[https://www.vox.com/2014/9/5/6106807/college-rankings-us-news-boston-clemson-problems|Vox]] > 'Best schools' rankings are meaningless — and harmful, critic says > [[https://www.npr.org/2021/10/16/1046779479/best-schools-rankings-are-meaningless-and-harmful-critic-says|NPR]] > College rankings have made school less affordable, less equitable, and more miserable for students. The pandemic exposed just how broken the system is. > [[https://www.businessinsider.com/why-college-rankings-are-bad-for-students-2021-7|Business Insider]]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3312-2|''Nature'']]에서부터 [[https://www.reed.edu/reed-magazine/articles/2021/rankings-gladwell-usnews.html|말콤 글래드웰]], 워싱턴 포스트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전문가들 사이에서 강하게 비판을 받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는 평가 기준과 그 효용성으로 인해 비판을 받는 데에 반해, 카네기 분류 대학 연구실에서 [[교육학]] 연구를 위해 만든 분류 체계이기 때문에 객관성이 더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도 그럴 것이 [[U.S. 뉴스 & 월드 리포트]]는 원래 가전제품 등 각종 순위를 매기던 잡지사였는데, 1970년 카네기 분류가 시작된 이래 10여년 후인 1980년대에 갑자기 이를 차용하고 주관적으로 곡해하기 시작하면서 소위 [[대학평가]]라는 것을 ''잡지 판매전략''으로 삼아 미국 내에서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 한계 == 다만 카네기 분류의 R1, R2는 '''연구의 질'''을 위주로 평가하기 때문에, '''학부 교육의 질'''과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할 것. 예를 들어 대부분 [[리버럴 아츠 칼리지]]는 [[대학원]]이 없거나 매우 작다는 특성 상 아무리 교육 수준이 훌륭해도 R1에 등재될 수가 없다. 또한 카네기 분류에 포함된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Doctoral Universities) 중 R1에 속하는 대학은 31%에 달한다. 이는 일견 R1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중상위권 이상급"이지 "최상위권"이라고 말하기에는 어폐가 있다고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인식은 "카네기 분류에 의한 평가 대상이 되는 대학들 중"에서 그렇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박사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들의 수 자체가 그렇지 않은 학교보다 워낙 적은 데다가,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들 중에서도 아예 카네기 분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카네기 분류 R1에 해당하는 대학들의 수치적 희소성은 무시할 수준은 아니다. 따라서 미국 내에서도 R1에 해당해야 어느 정도 공신력 있는 수준급 '''연구중심대학'''이라고 인식된다. 그래서 R1 대학들은 실제로 최상위 연구기관이라고 홍보하고는 한다. 따라서 여러 랭킹들 중 [[대학원생]]이나 [[포닥]], [[연구원]], [[교수]]들에게는 가장 실질적으로 중요한 지표[* 펀딩을 따 와야 하므로]라고 할수 있으나 학부생이나 학부 유학생들에게는 덜 와닿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유학생의 경우 대부분 규모도 어느 정도 있고 주를 대표하는 대학들 또는 이공계 및 상경계 쪽으로 가는 경우가 많기에 카네기 분류를 학문적인 가이드 라인으로 참고해도 대체로 무방하다. 게다가 플래그십 대학이나 이름을 알만한 대학들은 이미 R1 대학이다. 우리가 모르는 R1도 많은 편이다. 중요한 것은 소위 절대적인 "랭킹"이라는 것은 원래 없고, '''개인의 성향과 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 R1 구성원 == [include(틀:카네기 분류 R1)] 2020년 조사 결과 기준 각 구성원들의 위치. 2021년 기준 5000여개의 대학 중 146개가 R1에, 133개가 R2에, 187개가 D/PU에 속해 있다. 즉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연구중심대학 중 대략 상위 31% 정도가 R1에 속해 있다는 뜻. [[파일:CCIHE.jpg]] [[https://carnegieclassifications.acenet.edu/institutions/?basic2021__du%5B%5D=15|상세 리스트 참조]] == R2 구성원 == [include(틀:카네기 분류 R2)] R2로 분류되는 대학들 중에서도 명문대가 상당수 포함되는데 이는 상기 [[카네기 분류#s-4|항목 4]]에서도 언급되었듯 명문이더라도 대학마다 학부와 대학원, 수업 및 연구에 대한 상대적인 포커스가 다른 데서 기인한다. [[아이비 리그#뉴 아이비|뉴 아이비]], [[아이비 리그#히든 아이비|히든 아이비]], [[아이비 리그#남부 아이비|남부 아이비]], [[아이비 리그#흑인 아이비|흑인 아이비]] 등으로 분류되는 메이저 대학들이 상당수 포함된다. [[윌리엄 & 메리 대학교]],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클레어몬트 대학교]], [[리하이 대학교]],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 [[빌라노바 대학교]], [[하워드 대학교]] 등이 대표적. 이 밖에도 [[브리검 영 대학교]], 애크런 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다수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캠퍼스 등 굵직한 대학교들 역시 R2에 다수 포함되어 있다. [[파일:r2_univ_h.png ]] [[https://carnegieclassifications.acenet.edu/institutions/?basic2021__du%5B%5D=16|상세 리스트 참조]] == 관련 문서 == * [[대학평가]]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 [[대학 서열화/외국/미국]] * [[U.S. 뉴스 & 월드 리포트]] * [[미국 대학 협회]] * [[대학 연구 협회]] * [[대학입시/미국]] * [[주립대학]] * [[리버럴 아츠 칼리지]] [[분류:미국의 대학군]][[분류:대학평가]][[분류:인디애나 대학교 시스템]][[분류:197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