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카네기 멜런 대학교]] ||<#fff>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1C2E, #B01C2E)" {{{#!wiki style="margin: -8px;" || {{{#!wiki style="margin: -7px 0" [[파일:카네기 멜런 대학교 반투명 문장.png|width=60]]}}}||{{{#!wiki style="margin: -7px 0" [[카네기 멜런 대학교|{{{-1 {{{#!html 카네기 멜런 대학교}}}}}}]][br]{{{-1 {{{#!html 관련 틀}}}}}}}}} ||}}}}}} || ||<#fff,#191919>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미국 대학 협회)] [include(틀:대학 연구 협회)] [include(틀:카네기 분류 R1)] [include(틀:글로벌대학리더포럼)] [include(틀:세계국제관계대학연합)] [include(틀:Global Alliance of Technological Universities 소속 대학)] [include(틀: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의 대학)] [include(틀:JUMP 2.0 참여대학)] }}}}}} || ||<-2><#B01C2E>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1C2E, #B01C2E)" {{{+3 '''{{{#!html Carnegie Mellon University}}}'''}}}[br]{{{#fff '''카네기 멜런 대학교'''}}}}}} || ||<-2> [[파일:카네기 멜런 대학교 문장.svg|width=70%]] || ||<-2> '''{{{#white 대학 정보}}}''' || || '''{{{#white 표어}}}''' ||'''My heart is in the work'''[* 설립자인 [[앤드루 카네기]]의 말이다.][br] ('''내가 하는 일에 내 모든 것이 들어가 있다''') || || '''{{{#white 개교}}}''' ||[[1900년]] 11월 15일 ^^{{{-1 123주년}}}^^ || || '''{{{#white 종류}}}''' ||[[사립대학]] || || '''{{{#white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white 소재지}}}''' ||[[펜실베이니아|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2 (5000 Forbes Ave, Pittsburgh, PA 15213, US)}}} || || '''{{{#white 설립자}}}''' ||[[앤드루 카네기]] || || '''{{{#white 총장}}}''' ||Farnam Jahanian || || '''{{{#white 발전기금}}}''' ||$3.8 billion {{{-2 (2022년)}}} || || '''{{{#white 학생 수}}}''' ||학부 : 7,308명 {{{-2 (2021년)}}}[br]대학원 : 8,393명 {{{-2 (2021년)}}} || || '''{{{#white 교직원 수}}}''' ||1,483명 {{{-2 (2020년)}}} || || '''{{{#white 합격률}}}''' ||14% {{{-2 (2023년)}}} || || '''{{{#white 상징색[* [[https://www.cmu.edu/brand/brand-guidelines/web.html|The CMU Brand Guidelines]] 참고]}}}''' ||{{{#!wiki style="text-align:left; margin:0 auto; display:inline"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B01C2E; font-size: .8em" {{{#fff  CMU Red (#BB0000) }}}}}}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E0E0E0; font-size: .8em" {{{#191919  CMU Gray (#E0E0E0) }}}}}}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666666; font-size: .8em" {{{#fff  CMU Dark Gray (#666666) }}}}}} }}}}}}}}} || || '''{{{#white 마스코트}}}''' ||Scotty the Scottish Terrier || ||<|2> '''{{{#white 링크}}}''' ||[[https://www.cmu.edu/|[[파일:CMU 원형 아이콘.png|width=23]] {{{#BB0000,#white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linkedin.com/school/carnegie-mellon-university/|[[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carnegiemellon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carnegiemell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arnegieMellon,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arnegieMellon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Carnegie Mellon University, 너비=100%, 높이=100%)]}}} || ||<-2> '''{{{#white 위치}}}''' || || [[파일:카네기 멜런 대학교 로고.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a7lYAlRct4)]}}} || || {{{#ffffff '''Make Possible'''}}} || [목차] [clearfix] == 개요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MU campus drone view.jpg|width=100%]]}}} || || {{{#ffffff '''카네기 멜런 대학교'''}}}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시에 위치한 '''사립 연구중심 종합대학'''으로, 국제적으로 공인된 [[카네기 분류]]에 의거하여 미국 내 최상위 연구중심 대학 '''Carnegie Tier 1 (R1)'''이다. 흔히 약칭인 ‘CMU’ 또는 '카네기 멜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다양한 평가들과 종합 랭킹들이 있지만 [[U.S. 뉴스 & 월드 리포트]]에 따르면 ''2024 Natioanl Universities''에서 24위[* [[https://www.usnews.com/best-colleges/rankings/national-universities]]] [[https://www.forbes.com/colleges/carnegie-mellon-university/?sh=fd4a63d560e3|Forbes]]에 따르면 ''Top Colleges''에서 49위를 기록 중이며, 세부 랭킹으로는 Computer Science, Computer Engineering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미국의 학교이다. 연구 중심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2022년 기준 공과대(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 전기컴퓨터공학대(College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예술대(College of Fine Arts), 인문사회과학대(Dietrich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정보시스템 & 공공정책대(Heinz College of Information System and Public Policy)[* 1968년 도시 및 공공정책대학으로 설립되었다. Heinz가 우리가 아는 케첩 하인즈 맞다], 자연과학대(Mellon College of Science), [[정보대학]](School of Computer Science), 테퍼 경영대(Tepper School of Business) 등 7개 단과대학에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개설 학과로는 정보시스템학과, 예술경영학과, 공공정책 경영학과, 정보기술학과, 인터랙션 디자인과, HCI, 엔터테인먼트 공학과[* Entertainment Technology Center. [[MIT]] 미디어 랩과 더불어 예술과 기술의 융합학문에서는 전세계적인 롤모델이 되는 과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서강대]], [[카이스트]] 등이 이 학과를 모델로 한 전공을 운영 중이다.] 등 [[학제간 연구]][* Interdisciplinary: 어떤 대상을 연구할 때 서로 다른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제휴하여 참여하는 연구]를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으며, 철학과, 영문과, 화공과, 기계공학과 등의 클래식한 과들도 카네기 멜런 특유의 학제간 연구와 실용적 응용을 통해 특성화, 차별화를 이루어내고 있다. 취업 지원 및 창업 교육이 뛰어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부 많이 시키는 분위기인 카네기 멜런 대학은 "타인과의 협력, 자기 자신과의 경쟁"을 모토로 삼고 있다. 학교의 상징색은 {{{#!html 진홍색(cardinal red)}}}과 {{{#!html 진회색}}}. 학교의 상징물은 스코티시 도그[* 현재 대학에 세마리가 마스코트 겸 낮에 산책나오러 돌아다닌다. 발발거리면서 돌아다니는게 귀엽긴 한데 학생들은 신경쓸 시간조차 없이 그냥 지나친다. 예비학생들은 귀엽다면서 환장하긴 한다만... --와봐 이것들아 신경쓸 시간이라도 있나--]와 [[엉겅퀴]]. 학교 문장의 가운데에 있는 문양이 엉겅퀴다. 피츠버그 도심에서 4.8km 떨어진 캠퍼스는 셴리공원(Schenley Park)[* 카네기 멜런의 뒤뜰격으로서, 이곳의 Phipps Conservertory에서 G20가 개최되었다] 과 스퀴럴힐·섀디사이드·오클랜드 사이에 있고 서쪽으로 [[피츠버그 대학교]]와 맞닿아 있다. 부설시설로 도서관, 멜런연구소, 피츠버그슈퍼컴퓨팅센터, 로보틱스센터, 소프트웨어기술연구소, 휴먼컴퓨터인터랙션연구소, 언어기술연구소 등이 있다. 국제 교류에도 관심을 가져 [[캘리포니아]]의 [[실리콘 밸리]], [[카타르]]의 [[도하]], [[일본]]의 [[고베]], [[그리스]]의 [[아테네]] 등에 분교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 역사 == 1900년 영국 스코틀랜드 태생의 실업가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가 노동자 계층 자녀들을 위한 직업훈련학교 설립을 위해 기증한 100만 달러와 [[피츠버그]]시가 내놓은 토지를 바탕으로 설립하였으며, 1900년 ‘카네기 공업학교(Carnegie Technical Schools)’로 개교하였다. 대학 문장의 스코틀랜드적인 무늬와 대학의 상징인 엉겅퀴[* 스코틀랜드의 국화], 마스코트 스코티시 독, 그리고 백파이프 연주 전통 등이 설립자 카네기의 스코틀랜드 헤리티지와 연관이 있다. 개교 약 12년 뒤인 1912년 피츠버그시에서 정식 인가를 받음으로써 '카네기 공과대학(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이 되었고 이와 함께 4년제 학위 과정을 시작하였다. 그 후 발전을 거듭해오다가 1967년 멜런 연구소(Mellon Institute of Industrial Research)[* 걸프 석유회사(Gulf Oil)의 창립자인 앤드루 멜런과 동생 리처드 B. 멜런이 설립했다. 멜런 가문은 당대 록펠러, 케네디, 모건, 벤더빌트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미국의 대부호 가문들 중 하나였다.]와 통합해 종합대학인 [[카네기 멜런 대학교]]가 탄생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는 법대나 [[의대]]가 없으면 명문대 반열에 오르기가 어렵다. 그러나 1972년 취임한 리처드 M 사이어트(1972∼90년 재임) 총장은 의대, 법대는 이미 초일류가 즐비하기 때문에, 후발 대학으로 이런 분야에 뛰어들어 봐야 2등밖에 안 된다’고 판단하여 컴퓨터 분야, 인지과학, 심리학 분야에 투자하는 '''비교우위 전략'''을 펼쳤다. 그 결과 카네기 멜런 대학은 30여 년 만에 미국 대학 3000여 개 중에서 가장 급격한 발전을 구가하여 컴퓨터 분야에선 최상위권, 공대, 심리학도 상위권에 진입했다. 이렇게 명문대로 급격한 도약이 이뤄진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카네기 멜런 대학교는 미국 명문대학으로 입지를 굳혀 [[U.S. News & World Report]] 순위에서 지속적으로 상위 25위 안에 위치하고 있다. == 특징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MU School of Computer Science.jpg|width=100%]]}}} || || {{{#ffffff '''School of Computer Science'''}}} || 대중들에게 카네기 멜런 대학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명성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법대와 의대를 개설하지 않은 대신 [[정보대학]](School of Computer Science)을 개설하여 컴퓨터 분야, 인지과학, 심리학 분야에 집중투자를 하였는데 그 결과 [[컴퓨터과학]][* Computer Science.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이라는 다른 전공도 존재하는데 한국 대학의 [[전기전자공학과]]에 해당한다.]이 대학 평가 순위에서 지속적으로 [[http://grad-schools.usnews.rankingsandreviews.com/best-graduate-schools/top-science-schools/computer-science-rankings|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공동 1위는 [[MIT]], [[스탠포드 대학교]], [[UC 버클리]]다.] 컴퓨터 공학 (Computer Engineering) 은 전기 공학과 함께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학과로 묶여있으며, 카네기공과대학 (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 소속이다. 최근 2018년 순위 발표에서 [[MIT]], [[스탠포드 대학교]], [[UC 버클리]] 등 경쟁 학교들을 제치고 당당하게 Computer Engineering 분야 [[https://www.usnews.com/best-colleges/rankings/engineering-doctorate-computer|1등을 차지]]하였다. 2021년 순위 발표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 [[https://www.usnews.com/best-colleges/rankings/engineering-doctorate-computer|링크]] 심리학 분야도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 외에도 경영학 분야(MBA, 금융공학, 행동경제학, E-커머스 등)와 예술 분야(디자인[* 2012년 USNEWS Visual Communication(video production, interactive design) 분야에서 1위를 기록했다. [[http://grad-schools.usnews.rankingsandreviews.com/best-graduate-schools/top-fine-arts-schools/multimedia-visual-communications-rankings/|USNEWS]] ], 음악, 건축, 무대예술 등)의 대학원이 언제나 미국 5위권 내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활발한 다학제간 협력을 통해 컴퓨터+경영, 컴퓨터+예술, 경영+예술 등으로 특화된 과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드라마 스쿨(School of Drama) 또한 전국구급 명성을 자랑하며 미국 최초의 학위 과정의 드라마 스쿨이다. 수십명의 토니 상과 아카데미 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2015년 기준으로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중인 작품들의 메이저 멤버들 중 카네기 멜런 출신이 4번째로 많았다.[[https://web.archive.org/web/20151217190048/http://www.playbill.com/news/article/broadways-big-10-top-colleges-currently-represented-on-currently-running-shows-358495|##]] 특산물은 [[로봇]]. 학생들의 축제로 열리는 로봇 차량 달리기 경주인 모봇(Mobot: Mobile Robot), 밀차 경주대회인 버기(Buggy)가 유명하다. 매년 전미 로봇 대회에 출전하여 MIT와 1,2위를 다툰다. Human-Computer Interaction 건물에 들어가면 남성 로봇 리셉셔니서트가 말을 걸고[* 다른 캠퍼스에는 성별이 다르다고 한다. 10년쯤 전에는 뉴월 사이먼의 로봇 리셉셔니스트가 여성이었던 시절이 있음. 아마도 그 개체를 다른 캠퍼스에 파견한 듯?], [[빌 게이츠]]가 지어준 게이츠 빌딩에 앉아 공부를 하고 있으면 실험용 로봇이 굴러다닌다. 길을 잃고 헤매다 막다른 방에 도착하면 그곳에도 로봇이 있다. 지하 격납고 창을 통해 거대한 뭔가가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일 때도 있다. 가끔 새벽에 공부하다 Hamerschlag나 Wean Hall 쪽에 앉아있다보면 웅웅거리면서 기계 굴러다니는 소리가 나는데 왠지 호러스럽다. 한 때 [[인천 글로벌 캠퍼스]]에도 들어온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인하대학교]] 슈퍼지능기술연구소(SITC)와 카네기 멜런 대학교 로봇공학센터가 송도지식산업복합단지 내 로봇 분야 연구소를 설립하기위한 MOU를 체결했다. == 학사제도 == 미국 대학생 사이에선 이곳 학생들은 결코 잠을 자지 않는다는 농담이 널리 퍼져 있다. 학사 관리가 엄격하기로 유명하며 교과 과정은 학생들의 한계를 시험하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덕분에 학생들은 항상 최선을 다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도록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다. 당연히(?) 수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은 항상 좌절한다. 수업 조교들의 경우 예전에 동일한 과목을 수강했던 사람이 맡기 때문에 학생이 요구하면 언제든지 개인지도를 해준다. 워낙 빡세기로 악명높기 때문에 수많은 학생들이 좌절에 좌절을 거듭하다 결국 [[자살]]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풍문이 떠도는데 "명문대=엄청나게 높은 자살률"이라는 속설과는 달리 사실 명문대의 자살률은 전미 평균에 훨씬 못미친다. 미국에서는 [[코넬 대학교]] 다음으로 자살률이 높다는 설이 있는데 이도 사실이 아니다. 대부분의 유명한 대학들이 학생들끼리 서로 치열한 경쟁을 시키는 반면에 카네기 멜런 대학교는 자기 자신과 경쟁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학생들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고,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내야 한다. 다만 대부분의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지천에 있으니 학교 생활이 힘들 때는 반드시 Academic Development Center 나 Student Counseling 에 문의를 하도록 하자. 말 한마디 할 곳 없어 끙끙 앓는 학생들은 국적/나이 불문하고 존재하는데, 이곳에 꾸준히 컨택을 요청하면 정말 친절하고 도움이 된다. 아래는 카네기 멜런에 대한 이미지를 압축(풍자)한 딜버트 만화: >[[파일:attachment/카네기 멜론 대학교/DilbertCMU.jpg]] > >"내가 프로젝트 매니저가 된 이후로 아무도 내 전화나 이메일에 답이 없네요." >"다행히도 나는 카네기 멜런 졸업생이라 지구에서 가장 우월한 정신력을 가졌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혼자 다 해버릴 수 있었죠." >"피곤하겠네요?" >"괜찮아요, 나는 공휴일에만 잠을 자도록 교육받았거든요." 이 만화가 카네기 멜런의 학구열을 잘 나타내기는 하지만 이 만화는 합성이고 원본은 IIT([[인도 공과대학교]])에 대한 얘기다. 자세히 보면 2컷의 [[http://www.flickr.com/photos/dcdomain/12331575/|"CMU"만 글씨체가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다.]] == 캠퍼스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negie Mellon University campus map.png|width=100%]]}}} || || {{{#ffffff '''Campus Map'''}}} || 피츠버그에 메인 캠퍼스가 있고, 실리콘 밸리, 카타르 도하, 오스트레일리아, 뉴욕, 아프리카 키갈리에 글로벌 캠퍼스가 있다. == 출신 인물 == * [[닐 드럭만]] - 게임 개발자이자 너티독 대표 * [[조지 A. 로메로]] - 영화감독. * [[마크 프로스트]] - 영화감독, 소설가 * [[허버트 사이먼]]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 [[존 내쉬]] - 게임이론으로 유명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뷰티풀 마인드]]의 실제 주인공 * [[앤디 워홀]] - 팝아트의 선구자 * [[데이비드 테퍼]] - 기업인, 억만장자 * 찰스 게스케 - [[어도비]] 공동창업자 * 마크 어윙 - 레드헷 리눅스로 유명한 [[레드햇]]의 공동창업자 * 짐 레비 - [[액티비전]] 공동창업자 * 랜디 포시 - [[마지막 강의]]로 유명한 카네기 멜런 컴퓨터 과학과 교수 * [[제임스 고슬링]] - [[Java]]의 창시자 * 주디스 레스닉 - 미국 두번째 여성 우주인. [[STS-51-L]] 미션의 챌린저 폭발사고로 사망. * 조나단 보로프스키 - 조각가 * 겔라 내시테일러 - 패션 브랜드 주시 꾸뛰르의 창업자 * [[비노드 코슬라]]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창업자 * 프레디 안쥬레스 - [[iPhone]] 디자이너 * 스테파니 퀄렉 - 케블라 섬유 발명 * [[홀리 헌터]] - 배우 * [[아서 케네디]] - 배우 * [[앨버트 브룩스]] - 배우 * [[에단 호크]] - 배우 * [[밍나 원]] - 배우 * [[재커리 퀸토]] - 배우 * [[조시 개드]] - 배우 * [[패트릭 윌슨]] - 배우 * [[맷 보머]] - 배우 * [[테드 댄슨]] - 배우 * 찰스 E. 윌슨 - [[GM]]의 CEO. 한국전쟁 당시 미 국방부 장관 * [[반 다이크 파크스]] - 음악가, 중퇴 * [[빅토리아 페드레티]] - 배우 * [[데릭 스티븐 프린스]] - 성우 * [[제임스 크롬웰]] - 배우 * [[조지 호츠]] - 17세에 [[아이폰]] 탈옥 및 [[플레이스테이션3]] 해킹으로 이름을 날렸던 해커. 현재는 자율주행 AI 개발 스타트업 회사 콤마닷AI(comma.ai)의 창업자. 3학년 중퇴. * 앤디 백톨샤임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공동 창업자이자 수석 하드웨어 디자이너 * [[맹기완(만화가)|맹기완]] - [[야밤의 공대생 만화]] 작가 * [[서남표]] - 전 [[카이스트]] 총장[* 하지만 본인은 인정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실제로 카네기 멜런 동문회에 한번도 나타난 적이 없으며 어디가서는 항상 본인을 MIT출신이라고 자랑하고 다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서남표 전총장은 카네기 멜런에서는 박사 학위만을 받았을 뿐 학부는 MIT를 나왔기 때문에 그렇게 해도 별로 이상할건 없다.] * 정용석 - [[한국공학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 김정현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 * 문제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스란 [[보건복지부]] 연금정책국 국장 * yaeji(예지) - 음악가 * [[함성득]] -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원장 == 기타 == * 해킹 등에 관한 세계적 인터넷 보안 관련 민간기구인 CERT(유명한 것으로는 [[CAPTCHA]], 뭔지 모른다면 인터넷에서 회원가입시 단어그림 띄우고 단어 입력하게 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와 인터넷 검색엔진 [[라이코스]], [[외국어]] 학습용 [[MOOC]]인 [[듀오링고]]도 CMU 작품이다. * 세계 최초로 [[이모티콘]]이 탄생한 곳이다. :-) 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네기 멜런 대학의 스콧 팔맨 교수가 1982년 9월 19일 오전 11시 44분(...)에 전자게시판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 전세계 최초로 캠퍼스에 와이어리스 네트워크(즉, 와이파이)망을 구축한 학교다. 무려 '''1993년'''의 일로, Wi-Fi라는 용어조차 생기기 전이었다. * Plaid Parliament of Pwning 라는 해킹대회를 쓸어먹는 팀이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만들어졌다. * 양덕과 능덕의 비율이 높다. 수요일마다 UC 건물에서 일어나는 [[철권 시리즈|철권]]이나 [[스파 4]] 매치도 그렇고, [[Warhammer 40,000|워해머 40,000]] 등의 보드게임 동아리나 기타 보드게임 및 [[아니메]] 클럽도 알게모르게 상당수가 존재한다. 게다가 UC 지하 휴게실을 가보면 투다다당 하는 소리와 함께 [[인 더 그루브|ITG]] 를 하는 학생들이... 하지만 워낙 다들 nerdy하므로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다. * "세계에서 페인트칠을 가장 많이 당한 물체"가 있다.[* [[https://www.amusingplanet.com/2014/09/the-fence-of-carnegie-mellon-university.html|이는 사실이 아니다]]. 현재 있는 콘크리트 건축물은 무너진 Fence를 대신하여 1993년에 세워진 물체이다. 세계에서 페인트칠을 가장 많이 당한 물체는 아직도 1993년에 무너진 Fence이며 이 기록을 깨기위해 학생들은 페인트 칠을 계속하고 있다. ] The Fence라는 울타리에 원하는 구호[* 학교에 대한 요구사항, 행사 광고, 시시껄렁한 농담, 반전 구호 등 정치적 메시지, 사랑고백, 요절한 친구를 기리는 문구, 시, 명언 등 다양함. 2019년 3.1절에는 태극기가 그려짐]를 페인트칠하고 옆에 텐트를 쳐서 밤을 새며 수호하는 전통이 있다. [[파일:attachment/CMUthefence.jpg]] *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56&aid=0010131936&date=20150220&type=0&rankingSeq=3&rankingSectionId=104|800여명에게 Computer Science 석사과정 합격통지 메일을 잘못 발송했다가 취소한 전적이 있다.]] ~~베댓에 의해 [[MIT]]와 함께 [[지잡대]] 반열에 들었다.~~ ~~이런 영광이~~ * 2016 Putnam Lowell 수학 경시대회에서 MIT, 프린스턴 등 이공과의 유수의 대학들을 제치고 1위 대학이 되었다. * 4월에 열리는 카니발은 카네기 멜런을 대표하는 행사이며 이 중에서도 백미는 단연코 5명이 한 팀이 되어 벌어지는 ‘버기(Buggy)’ 릴레이다. Sweepstakes라고도 불리는 버기 릴레이는 [[1920년]]에 시작되었으며 카네기 멜런의 역사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버기란 밀어서 움직이는 무동력 탈것으로 각 팀들은 매년 새로운 공학적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선보이며 경기에 대비한다. 한 팀은 차체를 미는 사람(PUSHER)와 운전자(Driver)로 이루어지며 특히 드라이버는 작은 버기안에 들어가야 하고 또한 시속 55킬로미터를 넘나드는 속도를 감당할 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여학생들이며 아담한 동양 여학생들이 특히 인기가 있다. [[https://www.springcarnival.org/img/buggy/slides/buggy5.jpg|##]] [[https://www.springcarnival.org/img/buggy/slides/buggy1.jpg|##]] * 2011년에 사업가 윌리엄 디트리치가 죽기 전에 카네기 멜런에 2억6천5백만 달러(한화 약 3천1백억원)를 기부하였다. 이는 카네기 멜런 역사상 최고 단일기부금이며, 개인이 대학에 기부한 금액으로는 미국 전체에서도 역대 10번째 금액이다(2011년 기준). 이 기부금을 받고 인문사회대학에 디트리치의 이름을 붙여 그를 기렸다. * 2018년 가을 학기부터 미국 대학교 최초로 AI (Artificial Intelligence) 학부 전공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카네기 멜런은 그 외에도 1958년 처음으로 대학교 수준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을 학생들에게 처음 제공하기 시작했고, 박사과정 로봇 프로그램과 머신러닝 부서를 세계 최초로 만드는 등 많은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나아가고 있다.] * 2020년 가을 학기부터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학부 전공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카네기 멜런 School of Computer Science에 합격한 학생은 이제 Computer Science, Computational Biology, Human-Computer Interaction, Language Technologies, Robotics 그리고 Machine Learning 중에 전공을 하나 골라 공부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미국/교육]] * [[Precalculus]] * [[대학입시/미국]] * [[SAT]] * [[ACT(시험)|ACT]] * [[Advanced Placement|AP]] * [[Common Application]]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 [[미국 대학 협회]] * [[대학 연구 협회]] * [[대학 서열화/외국/미국]] * [[카네기 분류]] * [[유학/국가별 정보]] * [[외국 유학 장학금]] * [[NCAA]] * [[글로벌대학리더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