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3> {{{+2 '''칠산신호소'''}}} || ||<-3>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 김해시 이동 70-24,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Chilsan || || [[한자]] ||<-2> 七山 || || [[간체자]] ||<-2> 七山 || || [[가나(문자)|가나]] ||<-2> チルサン || ||<-3> '''주소''' || ||<-3> [[경상남도]] [[김해시]] [[이동(김해)|이동]] 17-34 || ||<-3> '''관리역 등급''' || ||<-3> 미정 || ||<-3> '''운영 기관''' || || --[[경전선]]-- ||<-2><|2> [[한국철도공사]] || || [[부산신항선]] || ||<-3> '''개업일''' || || --[[경전선]]-- ||<-2><|3> 미정 || || [[부산신항선]] || || --[[부전-마산 광역철도|{{{#ffffff 경전선}}}]]-- || ||<-3> '''열차거리표''' || || [[부전역(동해선)|{{{#!html
부전 방면}}}]][[부경경마공원역|부경경마공원]][br]← ㎞ || '''[[경전선]]'''[br]칠 산 || [[광주송정역|{{{#!html
광주송정 방면}}}]][[장유역|장 유]][br] ㎞ → || || [[진례역|{{{#!html
진례 방면}}}]][[장유역|장 유]][br]← ㎞ || '''[[부산신항선]]'''[br]칠 산 || [[부산신항역|{{{#!html
부산신항 방면}}}]][[부산신항역|부산신항]][br] ㎞ → || {{{+1 七山驛 / Chilsan Station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김해시]] 이동 17-34번지[* 현재의 장유보조급전구분소 인근]에 건설 중인 [[신호소]]. 추후에 [[경전선]]과 [[부산신항선]]의 역이 된다. 신호소로 개설 예정인데, [[2018 재보궐선거]]에서 [[김정호(1960)|김정호]] [[김해시 을]]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칠산신호소를 정식 역인 '''김해역'''으로 만들자는 공약을 걸었고, 당선이 된다면 여객역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8613384|#]] 또, 동남권 KTX 유치를 통해 KTX 김해역으로도 만든다는 것도 공약 중 하나였는데,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 2018년 말이 되도록 아무런 논의가 없는 것을 보아, 가까운 시일 내에 실현될 가능성은 희박해보인다. 2019년 4월 현재까지 경전선의 광역전철 운행여부 자체도 확정되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여객역 추가 설치는 시기상조인듯 하다. 하지만 칠산신호소가 위치한 곳 주위에 대규모 물류단지가 계획되어 있고, 남쪽으로는 율하신도시가 개발 중인 [[율하동(김해)|율하동]]과 [[롯데 워터파크]]가 있어서 버스 연계가 보완된다면 새로운 수요처가 확보될수도 있다. 소재지는 김해 구시가지에 해당하는 칠산서부동이지만, 김해 구시가지에서는 멀고 오히려 율하와 [[장유동|율하2지구]]에서 가깝다. 한편, 김해시가 구상 중인 [[경남 도시철도]] 김해트램의 [[봉황역]] - 율하 노선이 이 근처를 경유할 계획이다. 율하의 경우 장유역 예정지와 꽤 떨어져 있고 그마저도 반룡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역으로 승격된다면 장유역보다 이 역이 편리해지게 된다. 이곳 바로 옆에 철도급전구분소가 지어진다.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경전선]][[분류:부산신항선]][[분류:강서구(부산)의 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