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층운.jpg|width=600]]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퍼블릭 도메인. [[https://www.google.co.kr/search?q=stratus&newwindow=1&source=lnms&tbm=isch&sa=X&ei=DKKkUoTJHImXiQeXuYHADA&ved=0CAcQ_AUoAQ&biw=1366&bih=642#newwindow=1&q=stratus+nebulosus&tbm=isch|사진자료 더 보기]] |||| '''구름 정보''' || |||| '''층운''' || || '''약어''' || '''St''' || || '''기호''' || [[파일:층운 기호.png]] || || '''고도''' || 하층운 /[BR]~ 2,000m ( ~ 6,000ft) || || '''강수여부''' || 안개비 || [목차] == 개요 == {{{+1 [[層]][[雲]] / Stratus}}}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 근처 또는 낮은 고도에서 응결하여, 무정형의 흐릿한 형태의 층으로 형성되는 구름. 짐작하듯이 [[안개]]와 딱 잘라 나눌 만한 차이점은 없다. 그냥 높이 떠 있는 안개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층구름''' 또는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영어 이름인 Stratus와 마찬가지로, 지표와 수평 방향의 층의 형태로 만들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간혹 안개구름이라고 하기도 한다. == 생성과 특징 == 절대 다수가 지형적이고 국지적인 원인이며, 수명이 상당히 짧다. 보통은 지표의 수증기가 점차 증발하면서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 지나면 그 형태를 잃고 점차 파란 하늘이 드러나 보이면서 편운(조각구름)이 되어 사라진다. 일단 이 구름이 생성되면 하늘은 뿌연 우윳빛 안개와 같은 구름의 막에 의해 가려지고, 특히 [[가시거리]]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비가 내릴 가능성은 낮지만, 가끔 비가 내리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사실상 [[이슬비]]나 [[안개비]] 수준으로, 총 강수량이 1mm 이하에 불과하여 의미있는 기상학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겨울에는 간간이 ~~[[비듬]] 같은~~ 눈송이가 흩날리는 정도이며, 눈이건 비건 간에 우산 없이도 얼마든지 야외활동이 가능한 수준이다. 산간 지역에서는 안개와도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착륙을 준비하는 항공기에게는 [[계기착륙장치]]를 통한 착륙이 요구된다. 층적운도 그렇지만 이 구름도 산꼭대기나 비행기와 같이 높은 곳에서 바라보면 마치 '''파도치는 바다와 같은 장관'''을 연출하는데, 이 때문에 "운해(雲海)" 라는 표현이 붙기도 한다. 문서 위에 첨부된 사진이 바로 이것. 다른 큰 구름의 하부에 함께 나타나기도 하며, 특히 바람에 약하다. == 바리에이션 == 층운 중에서 특히 안개처럼 보이는 것이 전형적인 것인데, 이를 "Stratus Nebulosus" 라고 부른다. 또한, 층운의 수명이 다할 무렵에 조각조각 갈라지며 발생하는 것은 편층운(Stratus Fractus)이라고 부른다. 그 외에도 하늘을 두껍게 가리는 층운을 "Stratus Opacus", 강수현상을 보이는 층운을 "Stratus praecipitatio" 라고 한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구름)] [[분류: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