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동명의 애니메이션,rd1=TSUKIPRO THE ANIMATION)] ||||<-3><:> '''{{{#white ,,츠키노 예능 프로덕션,,[BR]ツキノ芸能プロダクション}}}'''|||| ||||<#FFF>
[[파일:Ny77b8A.png|width=150&align=center]]||<#FFF> [[파일:logo_tsukino.png|width=150&align=center]]|||| ||||<:> 기존 로고||<:> 개편된 로고[* 19년도에 리뉴얼하면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3><#FFF> ※ 츠키노 예능 프로덕션은 2.5차원(...)의 가공의[BR]예능 사무소이며 이하의 모든 정보는 가공된 것 입니다. |||| ||||<#000> {{{#FFF 소재지}}} ||<#FFF> 〒173-8558 도쿄도 이타바시구 야요이쵸 77-3[* 당연히 실제 프로덕션 건물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츠키노 프로덕션은 [[애니메이트]] 자회사인 [[무빅]]의 기획이기에 해당 주소는 애니메이트 본사의 주소이다.] |||| ||||<#000> {{{#FFF 대표자}}} ||<#FFF> 대표 이사 사장 츠키노 미코토[* Six Gravity와 Procellarum의 유닛곡과 3rd 싱글중 우즈키 아라타와 시모츠키 슌 솔로곡의 작곡을 맡았다. 본래 둘의 작곡 담당은 쵸우쵸P와 키쿠오P이지만 스케쥴이 맞지 않았다고. 참고로 여신 후보생 학원의 이사를 겸하고 있으며, 따라서 달의 세계의 관계자인 것으로 보인다. 여러모로 미스터리한 사람.] |||| ||||<#000> {{{#FFF 사무내용}}} ||<#FFF> 예능·음악·아티스트 활동의 매니지먼트에서부터[BR]각종 프로모션 기획 입안·실행·상품 제작까지.[BR]장르나 틀에 얽매이기보다는[BR]폭넓은 분야에서 문화 공헌을 목표로 합니다. |||| ||||<#000> {{{#FFF 설립연월일 }}} ||<#FFF> 2000년 1월 1일 |||| ||||<#000> {{{#FFF 자본금}}} ||<#FFF> 1,000,000,000엔 |||| ||||<#000> {{{#FFF 직원 수}}} ||<#FFF> 150명 ※아르바이트나 임시직 제외 |||| ||||<#000> {{{#FFF 문의 및[BR]팬레터 수신}}} ||<#FFF> 〒173-8558 도쿄도 이타바시구[BR]야요이쵸 77-3 츠키노 프로덕션 |||| ||||<#000> {{{#FFF 공식 사이트}}} ||<#FFF> [[http://www.tsukino-pro.com/|[[파일:logo_tsukino.pn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sukino_pro, 크기=20)] [[https://youtube.com/channel/UCbGFNdcUmERIF5SmHC3Sm2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 개요 == [[파일:TSUKIPRO.gif|width=52%]] ||<(>
{{{+1 츠키노 예능 프로덕션이란?}}} 츠키노 예능 프로덕션은 2.5차원에 존재하는 가공의 예능 프로덕션. 가수, 배우, 아나운서, 코미디언, 등등. 다종다양한 탤런트를 보유하고 있는 업계에서는 대형 예능 프로덕션으로 「츠키프로」 또는 「츠키노프로」 줄여서 불린다. 2016년에 애니메이션화 된 「츠키우타」를 시작으로 츠키프로 소속 탤런트들이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 중!|| == 소속 아티스트 == [include(틀:츠키프로)] [include(틀:츠키프로/탤런트)] === [[츠키우타]] === [[파일:vfYBugr.png]] [[http://www.tsukiuta.com/|공식 사이트]] 유닛 마스코트는 토끼(ツキウサ 츠키우사) [[파일:9MTZ6Lr.png]] Six Gravity [[키사라기 코이]] (2월, CV: [[마스다 토시키]]) / [[시와스 카케루]] (12월, CV: [[카지 유우키]]) / [[야요이 하루]] (3월, CV: [[마에노 토모아키]]) / [[무츠키 하지메]] (1월 & 리더, CV: [[토리우미 코스케]]) / [[사츠키 아오이]] (5월, CV: [[KENN]]) / [[우즈키 아라타]] (4월, CV : [[호소야 요시마사]][* 2018년부터 츠키우타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창 파트에 한해서 그룹 桜men의 아티스트 koyomi가 담당한다고 한다[[https://tsukino-pro.com/tsukiuta/information-detail?did=11945|#]].]) [[파일:eXqaLAZ.png]] Procellarum [[칸나즈키 이쿠]] (10월, CV: [[오노 켄쇼]]) / [[미나즈키 루이]] (6월, CV: [[아오이 쇼타]]) / [[후즈키 카이]] (7월, CV: [[하타노 와타루]]) / [[시모츠키 슌]] (11월 & 리더, CV: [[키무라 료헤이]]) / [[하즈키 요우]] (8월, CV: [[카키하라 테츠야]]) / [[나가츠키 요루]] (9월, CV: [[콘도 타카시]]) [[파일:C6Km36F.png]] Fluna [[모모사키 히나]] (3월, CV: [[오오쿠보 루미]]) / [[유우키 와카바]] (5월, CV: [[우치야마 유미]]) / [[히지리 크리스]] (12월, CV: [[카네모토 히사코]]) / [[토가와 치사]] (4월, CV: [[노나카 아이]]) / [[키사라기 아이]] (2월, CV: [[마코(성우)|MAKO]]) / [[하나조노 유키]] (1월, CV: [[이마이 아사미]]) [[파일:cSTjHJj.png]] Seleas [[모토미야 마츠리]] (8월, CV: [[오오츠보 유카]]) / [[아사기리 아카네]] (9월, CV: [[후쿠하라 카오리]]) / [[텐도인 츠바키]] (11월, CV: [[우에사카 스미레]]) / [[이치사키 레이나]] (10월, CV: [[쿠로사와 토모요]]) / [[테라세 유노]] (6월, CV: [[사토 리나]]) / [[히메카와 미즈키]] (7월, CV: [[이시가미 시즈카]]) === [[SQ(츠키노 프로덕션)|SQ]] === [[파일:SQ_logo2.jpg|width=275]] [[http://www.tsukino-pro.com/solids/|SolidS공식 사이트]] [[http://www.tsukino-pro.com/quell/|QUELL공식 사이트]] SolidS는 2015년 데뷔, QUELL은 2016년 데뷔하였으며, 두 유닛을 합쳐 SQ(스퀘어 및 스케아[* 공홈에 따르면 スケア이기 때문])라 지칭 유닛 마스코트는 다람쥐(Lizz 릿즈) [[파일:banner-solids.png|width=275]] [[파일:banner-03.png|width=75%]] SolidS 타카무라 시키 (리더, CV: [[에구치 타쿠야]]) / 오쿠이 츠바사 (CV: [[사이토 소마]])/ 세라 릿카 (CV: [[하나에 나츠키]]) / 무라세 다이 (CV: [[우메하라 유이치로]]) [[파일:banner-quell.png|width=275]] [[파일:main_visual03.png|width=75%]] QUELL 이즈미 슈 (리더, CV: [[타케우치 슌스케]]) / 호리미야 에이치 (CV: [[니시야마 코타로]]) / 쿠가 잇세이 (CV: [[나카무라 슈고]]) / 쿠가 이치루 (CV: [[노가미 쇼]]) === [[ALIVE(츠키노 프로덕션)|ALIVE]] === [[파일:ALIVE logo.png|width=275]] [[http://www.tsukino-pro.com/alive/|공식 사이트]] 유닛 마스코트는 개(アライヌ 아라이누) [[파일:banner-soara.png|width=275]] [[파일:SOARA_2019.jpg|width=75%]] [[SOARA]] 오오하라 소라 (리더, CV: [[토요나가 토시유키]]) / 아리하라 모리히토 (CV: [[오노 유우키(성우)|오노 유우키]]) / 카구라자카 소우시 (CV: [[후루카와 마코토]]) / 무나카타 렌 (CV: [[무라타 타이시]]) / 나나세 노조무 (CV: [[사와시로 치하루]]) [[파일:banner-growth.png|width=275]] [[파일:Growth_2019.jpg|width=75%]] [[Growth]] [[에토 코우키]] (리더, CV: [[토키 슌이치]]) / [[야에가시 켄스케]] (CV: [[야마야 요시타카]]) / [[사쿠라바 료타]] (CV: [[야마시타 다이키]]) / [[후지무라 마모루]] (CV: [[테라시마 준타]]) === [[Swiiiiiits!]] === [[파일:anime_atlas_.png]] [[http://www.pocky.jp/licogli/download.html|공식 사이트]] [[http://tsukino-pro.com/licogli/|공식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ipen4691/221209070590|캐릭터 프로필]] [include(틀:Swiiiiiits!)] > 과자나라 글리코랜드에서 온 쌍둥이 마법사. 맛있는 과자의 마법으로 인간세계를 더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글리코와의 콜라보 유닛. --이 콜라보로 인해 공식은 포키랑 프리츠를 ○ 없이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본래 [[쌍둥이 마법사 리코와 글리]], 통칭 [[리코글리]]로써 활동했으나 2019년 11월 8일, 공식 유튜브를 통해 다른 4명도 포함시키기 위해 2020년부터 {{{#492f14 Sw{{{#d11013 i}}}{{{#139743 i}}}{{{#f4d115 i}}}{{{#108a95 i}}}{{{#eb7f13 i}}}{{{#056097 i}}}ts!}}}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된다고 한다. === [[극단 알타이르]] === [[파일:logo.jpg]] [[파일:algeki_banner.jpg]] [[http://algeki.com/algeki-main/|공식 사이트]] [include(틀:츠키프로/극단 알타이르/ver.2)] 나카타 이츠키(CV:마츠오카 잇페이) / 카나메 타츠히코(CV:오오미 쇼이치로) / 카미야 토우마(CV:이토카와 요지로) / 오사키 이즈모(CV:[[후루하타 케이스케]]) / 이치가야 린타로(CV:[[이노우에 유우키]]) / 타츠미 마키(CV:[[토쿠타케 타츠야]][* 현재 [[토쿠타케 타츠야]]가 2019년을 끝으로 성우활동을 은퇴하였기에 성우가 변경될수도 있다] / 시부야 요스케(CV:코마츠 준야) / 카스미 사쿠야(CV:아라 카즈하루) / 고코쿠지 미카도(CV:니시노 타이세) / 센카와 리츠(CV:후데무라 에이신) / 츠키시마 히지리(CV:키쿠치 료) / 시노노메 유리(CV:[[이치카와 타이치]]) / 아자부 노부아키(CV.오카 노부아키) / 코마고메 타이키(cv.쿠마가이 다이키) / 쿠라마에 카즈키(CV.테라시타 토모키) / 모리시타 쇼조(CV.타무라 쇼조) / 나카노 타츠야(cv.이즈카 타츠야) / 료고쿠 준페이(CV.바바 준페이) / 토요스 다이스케(cv.나카지마 다이스케)[* 2017년 5월 이후로 12명에서 19명으로 늘어났다.] 츠키프로 Music Grand Prix 2016에서 선발된 12명[* 최초 선발인원은 13명이었으나 1명이 탈퇴하여 현시점에서 1기 12명]의 유닛 츠키쿠라가 CV로 참여. 2017년 5월 8명이 새로이 추가 되었다.[* 그런데 발표된 8명 중 6명이 성우 이름과 맡게된 캐릭터 명과 똑같다. 물론 성씨가 아니라 이름만 같을 뿐이다.][* 2017.06.23 시로이와 루키의 탈퇴로 확정 [[캐릭터]]는 총 7명이다.] === [[VAZZROCK]] === [[파일:DNqoQHFVAAAt3a6.jpg]] [[https://twitter.com/vazzrock_info/|공식 트위터]] [[http://tsukino-pro.com/vazzrock/|공식 사이트]] 유닛 마스코트는 고양이 (バズキャット 바즈캣) [[파일:vazzy-member.png|width=75%]] VAZZY 마미야 타카아키 (리더, CV.[[신가키 타루스케]][* 아라가키가 아니다.]), 키라 오카 (CV.[[코바야시 유스케]]), 키즈쿠 잇사 (CV.[[야마나카 마사히로]][* [[남성]] [[츠키우타]] '''식스 그라비티'''의 매니저인 츠키시로 카나데와 동일[[성우]]]), 키즈쿠 후타바 (CV.[[시라이 유스케]]), 오야마 나오스케 (CV.사사 츠바사), 시라세 유마 (CV.[[호리에 슌]]) [[파일:rockdown-member.png|width=75%]] ROCK DOWN 오노다 쇼 (리더, CV.[[키쿠치 유키토시]]), 쿠지카와 하루토 (CV.[[하세가와 요시아키]]), 아마하 레이지 (CV.[[사토 타쿠야]][* 1번 항목]), 타치바나 아유무 (CV.반 타이토), 오구로 가쿠 (CV.마츠모토 타쿠야), 나즈미 루카 (CV.[[코모토 케이스케]]) === [[infinit0(츠키노 프로덕션)|infinit0]] === [[파일:Infinit0_logo.png|width=275]] [[https://twitter.com/infinit0_info|공식 트위터]] [[https://tsukino-pro.com/infinit0/|공식 사이트]] 유닛 마스코트는 새 (いんふぇに 인피니) [[파일:infinit0.jpg|width=75%]] infinit0 스키가와 레이 (CV.[[타도코로 히나타]]) / 미카제 로아 (CV.치바 미즈키) ==== [[pioniX]] ==== [[파일:pioniX_.jpg|width=30%]] [[https://twitter.com/pioniX_info?s=20|공식 트위터]] [[파일:pioniX.jpg|width=75%]] pioniX infinit0 스키가와 레이 (CV.[[타도코로 히나타]]) / 미카제 로아 (CV.치바 미즈키) × 帷(토바리) 아마기 시오 (CV:[[나카지마 요시키]]) / 하시바 쿠로이 (CV:[[스미야 테츠에이]]) 콜라보 유닛 === 그 외 === [[파일:2ZZuumX.jpg]] [[죤]] > 나이 : 32세 > 신장 : 167cm > 생일 : 3월 17일 > 혈액형 : A형 본래 [[츠키우타]]의 [[나가츠키 요루|9]][[아사기리 아카네|월]] 담당 작곡가이며, 2014년 11월 14일 츠키노 프로덕션에서 「시작의 날」이라는 앨범이 발매되었다. --본체는 시바견이라는 소문-- 츠키노 프로덕션의 사장인 츠키노 미코토의 이름이 번역기를 돌리면 츠키노 존이라 나와서인지 간혹 죤=사장이라고 오해를 하는 사람이 있다. 동일 인물이 아니다. [[http://www.tsukino-pro.com/release_info/john01/|앨범 인포]] [[https://www.youtube.com/watch?v=wr5C3lw97bM|CM]] [[https://www.youtube.com/watch?v=BPtLVZZ1ckY|샘플]] == 애니메이션 == 다른 아이돌물들과 비교하면 애니화 운이 안 좋다. 츠키우타, 츠키프로 모두 1기는 애니가 끝나고, 2기 제작이 바로 결정될 정도로 성공했으나 2기는 [[코로나바이러스-19]] 사태 때문인 것도 있고, 제작사나 제작자도 대부분 경력이 적은 인원으로 구성되었기에 [[작화붕괴]]가 종종 일어나 전체적으로 퀄리티가 낮은 편이다. 한국에서도 [[츠키우타]] 1기를 제외하면 한국에서 방영되지 않아서 츠키노 프로덕션 관련 컨텐츠에 관심 없는 팬들은 애니화는커녕 존재 자체도 모른다. === [[츠키우타 THE ANIMATION]] === === [[츠키우타 THE ANIMATION#츠키우타 THE ANIMATION 2|츠키우타 THE ANIMATION 2]] === === [[TSUKIPRO THE ANIMATION]] === === [[TSUKIPRO THE ANIMATION 2]] === === [[VAZZROCK THE ANIMATION]] === == 츠키노파크 == [[파일:5OhGjpF.png]] [[http://http://www.tsukino-pro.com/tsukinopark#information/|공식 사이트]] 2015년 4월 30일에 안드로이드판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iOS는 6월 2일에 서비스 개시. 처음엔 [[츠키우타]]의 캐릭터 24명만이 있었으나 5월 29일에 [[ALIVE(츠키노 프로덕션)]]과 [[SolidS]], 그리고 츠키우타의 매니저 둘도 추가.[* 처음에 츠키우타만이 먼저 나왔었을 뿐 나머지 캐릭터도 계획되어 있었다./12월 현재 QUELL까지 추가 완료.] 매달 1일에 상점에서 판매되는 옷이 변경된다.--참고로 남성 캐릭터에게 여성 캐릭터의 옷을, 여성 캐릭터에게 남성 캐릭터의 옷을 입히는게 가능하다.-- 7월 16일에 캐릭터 보이스가 추가되었다. 접속 로딩 / 접속 후 / 옷을 갈아입히고 나와서 / 미니게임 목록에 들어갈 때 / 미니게임에서 스킬을 사용할 때 / 부정기 점에서 플레이어의 달이 럭키일 때 보이스가 나오며, 스킬 사용 보이스 외엔 자신이 꺼내놓은 캐릭터 중 랜덤으로 나온다.[* 캐릭터를 한명 만 꺼내둘경우엔 그 한명만 나온다.] 미니게임은 퍼즐, 토끼쌓기, 토끼잡기, 슈팅게임, 리듬 게임 총 다섯개가 존재한다. 2018년 11월 30일부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 츠키노월드 == == 츠키노파라다이스 == 아이돌물에 흔한 리듬 게임과 일러스트 가챠 게임. 2020년 2월 5일에 서비스 종료됐다. == 오디션 == [[파일:0jhg0MB.jpg]] 여기서부터 시작하는 이야기. 츠키프로 Music Grand Prix 2015 당신이 만든 음악을, 츠키노 프로로 부터 세계로 보내지 않으시겠습니까? 응모 자격 * 가창력에 자신이 있는 12세~24세의 남녀(개인 혹은 그룹). * 작사작곡 전부 완전히 오리지널인 노래를 준비해올 것. 응모 기간 2015년 3월 31일 응모방법 * 우측 링크 페이지의 상세사항을 확인한 후, 응모해주세요. [[ALIVE(츠키노 프로덕션)]]의 Soara와 Growth가 참여하게 되는 오디션이며, 당연히 실제 오디션은 아니다. ......였으나, 소니뮤직과의 협력으로 츠키프로 Music Grand Prix 2016 개최 실제로 오디션을 개최했고[* 아이돌 오디션은 아니며 성우 오디션], 13명의 합격자가 나왔다. …가 한명이 제명 되고 12명. 츠키프로 채널에 다른 츠키프로 아이돌과 함께 출연했으며 신 그룹인 극단 알타이르 CV로 참여한다. 2기가 제작되었고 8명이 선발되었으나 한명이 탈퇴하고 최종적으로는 7명. == 기타 == 리얼 타임으로 전개되고 있기에 해가 지날 때마다 나이를 먹고, 성장이 멈춘 캐릭터를 제외하면 키도 성장한다. 시간이 흐르며 캐릭터에게도 크고작은 변화가 생기고 있으므로 홈페이지의 캐릭터 설명과 현시점과의 차이가 있기도 하다. 소속 아티스트들은 기본적으로 기숙사 생활을 한다. 다만 기숙사라고는 해도 1LDK 1인 1실이므로 '같은 멘션에 모아뒀다' 같은 느낌. 이 외에도 식당, 헬스장, 연습실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현재 [[츠키우타]]의 남성진과 [[infinit0(츠키노 프로덕션)|infinit0]]가 시부야의 기숙사에 거주중이며 [[SQ]], [[ALIVE(츠키노 프로덕션)|ALIVE]], [[VAZZROCK]]이 다이칸야마의 기숙사 거주중. 상기한 기숙사 외에도 다른 지역에 탤런트 기숙사가 여러채 있으며 이 외에도 사원 기숙사, 유사시에 숙박이 가능한 방 등을 준비해두고 있다. 매년 AGF에는 에어 무대라는 형식으로 기존과는 다른 세계관[* 아이돌들이 무대에서 연기한다는 설정이긴 하지만 페러랠 월드가 존재하는 츠키프로의 특성상 AU로 봐도 큰 문제는 없을 듯 하다.]이 등장한다. 세계관은 SF, 천족&마족, 스팀펑크, 와풍, 학원물 등 다양한 편. 기본적으로는 사장의 중2병적인 취향이라는 설정(...) 행사 당일에는 굿즈 판매와는 별도로 트위터에서 해당 무대를 보고 있다는 설정으로 팬들이 트윗을 하면 해당 트윗과 관련된 SS를 작성해 업로드 하기도. 이 외에도 각종 세계관으로 무대화, 드라마 CD화 등이 진행된다. 2020년에는 AGF가 아닌 츠키프로 총본점이라는 명칭으로 에어 무대 2P가 개최되었다.[[https://tsukipro-2p.com/|홈페이지]] 다만, 당해 AGF와 일정 및 개최 건물이 같았고 입장과 전시홀만 별도로 진행 되었기에 [[코로나 19]] 예비 대책 중 하나로 기존에도 큰 스페이스를 할당하던 자회사의 작품인 츠키프로는 따로 분리한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다. 남성 유닛은 계속 나오고 있으나 여성 유닛과 혼성 유닛은 각 2유닛, 1유닛[* 다만 제작사 오리지널 캐릭터가 아니라 [[글리코]]와의 콜라보 프로젝트이기에 실질적인 오리지널 혼성 유닛은 없다고 볼 수 있다.]으로 소수이며 추가는 불투명하다. == 선 프로모션 엔터테인먼트 == Growth의 라이벌계 유닛인 ZIX의 소속사. Growth의 에토 코우키, 야에가시 켄스케, 사쿠라바 료타가 이전에 주니어로 활동하고 있었다. [[파일:sunpro_logo.png]] [[http://sunpro-info.com/|공식 사이트]] === ZIX === [[파일:Zix_logo.png]] [[http://sunpro-info.com/zix/|공식 사이트]] [[파일:ZIX.png|width=75%]] ZiX 스가이 마코토 (CV.[[하마노 다이키]]), 히시다 미츠루 (CV.[[와타나베 타쿠미]]) === [[帷(토바리)]] === [[파일:logo_tobari.png|width=275]] [[http://sunpro-info.com/tobari/|공식 사이트]] [[https://twitter.com/tobari_info|공식 트위터]] [[https://www.instagram.com/sunpro_tobari/|공식 인스타그램]] [[파일:tobari.png|width=75%]] '''帷''' (토바리, tobari) 아마기 시오 (CV:[[나카지마 요시키]]), 하시바 쿠로이 (CV:[[스미야 테츠에이]]) [[분류:츠키노 예능 프로덕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