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운행했던 재래선 특급, rd1=츠바사(특급), other2=큐슈 신칸센, rd2=츠바메(열차))] [include(틀:JR 동일본의 우등열차)] ||<-2><:>{{{#ffffff {{{+1 '''つばさ'''}}}[br]Tsubasa / 츠바사}}}|| ||<-2><:>{{{#ffffff '''정보'''}}}|| ||<:>'''운행 국가'''||[[일본]] || ||<:>'''종별'''||신칸센 특별급행열차 || ||<:>'''현황'''||운행중 || ||<:>'''운행 지역'''||[[간토]], [[도호쿠]][br]([[도쿄도]],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br][[도치기현]], [[후쿠시마현]], [[야마가타현]]) || ||<:>'''전신'''||특급 츠바사, 코마쿠사 || ||<:>'''운행개시일'''||[[1992년]] [[7월 1일]] || ||<:>'''운영자'''||[[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30]][br]{{{#3ea343 JR 동일본}}}]] || ||<-2><:>{{{#ffffff '''노선'''}}}|| ||<:>'''기점'''||[[도쿄역]] || ||<:>'''종점'''||[[야마가타역]], [[신조역]] || ||<:>'''운행거리'''||403.7km || ||<:>'''경유노선'''||[[도호쿠 신칸센]][br][[야마가타 신칸센]] ([[오우 본선]]) || ||<-2><:>{{{#ffffff '''차내 서비스'''}}}|| ||<:>'''클래스'''||그린샤, 보통차 || ||<:>'''장애인 배려'''||11,12호차 || ||<:>'''좌석'''||그린샤 (11호차)[br]보통차 지정석 (12~17호차) || ||<-2><:>{{{#ffffff '''기술'''}}}|| ||<:>'''차량'''||[[신칸센 E3계 전동차|E3계]], [[신칸센 E8계 전동차|E8계]]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궤간'''||1435mm || ||<:>'''전력 공급'''||교류 25000V 50Hz (도호쿠 신칸센)[br]교류 20000V 50Hz (야마가타 신칸센) || ||<:>'''최고 속도'''||110㎞/h(도쿄 ~ 우에노)[br]130㎞/h(우에노 ~ 오미야)[br]'''300'''㎞/h[* E3계는 275㎞/h](오미야 ~ 후쿠시마)[br]130㎞/h(후쿠시마 ~ 신조) || [include(틀:도호쿠 신칸센의 열차등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E3-1000_L54_Tsubasa_144_Kita-Yamagata_20150307.jpg|width=100%]] || ||<:>{{{#ffffff 츠바사로 운용되는}}} [[신칸센 E3계 전동차|{{{#fff 신칸센 E3계 전동차}}}]] || || [youtube(G9lXhkaGtdo)] || ||<:>{{{#ffffff 전구간 측면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JR 동일본]]의 [[야마가타 신칸센]]의 열차 등급중 하나로 [[도쿄역]]부터 [[야마가타역]] 혹은 [[신조역]]까지 운행하는 열차이다. 도쿄역 ~ 후쿠시마역 구간은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운행한다. 절반 정도가 야마가타역에서 시종착한다. 시간당 1대 꼴로 운행한다. == 운행 현황 == > [[도쿄역]] - ([[우에노역]])[*A 상행 1회(124호), 하행 1회(131호) 통과]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 - ([[우츠노미야역]])[*A] - ([[코리야마역(후쿠시마)|코리야마]])[*A] -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 - [[요네자와역]] - ([[타카하타역]])[*B 상행 8회(124호,136호,140호,144호,148호,150호,156호,160호), 하행 9회(123호,129호,131호,133호,137호,141호,145호,153호,157호) 통과] - ([[아카유역]])[*C 상행 3회(124호,140호,150호), 하행 3회(123호,131호,157호) 통과] - ([[카미노야마온센역]])[*C] - [[야마가타역]][* 절반 정도 시종착] - [[텐도역]] - [[사쿠란보히가시네역]] - [[무라야마역(야마가타)|무라야마역]] - [[오이시다역]] - [[신조역]] 재래선인 [[오우 본선]]을 운행하는 미니 신칸센 중 하나로, [[도쿄역]]부터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역]]까지는 신칸센 전용선을,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역]]부터는 재래선을 운행하며 130km/h이내로 운행한다. 1일 1왕복(하행 첫차 121호, 상행 막차 160호)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야마비코(신칸센)|야마비코]]와 병결 운행을 한다. 시간당 1대 꼴로 운행하지만, 절반 정도가 야마가타역에서 출발/종착하므로 야마가타 - 신조 사이에서는 2시간에 한 대 꼴로 운행된다. 배정번호는 121호~160호이며, 125호, 126호, 130호, 134호, 147호, 151호, 152호, 155호는 결번이다. 신조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번호는 121호, 122호, 123호, 128호, 131호, 133호, 136호, 137호, 140호, 141호, 144호, 145호, 150호, 156호, 157호, 158호, 160호이다. 운행 열차는 2010년 4월부터 [[신칸센 E3계 전동차]]이며, 이전에는 [[신칸센 400계 전동차]]였다. 400계 운용 초기에는 신칸센 전용선 구간에서 [[신칸센 200계 전동차]], 후에 [[신칸센 E4계 전동차]]와 병결하였고 최고시속이 240km/h였으나 400계 퇴역 이후 병결 상대를 [[신칸센 E2계 전동차]]로 바꾸면서 275km/h로 상승하였다. 2024년 3월 16일부터 [[신칸센 E8계 전동차]]가 도입되고 병결 상대가 [[신칸센 E5계 전동차]]로 바뀌었다. 상하행 3왕복에 E8계가 처음으로 투입되었다.[* 해당 열번은 신조역 시종착 하행 131, 157과 상행 122, 144. 야마가타역 시종착 하행 149와 상행 124.] 신조역까지는 약 4시간 정도 걸린다. 또한, 전 구간에서 차내판매가 실시되고 있으며 차내에서는 당연히 금연이다. 본래 자유석이 있었으나 2022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전석 지정석으로 바뀌었다. ||||||||||||||<:>{{{#ffffff 츠바사 좌석 배치도}}} || ||<:>11 ||<:>12 ||<:>13 ||<:>14 ||<:>15 ||<:>16 ||<:>17 || ||<:>그린샤 ||<:>지정석 ||<:>지정석 ||<:>지정석 ||<:>지정석 ||<:>지정석 ||<:> 지정석 || ||<-3>← 도쿄 ||<-4><)>신조→|| == 토레이유 츠바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E3-700_R18_Toreiyu_1_20140719.jpg|width=480]] 신칸센 최초의 리조트 열차를 표방한 열차로 [[아키타 신칸센]]에서 은퇴한 [[신칸센 E3계 전동차]] R18편성을 개조하여 만든 열차이다. <토레이유(とれいゆ)>라는 것은 기차의 <트레인>, 태양을 가리키는 <솔레유> 온천의 <유(湯)>를 합성해서 만든 단어라고 한다. 페라리 출신 유명 디자이너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디자인한 도색이 새로 입혀졌다. 2014년 7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전차 지정석이다. 차내는 오자시키 좌석[* 오자시키(座敷)란 일본 가옥의 형태중 다다미를 깔아 놓은 방을 일컫는 말로 주로 손님을 접대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 [[http://web-japan.org/nipponia/nipponia43/ko/feature/feature07.html| 출처]] ]을 채용한 의자와 라운지, 족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차량의 접수번호는 E3계 700번대이다.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역]]에서 [[신조역]]까지 매주 주말마다 운행하고, 상행은 오전 10시 2분, 하행은 오후 3시 정각에 출발한다. [[코로나 19]]로 인해 4, 5월 열차는 운휴, 6월 열차는 발매 보류. 2022년 3월에 운행을 종료했다. [include(틀:신칸센)] [[분류:신칸센의 운행 등급]][[분류:야마가타 신칸센]][[분류:오우 본선]][[분류:일본의 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