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츠루오카 사토시}}}[br]{{{-1 鶴岡 聡 | Satoshi Tsuruok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2kWBb5.jpg|width=100%]]}}} || || '''이름''' ||'''츠루오카 사토시[br]{{{-1 ([ruby(鶴, ruby=つる)][ruby(岡, ruby=おか)] [ruby(聡, ruby=さとし)], Satoshi Tsuruoka)}}}'''|| || '''직업''' ||[[성우]]|| ||<|2> '''출생''' ||[[1978년]] [[8월 19일]] ([age(1978-08-19)]세)|| ||[[일본]] [[가나가와현]]|| ||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신체''' ||181cm | [[O형]]|| || '''소속사''' ||토리토리 오피스^^(1996~2009.03)^^[br][[리맥스]]^^(2009.03~현재)^^|| || '''활동 시기''' ||[[1996년]] ~ 현재|| || '''링크''' ||[[http://remax-web.jp/talent/tsuruoka-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8]]^^공식 프로필^^]][br][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yotist_satoc, 크기=18)] [[http://blog.livedoor.jp/celica_jange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8]]^^블로그^^]]|| [목차] [clearfix] == 개요 == 데뷔연도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실질적인 흔적이 보이기 시작한 건 1996년,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의 단역. 그 뒤, [[강도죄|강도]], [[의사]], [[레이저(헌터×헌터)|레이저]]의 넨수, 운전수B 등등 수많은 무명의 단역들을 맡아왔다. 비슷한 목소리를 가진 한국 성우는 [[정영웅]]. 그러다가 《[[Fate/Zero]]》의 [[드라마 CD]]와 [[애니메이션]]에서 [[우류 류노스케]] 역의 [[이시다 아키라]]와 페어를 이뤄 [[캐스터(4차)|캐스터]]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고, 특히 애니메이션이 방송되면서 인지도가 대폭 올랐다.[* [[오오테]] [[동인(문화)|동인]]작가 [[타포]]의 드라마CD 2권 녹음현장 실황묘사 만화를 보면 이미 그 무렵부터 '''스탠드 구현''' 상태였다고 묘사. 이 만화 내에서 동급의 표현은 '''[[금삐까]]의 싸가지멘트와 물아일체를 이룬''' [[세키 토모카즈]] 밖에 없었다.] 《Fate/Zero 토크 세션》 제 6회에 따르면, [[ufotable]] 작화팀이 류노스케&캐스터 진영의 연기를 보고는 '''“이 그림으로는 그 연기를 도저히 표현할 수 없다!!!”'''라고 말하고 '''작화를 전부 파기하고 다시 그렸다고 한다.''' 연기폭이 넓으며 1인 2역을 하였던 《[[테니스의 왕자]]》에서 두 캐릭터의 타입은 과묵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정말 극과 극이라 동일 성우란 것을 알고 놀라는 [[성우덕]]들이 많았다. 그래서 캐스터 역으로 조명을 받았을 때, 대체 이런 실력있는 성우가 어떻게 15년 동안이나 단역만 전전한 무명 성우로 지냈을까 하고 퍽 놀랬다고. 그리고 블로그 글에 남긴 캐스터에 대한 마지막 감상. > 페이트 제로 제15화 '황금의 빛'을 방에서 감상했다. > 극장에서와는 달리 진정한 상태에서. > 캐스터와 만난지 수년. 이런 멋진 작품에 참가할 수 있어서 기쁘다. > 그리고, 캐스터를 연기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만나 기쁘다. > > "초 COOL이야, 나리!" 그렇게 불러줘서 기쁘다. > > 그런데, 그렇게 불러주는 여러분이 "초 COOL"이라구. > 이것이 내가 방에서 생각한 전부. 드디어 방송돼서 다행이다. > 캐스터, 난 당신과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 당신과 함께 보낸 요 몇 년 사이에 난 30대가 되었다. > 자신의 미숙함을 더욱 잘 알게 되었다. > 믿는 것의 슬픔과 소중함이 몸에 스며들었다. > 그리고, 사람의 고통도 전보다 잘 알게된 것 같다. 고마워. > > 이젠 당신도 쉴 수 있다. 잔느가 내밀어준 손을, > 이젠 놓으면 안돼. 간신히 "믿을 만한 것"을 찾았으니깐... > 또 [[Fate/Grand Order|어딘가]]에서 만날 수 있다면 좋겠네. > 그 때까지, 안녕, 질. 이에 팬들의 반응은 > 54 名前:風の谷の名無しさん@実況は実況板で[[sage]] 投稿日:2012/04/15(日) 16:30:55.16 ID:5No7/C7j0 > > 정말 아포크리파를 본격적으로 시동해, 잔느의 서포터 역으로 나리를 불러주면 좋겠어! 츠루오카 캐스터의 목소리를 좀 더 듣고 싶다.[* 아포크리파 5권에서 [[적의 캐스터]]의 보구로 '''서번트로 소환된다!''' 셰익스피어의 의도는 타락한 악령인 질 드 레의 모습을 보여줘 쟌느를 멘탈붕괴 시키는것이었지만 되려 그것을 딛고 일어나 '''질 드 레를 갱생시킨다.''' 그리고 아군이 되어 시간을 벌어주다가 소멸. 그리고 아포 애니에서 츠루오카는 다시 질 드 레로 돌아왔다.] > > 56 名前:風の谷の名無しさん@実況は実況板で[[sage]] 投稿日:2012/04/15(日) 16:31:40.67 ID:ygqUewJQ0 > > 츠루오카 씨는 시사회에서도 눈물이 글썽글썽 할만큼 상당히 몰입했던 것 같으니깐 말이야. 내 안에서 호감도가 마구마구 올라가고 있다 ㅋ > > 64 名前:風の谷の名無しさん@実況は実況板で[[sage]] 投稿日:2012/04/15(日) 16:33:04.91 ID:2HAZ8mTX0 > > 츠루오카 씨는 캐스터 역에 정말 잘 맞았지. 앞으로도 활동 많이 했으면 좋겠어. > > 96 名前:風の谷の名無しさん@実況は実況板で[[sage]] 投稿日:2012/04/15(日) 16:46:27.54 ID:5glsbx3d0 > > 연기 훌륭했었지. 정말 딱 어울리는 배역. 그의 캐스터 연기는 진짜 굿잡! 이었다 COOOOOOOOOOOOOOOOL!! 키도 큰데다가 몸매도 근육질이라서 유난히 두드러진다는 평. 페이트 제로 애니 방영 이후에는 인지도가 대폭 올라가서 이제 단역뿐만이 아니라 나름 네임드급인 역할도 종종 나오고 있다. 일본 더빙판 《[[파 크라이 3]]》에서는 '''바스 몬테네그로''' 역을 맡았다. 여러모로 광기를 대변하는 캐릭터성과 죽이 잘 맞는 듯. 2013년도 [[슈퍼전대 시리즈]]인 《[[수전전대 쿄류쟈]]》에서 드디어 레귤러 악역인 [[분노의 전기 도골드]]를 맡았다. 본 작품이 워낙 성우들이 직접 출연하는 경우가 많은 케이스라 츠루오카의 출연을 기대하는 팬들도 꽤 있었지만 결국 마지막 화에 잠깐 얼굴을 비추는 정도로만 끝났다. 대신, 도골드 자체는 전 화를 통틀어 안 나오는 적이 거의 없는 준 레귤러 악역으로서 이 성우의 역대 출연작 중 가장 오래 출연한 작품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본편에서의 연기 역시 일품이었다. [[Fate/Grand Order]]가 발매되면서 본인의 대표 캐릭인 [[캐스터(4차)]]는 물론이고, [[아처(도쿄 1차)|아라쉬]], [[스파르타쿠스(Fate 시리즈)|스파르타쿠스]], [[칼리굴라(Fate 시리즈)|칼리굴라]] 등 게임 내 추가 서번트들 역할도 맡게 되었다. 아라쉬와 질 드 레, 스파르타쿠스의 목소리를 각각 들어보면 동일성우라는 느낌을 받기가 힘들 정도로 각 캐릭터를 다른 색채로 잘 표현했다. 거기다 게임에서 질 드 레의 타락 전 모습이 세이버 버전으로 등장하기까지 한데다, 아라쉬는 [[Fate/Prototype 창은의 프래그먼츠]]라는 소설에 이미 등장한 캐릭터라 차후 이쪽이 애니화될 경우 캐스팅 될 가능성도 높은 편. FGO 이후 애니화된 아포크리파에서도 세이버 질 드 레 역으로 열연했고, 아라쉬가 활약한 FGO 1부 6장이 극장판으로 제작되며 출연이 확정되었다. 이래저래 페이트 시리즈를 통해 목소리를 자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페이트 그랜드 오더 1.5부 2장 출시 기념으로 한 니코나마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이때 작중 인물이 되어 연기하는 코너에서 아라쉬와 질 드 레의 연기를 선보였는데, 보구를 쓰는 장면에서 대본에 적혀있지 않던 보구 영창을 전부 외우며 열연하는 모습을 보여 팬들의 환호를 이끌어냈다. 대본엔 그냥 "스텔라!"만 적혀있었다. 이후 질 드 레의 캐릭터 메이킹에 대한 비화를 밝혔다. >F/Z의 질 드 레는 사람하곤 동떨어진 '잔느가 화형당한 이후의 면모'이다. 때문에 여기서부터 (캐릭터메이킹을) 시작하면 안되겠다고 여겨, 잔 다르크와 질 드 레와 관련된 사실이나 자료들을 찾아 읽으며 '타락하기 전의 질'을 먼저 확립했다. 거기에 처음 오디션 원고를 읽을때 과장된 연극조의 말투를 구사한다고 느껴졌고, 질은 서양인이지만 연기하는 본인은 동양인이므로 (이를 동양적으로 해석하여) 가부키적 요소를 섞어보기로 했다. 하지만 그런 가부키 톤으로 계속 연기해도 듣는 입장에선 지루할 뿐이라서, 배우 '모모이 가오리'와 같은 말투를 섞어 연기하면 지루함이 덜어질 거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현재의 질 드 레의 연기가 완성됐다. 상기한 이유로 츠루오카 사토시는 이미 FZ 드라마 CD의 녹음 시부터 타락하기 이전의 질에 대해서 이미 염두에 두고 연기해왔기 때문에, FGO 녹음 현장에서 세이버 질 드 레의 원화를 보고 감격해서 눈물이 나왔다고 전했다. 2018년 11월 3일, 한그오 1주년 기념행사를 위해 [[카와스미 아야코]], [[시오카와 요스케]]와 함께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AGF 2018에 방문했다. 본인의 첫 내한이라고 하며, 유쾌한 입담으로 행사장을 방문한 팬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네이버 공식 카페 앙케이크 조사 결과에 따라 [[캐스터(4차)|캐스터 질 드 레]]의 소환 대사를 즉석에서 연기했으며, 더 압권인 것은 후에 성우 질문 코너[* bgm 맞추기, 본인이 연기한 캐릭터의 대사를 듣고 맞추기를 카와스미 아야코와 번갈아 가며 진행했다.]에서 연기한 '''육성 스텔라!''' 처음에는 미사용 보구 대사부터 읊었기 때문에 눈치 채는 사람이 드물었으나, 마지막에 마이크를 내려 놓고 스텔라를 외치며 팬들에게 한층 더한 감동을 선사했다. 이렇게 fate시리즈와 인연이 깊고, 본인도 fate 시리즈에 대한 애정이 깊다보니, FGO행사에서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는 성우 중 한명이다. 특히 남성 성우중에서 [[시마자키 노부나가]]가 안오면 이 분이 온다고 보면 될 정도다. 최근은 카독 역할의 [[아카바네 켄지]]도 자주 보이게 되긴 했지만 여전히 남성 성우중 출연율 2위를 자랑한다. 최근 페그오 4주년 행사에서 fgo 퀴즈 대회로 셋이 붙었는데, 앞에 놓여있는 마슈 피규어를 보고서 키와 체중을 측정하는 엄청난 예술심미를 보여주면서 1위를 거머쥐었다. FGO 2000만 DL 달성기념 축하영상에선 좌우로 백잔과 흑잔의 피규어를 놓고 메시지를 읊는 리얼 질드레 모드를 보여주기도 했다, == 주요 출연작 == === 애니메이션 === ==== TV/WEB 애니메이션 ==== * 1997년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1996년 애니메이션)]] - 남자(77화) * 1999년 * [[메다로트 시리즈|메다로트]] - [[메다로트 시리즈/등장인물#s-3.2.3|스미로드 너드]] * [[비스트 워즈 네오]] - 스트라다 * 2001년 * [[테니스의 왕자]] - [[카바지 무네히로]], [[키사라즈 아츠시]][* 첫출연은 1화의 사사베 친구A] * 2004년 * [[유희왕 GX]] - [[닥터 컬렉터]],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 * 2006년 * [[디지몬 세이버즈]] - [[하시바(디지몬 세이버즈)|하시바 장관]], [[알포스브이드라몬]] * 2007년 * 웰베르 이야기 - 바이스 * 2010년 * [[누라리횬의 손자]] - [[무치]] * [[토가이누의 피]] - 에이스 * 2011년 * [[마켄키]] - 우스이 켄고, 카구즈치 * [[페르소나 4 the ANIMATION]] - 터프가이 & 나이스가이(…)[* [[타츠미 칸지]]의 쉐도우의 일부. 상상을 초월하는 근육[[호모]](…) 연기를 보여줬다. 거기다 하필이면 칸지의 [[세키 토모카즈|성우]]가 [[아처(4차)|모 방심왕]]의 성우다 보니 이를 이용한 [[성우장난]]도 있다.] * '''[[Fate/Zero/애니메이션|Fate/Zero]]''' - '''[[캐스터(4차)|캐스터]]''' * 2012년 * [[트랜스포머 프라임]] - [[스타스크림(프라임)|스타스크림]] * [[인류는 쇠퇴했습니다/애니메이션|인류는 쇠퇴했습니다]] - 요정사의 낙하산 사장 * [[PSYCHO-PASS]] - 카네하라 유지 * 2013년 * [[죠죠의 기묘한 모험(2012년 애니메이션)|죠죠의 기묘한 모험 전투조류(TVA)]] - [[와이어드 벡]] * 2014년 * [[대도서관의 양치기]] - [[대도서관의 양치기#s-6|기자사마]] * [[마켄키|마켄키 通!]] - 우스이 켄고, 카구즈치 * [[소드 아트 온라인 Ⅱ]] - 다인 * [[아카메가 벤다!/애니메이션|아카메가 벤다!]] - 참수꾼 잔크 * [[하마토라]] - 아웃사이더 * 2015년 * [[그리자이아의 미궁]] / [[그리자이아의 낙원/애니메이션|그리자이아의 낙원]] - [[히스 오슬로]], 에드워드 워커, 뉴스 캐스터 * [[은혼(애니메이션)|은혼°]] - [[유니콘 쟈부|쟈부]] * 2016년 * [[문호 스트레이독스(애니메이션 1, 2기)|문호 스트레이독스]] - 우카이 * [[빅 오더/애니메이션|빅 오더]] - 호시미야 겐나이 * [[슈발체스마켄/애니메이션|슈발체스마켄]] - 죤 스탠리 * [[하이 스쿨 플릿]] - 이소로쿠(고양이) * [[죠죠의 기묘한 모험: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 [[코바야시 타마미]] *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 - 텐진 * [[모브사이코 100(애니메이션 1기)|모브사이코 100]] - 무라키 * 2017년 * [[Fate/Apocrypha/애니메이션|Fate/Apocrypha]] - [[적의 버서커]], [[질 드 레(Fate 시리즈)|질 드 레]] * 2018년 * [[백련의 패왕과 성약의 발키리]] - 요르겐 * 2019년 * [[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 1기)|귀멸의 칼날]] - 일반 도깨비 * [[마법소녀 특수전 아스카]] - 김강수 *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 [[가루오거]] * [[모브사이코 100 Ⅱ]] - 무라키 * [[로비하치|Robi Hachi]] - 과대 *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 - [[타르미엘]] * [[캅 크래프트]] - 알렛산드로 고드노프 * [[트랜스포머 사이버버스]] - [[스타스크림(사이버버스)|스타스크림]], [[썬더크래커(사이버버스)|썬더크래커]], 렌앤루이, 락다운 * [[문호 스트레이독스(애니메이션 3기)|문호 스트레이독스 3기]] - 톰 뷰캐넌 * [[7SEEDS/애니메이션|7SEEDS]] - 효 * [[PSYCHO-PASS Sinners of the System Case.3 은원의 너머에]] - 장 마르셀 벨몬드 * 2020년 * [[신의 탑(애니메이션 1기)|신의 탑]] - 형광봉다리(3화에 나온 [[단역]]) * [[곰 곰 곰 베어(애니메이션 1기)|곰 곰 곰 베어]] - 겐츠 * 2021년 * [[일곱 개의 대죄: 분노의 심판]] - [[타르미엘]] * [[바니타스의 수기/애니메이션|바니타스의 수기]] - 가노 *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애니메이션 1기)|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 자노바 실론 * 2023년 * [[해고당한 암흑병사(30대)의 슬로우한 세컨드 라이프/애니메이션|해고당한 암흑병사(30대)의 슬로우한 세컨드 라이프]] - 베제리아 * [[무직전생 Ⅱ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 자노바 실론 * 기타 * [[슈팅 바쿠간|슈팅 바쿠간 4기]] - 다크온 코도코어 ==== OVA ==== * [[쓰르라미 울 적에]] 외전 네코고로시편 - 남자 * [[테니스의 왕자]] OVA 전국대회편 - 카바지 무네히로 * [[헌터×헌터]] OVA - 운전수 B * [[헌터×헌터]] G.I. Final - No.0 * [[캐슬바니아(애니메이션)|악마성 드라큘라 캐슬바니아]] - [[사신(악마성 시리즈)|사신]] ==== 극장판 ==== * [[극장판 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 - '''[[아처(도쿄 1차)|아라쉬]]''' * [[더 퍼스트 슬램덩크]] - [[정성구|노베 마사히로]] === 게임 === * 검성기 알파라이드 - 빅토르 * [[그대가 주인이고 집사가 나]] - 보브, 시부타쿠 * [[그라나도 에스파다]] - [[빈센트(그라나도 에스파다)|빈센트]] * [[그리자이아 시리즈]] - [[히스 오슬로]], 에드워드 워커 * [[대도서관의 양치기]] - 기자사마 * [[디아블로 4]] - [[이나리우스]] * [[러브레시브]] - 가루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볼리베어]] * [[마피아42]] - [[사기꾼(마피아42)|사기꾼]] * 무스메이커 - 소 세이지 * [[상주전신관학원 팔명진]] - '''[[나루타키 아츠시]]''' * [[스트리트 파이터 4]],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스트리트 파이터 5]] - '''[[마이크 바이슨]]''' * [[신 세계수의 미궁 밀레니엄의 소녀]] - 오스틴 * [[월광의 카르네바레]] - 파울로 * [[에픽세븐]] - [[도살부대원]] / [[카오스교 도살추적자]], [[군터(에픽세븐)|군터]] * [[응원단 시리즈]] - [[응원단 시리즈/캐릭터#s-2.3|도메키 카이]] * [[용과 같이 7: 빛과 어둠의 행방]] - 야스무라 미츠오 * [[이 푸른 하늘에 약속을]] - 하야마 카츠히코 * [[장갑악귀 무라마사]] - [[아시카가 모리우지]], 찰즈 윌로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올 스타 배틀 R]] - [[코바야시 타마미]] * [[진심으로 날 사랑해라!A]] - 쿠키 미카도 * [[진해마경]] - 타나카 요시하루 * [[타유타마]] - 키사라기 카즈히코 * [[토가이누의 피]] - 에이스 * [[트리 오브 세이비어 M]] - [[트리 오브 세이비어 M/펠로우|발렌티나스 나이몬]] * [[파랜드 심포니]] - 뮤오 * [[파 크라이 3]] - '''[[바스 몬테네그로]]''' * [[파 크라이 6]] - [[바스 몬테네그로]] *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 - 가브리엘, 그린스 * [[Dies irae(게임)|Dies irae]] - [[사쿠라이 무사시]] * [[Fate/Grand Order]] - '''[[질 드 레(Fate 시리즈)|질 드 레]]''', '''[[아처(도쿄 1차)|아라쉬]]''', [[스파르타쿠스(Fate 시리즈)|스파르타쿠스]], [[칼리굴라(Fate 시리즈)|칼리굴라]] * [[G선상의 마왕]] - 형사 등 남성 단역 * [[KOF 올스타]] - [[무카이]] * [[PRIMAL×HEARTS2]] - 얏타지마 키요시 * [[Sdorica]] - [[센노스케]] * [[SINCLIENT]] - 츠키미야 류자부로 === 특촬물 === * [[수전전대 쿄류저]] - [[분노의 전기 도골드]][* 한국판 성우 [[성완경]]도 이 캐릭터를 통해 첫 특촬물 더빙 경력이 생겼다.] === [[드라마 CD]] === * [[러브&리스]][* 사나기 토라지로의 상업지인 아헤오치 3초 전의 수록 드라마 CD] - '''니시무라 켄고로''' * [[바쿠가리]] - 고문(古文)선생 * [[Fate/Zero]] - [[캐스터(4차)|캐스터]] === 외화 더빙 === * [[21 점프 스트리트]] - 젠코([[채닝 테이텀]]) ※ 기내 상영 버전 * [[가름워즈: 마지막 예언자]] - 나샨 / 미라클 남자 목소리 * [[나르코스]] - [[나르코스/등장인물#s-2.1|하비에르 페냐]]([[페드로 파스칼]]) * [[닥터 스트레인지(영화)|닥터 스트레인지]] - 빌리 * 리틀 빗 오브 헤븐 - 비니([[피터 딘클리지]]) * [[물괴]] - 윤겸([[김명민]]) * [[아이칼리]] - 카일 * [[알리타: 배틀 엔젤]] - [[벡터(총몽)#s-3]]([[마허샬라 알리]]) *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엑스맨: 아포칼립스]] - 알렉스 서머스 / 하복([[루카스 틸]]) * [[예스터데이(영국 영화)|예스터데이]] - 록키(조엘 프라이) * [[지옥(드라마)|지옥]] - 이동욱([[김도윤(배우)|김도윤]]) * [[케이트(영화)|케이트]] - 렌지([[아사노 타다노부]])[* [[아사노 타다노부|이 배우]]도 일본인이지만 영어로 말하는 부분만 더빙하였다.] * [[트리플 프런티어]] - 프란시스코 '캣피쉬' 모랄레스([[페드로 파스칼]]) * [[피키 블라인더스]] - [[피키 블라인더스#s-3.2.2|알피 솔로몬스]]([[톰 하디]]) * [[화이트 하우스 다운]] - 존 케일([[채닝 테이텀]]) [[분류:일본 남성 성우]][[분류:1978년 출생]][[분류:가나가와현 출신 인물]][[분류:1996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