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리스트)] ---- [include(틀:역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 여자부 종합우승자)] ---- ||<-2>
'''{{{+1 취춘위}}}[br]曲春雨 | Qū Chūny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曲春雨.jpg|width=100%]]}}} || ||<|2> '''출생''' ||[[1996년]] [[7월 20일]] ([age(1996-07-20)]세) || ||[[헤이룽장성]] [[헤이허시]] 베이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신체''' ||170cm, 63kg || ||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width=23]]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br]{{{-1 주종목: 500m, 1000m}}}|| || '''SNS''' ||[[http://instagram.com/chunyuq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m.weibo.cn/u/2607638121|[[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로, 중국의 다른 동기 선수들과 함께 더티플레이로 유명하다. 중국 반칙 워스트 10 “10위” == 선수 경력 == === 2011-12 시즌 === [[2012 인스브루크 청소년 동계올림픽]] 때 [[심석희]]와 같이 출전한 500m 결승 경기에서 고의로 심석희를 넘어뜨리는 바람에 페널티를 받았다. === 2015-16 시즌 === ==== 월드컵 시리즈 ==== [[리옌]] 코치는 항상 올림픽이 끝나면, 많은 선수들을 월드컵에 출전시킨다. 세대교체를 하기 위해서 월드컵마다 선수를 바꿔서 출전시키는데, 그녀도 그 중 한명이라 자국에서 열렸던 4차 월드컵에서 첫 시니어 데뷔를 하게 되었다. 부진할 거라는 예상과는 달리, 첫 시니어 대회에서 아주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중국 쇼트트랙의 차세대 주자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하지만''' 자신이 더티플레이어라는 것도 대놓고 보여주었다. 본인의 첫 시니어 대회 결승인 1000m 경기에서, 심석희와 [[캐나다]]의 [[발레리 말테]], 네덜란드의 [[쉬자너 스휠팅]]과 출전했다. 그런데 약 4바퀴를 남겨놓은 시점에서, 무리하게 인코스로 파고든 다음 심석희와 말테를 밀치면서 심석희는 햄스트링에 약간의 부상을 입었고, 말테 역시 날 부분에 손해를 보았다. 이 추월로 퇴장당했으며 500m 경기에선 [[판커신]]과 [[마리안 생젤레]]에 이은 3위를 차지했다.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 ==== 4차 월드컵이 끝난 후 장이제, [[런쯔웨이]]와 함께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했다. 1500m 3위, 500m와 1000m 1위, 1500m 슈퍼파이널에서 5위를 차지하면서 본인의 첫 주니어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를 통해 장거리, 단거리 모두 골고루 잘타는 선수라는 것을 각인시켜주었다. 4차 월드컵의 성적이 좋았고,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종합우승을 차지하면서 상승세를 이어오는 것이 리옌 코치의 눈에 띄어 세계선수권 개인전에도 참여했다.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6 세계선수권]] ==== 500m 동메달, 1000m 4위를 차지하면서 단거리만큼은 국제급이라는 것을 보여주었고, 다음 시즌도 경험이 쌓이면 더욱 더 잘탈 것으로 '''예상되었다.''' === 2016-17 시즌 === 직전 시즌의 상승세를 이어가기는커녕 스타트도 더 느려지고 지구력도 더 안 좋아졌다. 시즌 시작 직전 리옌 코치가 취춘위와 [[판커신]]에게 지구력 훈련을 시켰다고 했는데, 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개인전 결승은 단 한 차례도 출전하지 못했으며, '''월드컵 메달을 하나도 획득하지 못했다.''' 물론 [[201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7 세계선수권]]에서 계주 금메달을 차지하긴 했지만, 판커신의 활약이 컸으며 본인은 그냥 출전에 의의를 두는 상황이었다. === 2017-18 시즌 === ==== 월드컵 시리즈 ==== 1차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이 빠져있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그런데 무슨 일인지 엔트리에 있었던 궈이한이 빠지고, 취춘위가 다시 들어왔다. 하지만 1, 2차 월드컵에서 정말 부진했고 3, 4차 월드컵에는 출전조차 하지 않아서 팬들은 올림픽은 출전하지 못하겠다고 예상하는게 대부분이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중국이 예전과는 다르게 12월 말에 올림픽 선발전을 치뤘는데, 그 때 성과를 보고 [[리옌]]이 남녀 각 8명을 지명하고 그 중에서 5명을 올림픽에 데려가는 식으로 선발하게 되었다. 그 선발전에서 활약이 좋았던 취춘위와 [[리진위]]가 다시한 번 기회를 얻게 되었고, 월드컵 멤버들과 훈련하기 시작했다. 결국 올림픽에 출전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이 났다. 500m와 1000m 경기에 출전을 하게 되었는데, '''갑자기 실력이 좋아진 모습'''을 보였다. 코스 장악력도 좋아졌으며, 500m 예선 경기에선 [[엘리스 크리스티]]와 [[심석희]]와 같은 조였음에도 불구하고, 크리스티가 올림픽 기록을 세울 정도로 스피드를 냈지만 절대 쳐지지 않으면서 끝까지 2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준준결승에서도 한국의 [[최민정]], 스타트가 세계 최고라고 할 수 있는 [[마르티나 발체피나]]와 같은 조였지만, 마지막 바퀴에서 침착하게 발체피나를 제치고, 바깥쪽으로 나오는 최민정을 잘 마크하면서, 최민정이 떨어진 뻔했으니 '''더 노련해졌다.''' 하지만 이후 준결승에서 캐나다의 [[킴 부탱]]과 충돌했고 고의적으로 부탱을 미는 장면이 나와 실격당했다. --더티플레이도 여전하다-- 그래도 컨디션이 워낙 좋아보였고 1000m 경기에도 출전했으며 예선 경기부터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사실 2016-17 시즌에는 6바퀴만 돌아도 랩타임이 10초까지 쳐지는 아주 극악의 컨디션을 보여주었지만, 마지막까지 9.3초대의 빠른 랩타임을 유지하면서 확실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었고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준준결승에서도 앞쪽에서 계속 끌어보면서 최민정에 이은 2위를 차지하면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후 준결승에서 최민정과 심석희와 같은 조를 편성받았다. 하지만, 마지막까지 쳐지지 않고 오히려 최민정을 추월시도해서 추월까지 성공했지만, 추월 과정에서 취춘위와 최민정의 충돌이 있으면서 패널티를 받았다. --가지가지한다.-- 그렇지만 올림픽에 맞춰서 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었고, 앞으로도 한국 팀이 견제해야 한다는 것을 확실히 알려주었다. 3000m 계주 역시 [[판커신]]의 무리한 마크로 인해 페널티를 받으면서 --전 종목-- 페널티를 달성했다. ==== [[20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8 세계선수권]] ==== 500m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1000m에서는 예선에서 옐로카드를 받고 광탈했다. 1500m에서는 상대 선수의 패널티로 준결승에 갔으나 7위로 경기를 마감했다. 3000m 계주에서는 실격받았으며, 3000m 파이널에서 8위를 기록했으나 레이스포인트 5점을 획득했던 상태였으므로, 5점을 추가로 획득했다. 최종 순위는 8위를 기록했다. === 2018-19 시즌 === 5차 월드컵에 출전했으나 부상을 당했는지 본선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201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500m, 1000m, 1500m에서 전부 패널티를 받았다. === 2019-20 시즌 === ==== 월드컵 시리즈 ==== 중국 여자부의 기량이 많이 향상된 가운데 500m와 1000m에서 실력이 많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 1차 500m에서 [[킴 부탱]]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 4차 500m에서 동메달을 차지했다. 계주에서는 주로 1번 주자로 출전해 1차와 2차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따는데 일조했다. * 5차 500m에서 부탱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3000m 계주에서는 네덜란드의 1번 주자인 [[라라 판라위번]]에 의해 밀려 넘어졌으나 끝까지 따라가 2위로 골인했고 네덜란드는 실격되지 않아 은메달을 땄다. * 6차 500m 결승에서 넘어져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 2021/22 시즌 === 월드컵 시리즈에서 판커신과 같이 중국 여자 대표팀 중에서 제 몫을 해주고 있다. 특히 혼성 계주에서 추월을 잘해주며 중국이 혼성 계주 세계 랭킹 1위를 차지하는 데 공언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2000m 혼성 계주에선 전경기에 나섰고[* 주로 2번주자로 나섰고 판커신이 출장하지 않은 준결승에서는 1번 주자로 나왔다.] 결승에서 1위로 들어오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다만 혼성 계주 준결승에서 중국 팀이 노터치 상태로 달렸음에도 실격받지않아 논란이 있다.] 1000m 준준결승에서 쉬자너 스휠팅과 같은 조에 편성됐고 현격한 실격 차이를 보이고 광탈했다. 500m는 준결승에서 페널티를 받았다. 3000m 계주 결승은 1번 주자로 나섰지만 부진했고[* 후반부엔 거리가 벌어지고 마지막엔 킴부탱에게 인코스를 내줬다.]3위로 들어와 동메달을 받았다. 특히 10바퀴 남은 상황 장추퉁에게 푸쉬를 받고 인코스를 선점하며 네덜란드의 [[잔드라 벨제부르]]를 제치고 1위를 치고 나오기까지 했지만, 이후 속도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바람에 재추월하는 벨제부르를 견제하지 못하고 선두를 지킬 기회를 날려버렸다.[* 벨제부르가 인사이드로 들어오지 못하게 바짝 붙어 견제한 [[김아랑]]도 취춘위의 속도가 느려 막힌건 덤이다.] == 수상 기록 == ||<-3>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25]]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22 베이징]][*A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판정 논란]]이 있던 종목이다.] || 혼성 2000m 계주 || || 동메달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22 베이징]] || 3000m 계주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7 로테르담]] || 3000m 계주 || || 동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6 서울]] || 500m || || 동메달 || [[20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8 몬트리올]] || 500m || ||<-3>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width=25]] {{{#white 청소년 올림픽}}} || || 은메달 || [[2012 인스브루크 청소년 동계올림픽|2012 인스브루크]] || 3000m 계주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소피아]] || 3000m 계주 || || 금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소피아]] || 종합 || || 금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소피아]] || 500m || || 금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소피아]] || 1000m || || 동메달 || [[201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4 에르주룸]] || 3000m 계주 || || 동메달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6 소피아]] || 1500m || == 기타 == * 꽤나 수수한 외모라는 평을 받기도 한다. * ISU 프로필 언어 항목에 [[한국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각주] [[분류:중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분류:헤이룽장성 출신 인물]][[분류:1996년 출생]][[분류:중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중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중국의 청소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12 인스브루크 청소년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