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깃발]][[분류:해군]] [목차] == 개요 == {{{+3 Commissioning pennant}}}[* 마스트 꼭대기에 단다하여 '''masthead pennant'''라고도 한다.] 취역기란 각 국의 [[해군]] 소속 [[현역|'''현역''']] 함정에 거는 깃발로, 간단히 페넌트라고 칭하기도 하며 [[일본]] 및 [[대만]] 등지에선 장기(長旗)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취역기는 한 척의 함정이 군에 소속되어 군함으로서의 삶을 끝낼때까지 [[마스트]]에서 내리지 않는다. 일대일로 대응되진 않지만 비유하자면 [[군인]]의 [[군번줄]]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대한민국 해군]]에선 이 취역기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17세기]] [[유럽]]의 해상 주도권을 놓고 [[영란전쟁|영국과 다투던]] [[네덜란드 해군|네덜란드 함대]] 총사령관 트럼프 [[제독]]은 [[함대]]의 모든 함선 마스트에 '[[영국 해군|영국 함대]]를 쓸어버리겠다'라는 의미로 [[빗자루]]를 거꾸로 매달도록 지시했다고 합니다. 이를 본 영국 함대의 블레이크 제독은 함선의 마스트에 [[채찍|말채찍]]을 달게 했는데, 오만한 네덜란드 함대를 말채찍으로 응징하겠다는 표현이었죠. 전투에서는 영국 해군이 승리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영국 해군의 함정들은 말채찍 형태인 기다란 삼각 끈을 마스트에 게양하고 다녔습니다. 이 삼각 끈이 전 세계 해군 함정들에 퍼져나가며 취역기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nd9090&logNo=221079269184|출처:국방부 블로그 "동고동락"]] || [[파일:Sail_of_USS_Wahoo_(SS-238)_at_Pearl_Harbor_with_broom,_in_February_1943.jpg|width=70%]] || || 1943년 초계 항해 중 일본군 보급선단을 격퇴하고 빗자루를 매단 채 복귀한 USS 와후 함(SS-238) || 다만 마스트에 채찍 모양을 딴 취역기를 다는 것이 현대 해군 문화로 자리잡았지만, [[미 해군]] 한정으로 빗자루를 달아놓는 문화 또한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는데, [[전시]]에 목표한 적 함대 및 보급선단을 전멸시킨 군함의 마스트에 그 옛날 트롬프 제독이 말했듯 '''"적을 모조리 쓸어버렸다"'''는 의미로 빗자루를 달아놓았고, 현대에 이르러 대규모 해전을 치를 기회가 없어지자 전력화 평가의 모든 요소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함정의 마스트에 달아놓는 것으로 남았다. == 각국의 취역기 == === 아시아 === || [[파일:대한민국 해군 취역기.png|width=100%]] || || [[대한민국 해군]] || || [[파일:中華民國海軍長旒旗.png|width=100%]] || || [[중화민국 해군]] || === 유럽 === === 아메리카 === || [[파일:USNavyCommissionPennant.svg|width=100%]] || || [[미합중국 해군]] || === 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