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충주 석씨(忠州 石氏)}}}''' || |||| [[파일:CHseok1.png]] || || '''관향''' ||[[충청북도]] [[충주시]] || || '''시조''' ||[[석린]]|| || '''중시조''' ||석여명|| || '''집성촌''' ||[[경기도]] [[이천시]], [[충청북도]] [[제천시]], [[경상남도]] [[창녕군]],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북도]] [[청도군]] 등 || || '''인구''' ||42,811명 (2015년) || || '''홈페이지''' ||[[http://seokfamilymt.com/html/main/|충주홍주석씨대종회]] || [목차] == 개요 ==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석씨는 이 성씨다. 시조는 고려시대의 상장군 [[석린]]이다. 이 석씨 이외의 석(昔)씨는 [[신라]]의 [[국성]]이자 [[탈해 이사금]]을 시조로 하는 [[경주 석씨]]가 있는데, 이들은 11,355명으로 훨씬 적다. == 역사 == 시조 [[석린]]은 출신이 불분명한 인물로, [[무신정변]] 때 선봉장을 맡아 많은 문신을 죽여 공을 세운 뒤, [[조위총의 난]] 진압에서 많은 활약을 해 상장군직에 올랐으니 권력 다툼에서 패배해 처형당했다. 이후로 종종 요직에 진출하면서 가문의 세를 유지했다. 가문이 명성을 얻는 것은 여말선초로, 5대손 석양선이 [[태조 이성계]]의 이모부가 된 것. 가문 전승에 의하면 [[이성계]]의 모친 [[의혜왕후]]는 일찍 죽었는데,[* [[의혜왕후]]의 생몰년도는 불명이다.] 이모와 이모부가 [[이성계]]를 각별히 돌보아 [[이성계]]가 [[조선]]을 세운 뒤에도 그 은덕을 잊지 않아 석양선을 홍양부원군에 봉했다. 이 인연으로 [[창녕군]]에는 [[이성계]]가 내린 편지를 모신 어필각이 있다. 그런데 재밌게도 석양선의 둘째 손자인 석여명은 고려의 충신으로 석여명의 대에 [[고려]]가 멸망했는데, 석양선과 인연이 있는데다 학식과 위풍이 높기로 명성 있던 석여명을 [[이성계]]가 불렀으나 석여명은 고려에 대한 충절을 천명하며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그 후 [[태종 이방원]]이 왕위에 앉은 후 다시 석여명을 불렀는데, 한성부판윤 겸 집현전 제학[* 요즘으로 치면 [[서울시장]] 겸 [[대통령실]] 특보]이라는 높은 관직을 제안했으나 역시 거절했다. 그러자 분노한 [[이방원]]이 석여명을 충주에 안치시켰는데, 석여명은 끝까지 버티다 충주에서 죽었다. 석여명을 전후로 석씨가 본격적으로 갈라지는데, [[조선]] 왕조에서 한성판윤을 지낸 석여명의 형 석수명은 아예 본관을 홍주[* 현재의 [[홍성군]]. 지금은 충주석씨와 다시 합쳤다.]로 옮겨 분관했고, 석여명의 세 아들로부터 충주 석씨의 종파가 갈라졌다. 첫째 석문수는 예조참판을 지냈고, 동생인 석문현은 이천현, 막내 석문성은 직제학을 지냈다. 석문성은 젊은 시절 [[공민왕]] 대의 왜구 토벌전에도 종군하여 승전한 전력이 있다. 이후 조선에서는 심심찮게 고위 관직을 내며 대단한 대가문까진 아니더라도 명문가의 지위를 유지했고, 각 지방의 집성촌도 지역에 영향력을 강하게 끼치는 곳으로 성장했다. == 종파 == 총 12개 파이다. 이 중 장파인 판윤공파는 조선시대 때 홍주로 분적하여, 현재도 후손들은 호적상 본관이 홍주로 되어 있다. || 1세 ||<|13> (생략) || 7세 || 8세 || 9세 || 10세 || 11세 || ||<|12> 석린[br]石鄰 ||<|12> 천을[br]天乙 || 수명[br]壽明 || 균[br]筠[br]'''판윤공파[br]判尹公派''' ||<-12> || ||<|11> 여명[br]汝明 || 문수[br]文守[br]'''참판공파[br]參判公派''' ||<-12> || || 문현[br]文賢 || 정신[br]貞信 || 성옥[br]成玉[br]'''참의공파[br]參議公派''' || ||<|9> 문성[br]文成 || 인정[br]仁正[br]'''모정공파[br]茅亭公派''' || || ||<|5> 의정[br]義正 || 사진[br]斯珍[br]'''병사공파[br]兵使公派''' || || 사성[br]斯珹[br]'''통덕랑공파[br]通德郞公派''' || || 사화[br]斯華[br]'''방어사공파[br]防禦使公派''' || || 옥점[br]玉玷[br]'''선전관공파[br]宣傳官公派''' || || 옥진[br]斯溱[br]'''첨정공파[br]僉正公派''' || || 예정[br]禮正[br]'''현감공파[br]縣監公派''' || || || 지정[br]智正[br]'''승지공파[br]承旨公派''' || || || 신정[br]信正[br]'''한림공파[br]翰林公派''' || || == 특이사항 == 시조 석린이 출세하기 전까진 정체불명의 인물이라 여러 말이 많다. 고려사에선 일반 천민으로 기록하는 반면, 가문에서는 중국에서 왔다는 설을 밀고 있고, 심지어 [[오호십육국]] 시대 [[후조]]의 황가라는 설까지 있다. 또 월성 석씨의 잃어버린 후예라는 말도 있는데, 기록 부족으로 무엇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다. 성씨가 정말 드문 듯 하면서도 주변을 찾아보면 한명쯤은 있는 성씨. 다만 경북 남부(대구 포함), 경남 북부에선 생각보다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성씨다. == 인물 == * [[석린]] - [[무신정권]] 유력자. * [[석경]] - [[조선시대]] 유명 화가로 [[몽유도원도]]를 그린 [[안견]]의 제자. * [[석창문]] - [[정미의병]] 의병장 * [[석창건]]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 [[석창륜]]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 [[석현준]] - 축구 선수 * [[석주일]] - 유명 농구선수이자 방송인 * [[석진이]] - 현)현대홈쇼핑 쇼호스트 이자 SBS공채탤런트 * [[석진욱]]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배구단의 레전드 수비수이자 [[안산 OK금융그룹 읏맨]]의 감독, * [[석동현]] - 법조인 겸 정치인 * [[석성민]] * [[석숙희]] - 아프리카 TV BJ * [[석광렬]] - 요절한 90년대 하이틴 스타 * 석옥이 - 전국노래자랑 MC 송해의 부인 * [[석해균]], [[아덴만 여명 작전]] 당시 능숙한 대처로 작전을 도운 삼호주얼리 호의 선장. == 관련 항목 == [[석(성씨)]], [[석린]] [[분류:충주 석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