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충북대학교)] [include(틀:충북대학교)] [목차] == 개요 == 충북대학교의 연혁을 설명하는 문서. [[http://www.cbnu.ac.kr/site/www/sub.do?key=1223|출처]] == 1959년 이전 == * 1951년 * 09.27 도립 청주농과초급대학(2년제)으로 개교 * 1953년 * 01.10 도립 청주농과대학(4년제)으로 승격 * 1956년 * 04.23 도립 충북대학으로 개명 == 1960년~1979년 == * 1962년 * 03.01 [[충남대학교|충남대학교]]와 통합, 국립충청대학교로 교명변경 [* [[충남대학교/역사]] 문서의 2.3문단 참고] * 1963년 * 03.01 국립 충북대학으로 개편(충남대학교와 분리) * 1968년 * 01.10 대학원 설립 인가 * 1975년 * 03.10 교육대학원 설립 인가 * 1977년 * 12.31 국립 충북대학교로 승격(공과대학, 농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설립 인가) * 1978년 * 03.21 농업박물관 및 종합박물관 개관 * 09.01 사범대학부설중등교육연수원 설치 인가 * 10.07 약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설립 인가\ * 1979년 * 05.28 연초연구소, 농업과학연구소, 약품자원개발연구소 설치 * 06.15 사회과학연구소 설치 * 09.22 인문대학 설립 인가 == 1980년~1989년 == * 1981년 * 03.12 사범대학부속과학교육연구소 설치 * 1983년 * 03.31 출판부, 인문학연구소 설치 * 1984년 * 02.09 농과대학부속동물병원 설치 * 03.01 사범대학부속중학교 설립 인가 * 10.05 자연과학대학 의예과 설립 인가 * 11.27 평생체육연구소 신설 * 1985년 * .11.22 산업과학기술연구소 설치 * 11.23 중앙도서관 개관 * 12.18 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설립 인가 * 1986년 * 02.22 건설기술연구소 설치 * 05.23 기초과학연구소 신설 * 11.06 경영대학, 의과대학 설립 인가 * 12.05 바이오연구소 설치 * 1987년 * 09.01 공동실험실습관 설치 * 11.04 산업경영연구소 설치 * 11.09 행정대학원 설립 인가 * 1988년 * 10.29 법과대학 설립 인가 * 1989년 * 06.01 사범대학부설교육매체센터 및 법과대학부설법학 연구소 설치 * 11.16 산업대학원 설립 인가 == 1990년~1999년 == * 1991년 * 10.22 생활과학대학 설립 인가 * 11.16 경영대학원 설립인가 * 1992년 * 03.13 농과대학부설식물종합병원 개원 * 07.28 의학연구소 설치 * 1993년 * 09.03 수의과대학 설립 인가 * 1994년 * 08.10 반도체/정보분야 공과대학 국책지원대학 지정 * 1996년 * 03.01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지역협력연구센터(RRC)로 지정 * 03.13 첨단원예기술개발센터 개소 * 09.20 사회교육원(현재의 평생교육원) 설립 * 11.04 법무대학원 설립 인가 * 1997년 * 04.30 중원문화연구소, 컴퓨터정보통신연구소 설치 * 1999년 * 09.10 교육부 두뇌한국21 사업 수행 대학 선정 == 2000년~2009년 == * 2000년 * 01.11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신설 * 02.12 국제교육원 개원 * 03.29 학연산공동기술연구원 설립 * 08.31 종합서비스센터(TSC) 개소 * 2001년 * 01.01 [[한국교통대학교/증평캠퍼스|구 청주과학대학]] 관리권 본교이관 * 09.01 국립학교설치령에 따른 조직 개편 * (2처 1실 11과 3담당관실 12행정실→3처 1국 11과 8행정실) * 12.21 경영대학원 → e-비즈니스경영대학원(명칭 변경) * 2002년 * 03.05 의학전문대학원 설립 인가 * 08.19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종양연구소 설치 * 09.03 금융수학연구소 설치 * 2003년 * 03.01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명칭 변경) * 03.01 기업정보화지원센터 설치 * 04.01 대학본부 행정조직 개편 3처 1국 11과 8행정실 → 3처 1국 9과 * 05.30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설치 * 06.13 러시아연구소 설치 * 2004년 * 02.19 산학협력단(교수/연구과) 신설 * 04.06 e-Learning센터 설치 * 07.01 실험동물연구지원센터 설치 * 09.01 한의학연구소 설치 * 11.24 동물의료센터 설치 * 2005년 * 01.06 농과대학 → 농업생명환경대학(명칭 변경) * 02.03 자료관 및 자연과학대학부설과학기술진흥센터 설치 * 03.01 입학· 취업과 → 입학·장학과(명칭 변경) * 03.01 종합인력개발원 설치 * 05.19 장애지원센터 설치 * 2006년 * 02.28 국어생활연구소 설치 * 03.01 e비즈니스경영대학원 → 경영대학원(명칭 변경) * 04.21 공학교육연구센터 설치 * 08.01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설치 * 08.16 대학본부 행정조직 개편 : * 교육연구처, 학생입학처,기획협력처 → 교무처, 학생처, 기획처(명칭 변경) * 12.29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설치 * 2007년 * 02.21 우암연구소 설치 * 04.17 공학교육연구센터 → 공학교육혁신센터(명칭 변경) * 06.14 양성평등상담소 설치 * 2008년 * 01.03 e-Learning센터, 사범대학부설교육매체센터 폐지 → 교수학습지원센터 설치 * 02.29 자료관→기록관(명칭 변경) * 04.29 러시아연구소→러시아·알타이지역연구소(명칭 변경) * 07.22 한의약연구소, 지속가능경영연구소 폐지 * 09.01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인가 * 12.17 그린에너지연구소 설치 * 2009년 * 01.01 학내 조직개편 : * 입학장학과 → 입학관리과, 기획과 → 기획평가과(명칭 변경), 대외협력과(신설) * 02.04 국어생활연구소 폐지 → 국어문화원 설치 * 03.01 사범대학중등교육연수원 → 사범대학교육연수원(명칭 변경) * 03.01 전자정보대학 신설 * 03.01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 08.07 입학관리본부 신설(입학관리과, 입학전형실), 대학신문사 → 신문방송사(명칭 변경),천체물리연구소 설치 == 2010년~2019년 == * 2010년 * 02.12 충북대학교환경자원분석센터(학교기업) 설치 * 06.09 IDEC 충북대지역센터 설치 * 07.01 보건진료소 → 보건진료원(명칭 변경) * 07.01 학연산공동기술연구원 폐지(산학협력단 부속시설 편입) * 08.27 국제교육원 → 국제교류원(명칭 변경) * 08.27 기초교육원 설립 * 11.12 인간심리연구소 설치 * 2011년 * 03.24 창업지원단 설치 * 06.20 창업지원단 폐지 * 06.20 의과대학: 부속의학교실 설립 * 06.20 법학전문대학원: 부속리걸클리닉센터 설립 * 06.20 한국지방교육연구소 설치 * 11.30 자율전공학부, 융합학과군 신설 * 2012년 * 02.29 교육인증원 설치 * 06.13 사회봉사센터 설치 * 06.27 노화연구소 설치 * 10.16 의생명과학융합경영대학원 설립 * 10.25 학생군사교육단, 과학영재교육원 설치 * 11.30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 설치 * 2013년 * 06.17 창업지원단 설치 * 11.29 한·독 줄기세포 재생의학 국제공동연구소 설치 * 2014년 * 04.10 생태환경독성연구소 설치 * 11.01 학내 조직개편 * 학사과 → 학사지원과(명칭 변경), 기획평가과 → 기획과,평가지원과(분리) * 대외협력과 → 홍보부, 발전기금재단(분리), 경리과 → 재무과(명칭 변경) * 입학관리본부 → 입학본부(명칭 변경), 종합인력개발원 → 취업지원본부(명칭 변경), 국제교류원 → 국제교류본부(명칭 변경) * 2015년 * 02.17 체육진흥관리위원회 → 체육진흥원 신설(명칭변경), 인재등용원 → 인재양성원(명칭변경) * 02.17 국가미래기술경영 연구소 신설 * 06.23 건강센터 신설 * (보건진료원 → 건강센터 보건진료원, 취업지원본부 상담부 →건강센터 학생생활상담소) * 06.23 인권센터 신설 * 06.23 기초교육원 → 창의융합교육본부(명칭 변경) * 11.30 행정대학원 폐지 * 11.30 세종국가정책대학원 설립 인가 * 12.30 현장실습센터 신설 * 2016년 * 04.06 교학부총장, 대외협력연구부총장, 산학연구본부, CBNU I&D GROUP신설 * 04.29 기업정보화지원센터 → 빅데이터연구소(명칭 변경) * 07.07 대학운영지원실,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신설 * 10.10 유럽문화연구소, 중국학연구소 신설 * 11.14 금융수학연구소→산업응용수학연구소(명칭 변경), 한·독 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소→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소(명칭 변경) * 2017년 * 01.04 밝은인터넷연구소 신설, 충북대학교 교육인증원 → 충북대학교 교육혁신연구원(명칭 변경) * 03.31 인공지능연구소 신설 * 04.28 사범대학 부속 임용지원센터 신설 * 06.28 안전관리본부 신설 * 08.31 밝은인터넷연구소 → 보안경제연구소(명칭 변경) * 09.29 충북·세종 상생발전협력단 신설, 지역재생연구소 신설, 기생생물연구소 신설 * 12.22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임상연구교육지원센터, 충북대학교 SW시험검증연구소 신설 * 2018년 * 02.21 충북·세종상생발전협력단 신설, 의과대학 부속 임상연구교육지원센터 신설 * 06.01 생활과학대학 부설보육교사교육원 폐지, 생활과학대학 부설보육교사교육원 부속어린이집 → 생활과학대학부설 어린이집 (명칭 변경) * 10.05 충북대학교 도시안전연구소 신설 * 2019년 * 03.26 직장어린이집 신설 * 05.01 국제개발연구소 신설, 스마트카연구센터 신설 * 09.01 대학원정책실 신설, 양성평등상담소를 인권센터 하위기구로 통폐합 == 2020년~ == * 2020년 * 01.02 충북SW융합교육원 신설 * 03.04 대외협력본부 신설 * 07.10 대학원정책실 : 부속시설 → 대학본부 승격, 대학본부 행정조직 (3처 1국 8과 → 3처 1국 1실 8과),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수의학교육실 신설 * 08. 05 산업인공지능연구센터 신설 * 09. 07 충북바이오헬스산업혁신센터 신설 * 11. 04 연초연구소 → 천연물소재연구소(명칭변경) * 12. 07 수의방역대학원 설립 인가, 북방농업대학원 설립 인가 * 2021년 * 01. 28 보건과학융합연구소 신설 * 05. 26 지식재산전문인력 양성센터 신설, 방사광가속기 융합연구소 신설, 사범대학 부속 미래교육센터 신설 * 08. 19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단 신설 * 09. 01 산학연구본부 폐지 → 연구처 신설 (3처 1국 8과 → 4처 1국 9과), 교육혁신연구원 → 교육혁신본부 승격, 전산정보원 → 정보화본부 승격 * 09. 15 융합기술경영혁신센터 신설 == 관련 문헌 == *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041062882&gubun=search|충북대학교 삼십년사(198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충북대학교, version=1149, paragraph=1.1)] [[분류:충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