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명칭이 충남선이었던 노선, rd1=장항선)] [[분류:계획이 무산된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include(틀:계획취소)]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미건설선]]으로 1966년에 착공되었으나 완성되지 못했다. 당시 노선은 현재의 [[장항선]]과는 달리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부여군]]을 거쳐 [[서천군]]을 연결할 예정이었다. 일반 [[철도 동호회]]들과 주민들 사이에는 이 노선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 중간 정차역으로는 논산을 출발하여 정지, 석성, 능산역을 거쳐 부여역에 정차할 예정이었다. == 역사 == [[파일:충남선기공식.jpg]] 1965년 [[박정희]] 정권 시절 철도건설 7개년 계획에 ‘부여선’이라는 이름으로 포함된 것이 시초였다. 이후 1960년대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도 포함된 노선으로 건설의 목적은 비인공단의 공업품 수송 및 부여지구의 관광 개발로, 노선은 [[논산역]]에서 분기하여 부여를 경유한 뒤 [[서천역]]에 접속하여, 서천역에서 다시 [[비인선]]과 연결할 계획으로 논산에서 서천까지의 총 연장은 64.0km으로 그 결과로 이듬해 11월 20일에 기공식을 거행하였으며 1차 구간으로 논산~부여간 24.0km를 착공했다. 이 배경에는 부여 출신인 [[김종필]]과 논산 출신인 [[양순직]] 의원이 정치적인 이해에 의해서 추진한 것도 한 몫 했다. 당시 주민들에 따르면 기공식이 열리던 날은 주민들의 기대를 받게 되었고 부여에도 철도가 다닐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은 잠시뿐이었다.''' == 건설 취소 == 1967년 시점에서 2.6%의 공정률을 보이는 등의 [[티스푼 공사]]가 이루어지고 차관 도입도 차질을 빚는 등 막장상황이 이어지다가 결국 다른 철도 건설 사업에 재원이 우선 투입되면서 이 계획은 사장되었다. == 근황 == 만약 이 노선이 개통되었다면 [[부여군]]도 지금보다 좀 더 발전할 수 있었을 것이었고 동시에 관광 홍보 효과도 높았을 것이다. 이후 현재 철도부지는 민간에게 넘겨주게 되었고 [[논산역]]에서 얼마 떨어진 한 건물부터 [[금강]] 부근까지가 공사 흔적이 소수 남아 있으며 그 중 정지리 일대의 농업용 도로는 철도 부지이며 그 일대 위치한 서라마을은 정지역 예정지로 현재 주택이 들어서 있고 일부 농지는 건설하려던 미니철교 교각이 남아 있으며 [[부여군 농어촌버스/700번대]]의 다수 노선이 이 노선의 예정구간을 대체하여 운행하고 있으나 정지리 일대를 지나지 않는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2>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논산역|논 산]] || 論 山 || ~~─~~ || ~~─~~ || ~~─~~ || [[호남선]] ||<|4> [[충청남도]] [[논산시]] || || ?? || 정 지 || 定 止 || ~~─~~ || ~~─~~ || ~~─~~ || ~~─~~ || || ?? || 석 성 || 石 城 || ~~─~~ || ~~─~~ || ~~─~~ || ~~─~~ || || ?? || 능 산 || 陵 山 || ~~─~~ || ~~─~~ || ~~─~~ || ~~─~~ || || 24.0 || 부 여 || 扶 餘 || ~~─~~ || ~~─~~ || ~~─~~ || ~~─~~ ||<|1> [[충청남도]] [[부여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