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ShockPoint Drive'''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hockpoint.png|width=100%&height=100%]]}}} || || 충격점 항법의 시각화[* 해당 이미지는 [[데드 스페이스]]를 시작할 때 맨 처음 나오는 로딩 화면의 모습이다.] ||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성간 항해 방식. 개발자는 [[이시무라 히데키]]. 200년 전 시점을 다루는 [[데드 스페이스: 기폭제]]에서도 등장하고, 애초에 이시무라 히데키는 [[마이클 알트만]]과 동시대를 살았고, 블랙 마커 연구소에서 인류 최초의 네크로모프 사태로부터 탈출했던 사람인 만큼 매우 오래된 기술이다. 작중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위의 시각화나 작중 충격점 항법의 묘사[* 안에서 보면 함선 밖의 풍경이 충격파가 지나가는 것으로 보이고, 밖에서 보면 순간적으로 가속해서 한 줄기 빛처럼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알큐비에레 드라이브]]에 더 가까운 방식이다. 현실의 이론에서는 음의 질량, 또는 허수 질량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해 앞의 공간은 수축시키고, 뒤쪽 공간을 팽창시키는 방식이지만, 게임에서의 원리는 확인할 수 없다. 이 항법을 사용하려면 특이점 코어(Singularity core)라는 장비가 필요하다.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에서 [[USG 이시무라|이시무라호]]를 수리하다가 결국 탈출을 계획하면서, 이 물건을 구하려고 아이작이 [[USM 밸러|밸러함]]으로 들어가는 개고생을 하게 된다. 셔틀 같은 소형함은 동력만 충분하다면 드라이브 한 개로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이시무라호 같은 대형함은 충격점 항법에 필요한 드라이브 개수도 많다. 이시무라 호에 장착된 드라이브의 개수는 무려 16개. 게다가 본래 드라이브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함선도 드라이브만 달아주면 충격점 항법을 사용할 수 있다. 3편 DLC Awakened에서 [[고대 함대|CMS 테라 노바]]를 이용해 지구로 귀환하기 위해 [[제이콥 대닉]]이 끌고 온 소형함에서 드라이브를 떼어다 달고 원자로를 폭주시켜 충격점 항법에 필요한 동력을 충당하자 곧바로 지구로 귀환할 수 있었다. 충격점 항법으로 인류가 다른 항성계로 진출할 수 있게 되면서 환경 위기는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그러나 자원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이후 [[플래닛 크랙]]을 통해 대량의 자원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비로소 인류는 불안하지만 다시금 황금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분류:데드 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