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춤]][[분류:우랄족]][[분류:퉁구스의 문화]] [목차] == [[리듬]]·[[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것 == [[파일:춤.gif|width=400]] [[파일:externalFile-6.gif]] 춤은 혼(정신)과 몸(신체)을 통해 무언가를 표현하는 [[예술]]의 한 종류이다. 춤은 [[동사]] '추다'에서 파생된 [[동족목적어]]이며 비슷한 [[단어]]로는 [[꿈]], [[잠]] 등이 있다. 춤, 댄스(dance) 또는 [[무용]][* [[한자어]]로는 무용이지만, 한국에서는 무용이라는 단어가 다소 좁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무용이라고 하면 [[클래식]]하고 [[예술]]적인 춤들을 가리킨다.]은 [[음악]]이나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특히 [[아이돌]] 등 댄스 가수의 노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 중의 하나이며, 춤을 전문으로 하는 [[직업]]을 [[댄서]][* 무용가, 코레오그래퍼 등으로도 부를 수 있다.]라고 한다. 춤으로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 중 본인의 끼, 자질, 표현력 이전에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게 있다. 다름 아닌 '''[[체력]]'''. 몸을 별로 움직이지 않는 굉장히 절제된 동작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 그러나 이런 장르도 엄청난 [[지구력]]을 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방심하면 안된다.]하면 춤이라는 행위는 상당한 시간 동안 집중력을 발휘하여 표현하는 것이기에, 어설픈 [[저질체력]]으로는 성립이 안된다. 표현을 하려고 해도 체력의 부족함이 원인이 되어 바닥에 쓰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기초 체력부터 갖추고 나서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치기 [[https://www.youtube.com/watch?v=Gxe3F6hF27M|쉽다.]] 그래서인지 아이돌 그룹의 메인댄서의 경우 학창시절 특기가 달리기였다는 썰을 푸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 때문에 전문 댄서와 시비붙지 말라는 말이 있다. 댄서들의 힘이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어디 한대 치면 뼈가 부러지는 것이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격투가]]의 경우에는 자신의 힘이 어느정도인지 알기 때문에 힘조절이 되지만, 그걸 모르는 직업군들은 언제나 풀파워로 치기 때문.[* 이는 원예가, 제빵사, 요리사 등의 힘을 많이 쓰는 직업이나 심지어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 같은 악기연주자에도 해당된다.] 물론 그냥 [[취미]]로 즐기고 싶을 뿐이라면 크게 상관없다. 예를 들어, 아이돌 춤을 따라 추고 싶다면 누구든 [[유튜브]]에 올라와있는 가이드 영상을 활용해 어설프긴 하겠지만 어떻게든 따라 출 수는 있다. 춤이 칼로리 소모가 심하고, 특히 아이돌 댄스의 난이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지만 춤이라곤 춰본 적이 없는 몸치·박치도 일단 [[연습]]만 꾸준히 해주면 일정수준의 능숙함과 체력 상승이 보장될 수는 있다. === 춤의 종류 === ||목록은 [[춤 관련 정보]], [[:분류:춤]] 참조.|| 춤은 추는 사람의 수를 기준으로 혼자 추는지, 짝을 지어 추는지, 단체로 추는지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춤의 사회적 의미나 용도에 따라 의식을 위한 무용, 대회용 춤, 공연용 춤, 사교 춤 등으로도 나눌 수 있다. 음악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고 시대에 따라 분류 할 수도 있으나 결국 어느 시대에나 춤을 추는 사람의 수와 그 용도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완전히 깔끔하게 분류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춤은 수백 수천 가지로 중복 분류될 수 있으나 이곳에는 크게 대분류만을 표시한다. * 민속 무용(Folk dance): 각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춤. 한국으로 치면 [[강강수월래]]나 살풀이 춤 등이 포함되는 것이며, 스페인의 [[플라멩코]]나 러시아의 [[폴카]], 근동/중동 지방의 [[벨리 댄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발레]](Ballet): 유럽에서 주로 발달한 고전 무용의 대표주자. * [[왈츠]](Waltz): 고전 무용의 대표적 사교 춤. * 근대 무용(Modern dance): 20세기 미국 무용가 이사도라 던컨이 창시한 무용이다. 참고로 영문 명칭이 Modern dance이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현대 무용이라 일컫는 Contemporary dance와 혼동의 여지가 있다. * 포스트모던 무용(Postmodern dance): 근대 무용도 창시자들이 개척한 틀에 갇히자 1960년대 완전히 자유로운 무용을 만들자는 운동으로 결과로 탄생한 무용. * 현대 무용(Contemporary dance): 말 그대로 현시대의 무용이다. 발레와 근대 무용, 포스트모던 무용을 거치며 각 무용들의 구성들을 물려받았다. * [[아크로밧]](Acrobat): 고전 무용에 [[리듬체조]]와 곡예적 요소가 들어간 장르 * 컨트리 댄스(Country/Western dance): 18세기 미국 서부 개척시대에 여러 문화권의 민속무용들이 섞여가며 형성된 사교춤의 한 장르이다. 컨트리 송에 맞추어 춤을 추며, 그 하위 분류로는 라인 댄스가 대표적이다. * 재즈 댄스(Jazz dance): 재즈 음악과 함께 발달한 춤. 1920년대 등 초반에는 스윙 댄스와 큰 차이점이 없었으나, 1950년대를 넘어서며 모던재즈 댄스, 탭 댄스의 영향을 받은 코믹재즈, 아프로재즈 댄스 등으로 분화되었다. * 스윙 댄스(Swing dance): 음악으로서의 스윙은 재즈의 한 종류이긴 하나, 스윙 댄스는 스윙 재즈 음악 보다 먼저 형성된 장르이다. 현대에도 재즈 댄스와 스윙 댄스를 분리해서 다루는 경향이 크다. 찰스턴, 부기우기, 캐롤라이나 샥 등이 대표적. 라틴 댄스와 혼합된 자이브도 스윙 댄스의 일종이다. * 라틴 댄스(Latin dance): 라틴 아메리카에서 발달한 사교 춤, 민속 춤들을 묶은 장르. [[차차차]], [[룸바]], [[삼바]], [[탱고]] 등 유명한 춤들을 포함한다. * 디스코 댄스(Disco dance): 일렉트로 댄스, 하우스댄스, 맬버른 셔플, [[보깅]] 등을 포함한다. * [[스트릿댄스]](Street dance): 순수 무용으로부터 유래하지 않은 다양한 대중문화 기반의 춤들을 함께 묶은 장르다. [[비보잉|브레이킹]], [[락킹]], [[팝핀]] [[왁킹]], [[힙합(스트릿댄스)|힙합]], [[크럼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탭 댄스(Tap dance): 신발을 바닥에 부딧쳐 소리를 내는 요소가 들어가있는 춤. 모던 탭 댄스가 매우 유명하지만, 민속무용인 영국의 클록 댄스나 아일랜드 스탭댄스, 미국흑인문화의 스탭핑, 스페인의 플라멩고도 탭 댄스의 일종이다. * [[포고]](Pogo): 제자리에서 뜀박질을 하여 하는 춤. 자신의 발다리를 이용하여 뛸 수도 있고, 포고스틱(스카이 콩콩)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유례는 민속무용에 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현대에서는 주로 락 콘서트장 등에서 콘서트 관객들이 추는 하드락 포고나 메탈 모쉬 등을 분류할 때 쓰인다. == [[순록]]의 가죽으로 만든 집 == [include(틀:만주 관련 문서)] ||[[파일:춤(집).jpg|width=500]] || ||[[부랴트 공화국]]에 있는 [[어웡키족]] 전통 춤(집). || 'chum'이라고 부르며, 우랄계 원주민 및 퉁구스 제족 등 [[시베리아 원주민]]들이 이 집에서 생활한다. 주로 [[서시베리아 평원]] 등 시베리아 서부에 많이 있지만 [[몽골]] 북부, [[중국]] 만주 북부에도 있으며 [[몽골어]]로는 '우르츠(Урц)'라고 부른다. == [[Ado(가수)|Ado]]의 노래 [[踊(Ado)|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踊(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