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춘천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강원특별자치도)]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br]{{{-1 {{{#fff 후평동, 효자동, 약사명동, 조운동 등[br]春川市·鐵原郡·華川郡·楊口郡 甲[br]Chuncheon–Cheorwon–Hwacheon–Yanggu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26,285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강원특별자치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춘천시|{{{#373a3c,#ddd 춘천시}}}]] 일부''' 소양동, 교동, 조운동, 약사명동, 근화동,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면, 남산면}}} || ||<-2> '''신설년도'''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 ||<-2> '''이전 선거구''' ||<-2> [[춘천시(선거구)|춘천시]]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허영(1970)|허영]] || [목차] [clearfix] == 개요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춘천시(선거구)|춘천]] ([[김진태]]) || '''춘천·철원·화천·양구 갑''' ([[허영(1970)|'''허영''']])[br][[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춘천·철원·화천·양구 을]] ([[한기호]]) || 정식 선거구명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이지만, [[춘천시]]의 남부 지역만 배정되어 있어 사실상 [[춘천시 갑]]이나 다름없다.[* 이렇게 선거구명과 실제 지역이 다른 [[지역구]]들은 [[전라남도]]의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서울특별시]]의 [[중구·성동구 갑|중구·'''성동구''' 갑]], [[부산광역시]]의 [[북구·강서구 갑|'''북구'''·강서구 갑]], [[인천광역시]]의 [[동구·미추홀구 을|동구·'''미추홀구''' 을]] 등이 있다. 참고로 볼드체를 친 지역구가 유일하게 속한 지역구이다.] 춘천시는 대체로 보수 정당이 한 끗차로 승리를 거두던 편이었는데, 여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였던 [[석사동]]과 [[퇴계동]]이 갑 선거구에 붙었고, [[동면(춘천)|동면]]은 을 선거구에 붙었다. 국회의 역대 선거구 개편 방향을 살펴보면 특히 이번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구]] 결정 과정에서도 알 수 있듯이 헌법재판소의 결정 등의 급변이 없는 한 가급적 기존 선거구 체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가감만 있을 뿐이었기에 [[강원도]] 인구가 다음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경까지 30만명 이상 급등하지 않는 이상 앞으로 이 선거구 체제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을 선거구 문서를 참조할 것.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허영(1970)|허영]] 의원이다. 여담으로, 춘천시의 관광지들이 거의 전부 이 선거구에 몰려 있고, 철도도 이 쪽으로만 다닌다. 선거구 이름이 너무 길어서 춘철화양 갑, 아니면 아예 춘천시 선거구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구 개편 이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춘천시(선거구))]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한승수]] ||<|2> [include(틀:민주정의당)] ||<|2>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춘천시 || || [[이민섭]] || 춘성군·양구군·인제군 || ||<|2> 제14대 || [[한승수]] ||<|2> [include(틀:민주자유당)]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춘천시 || || [[이민섭]] || 춘천군·양구군·인제군 || ||<|2> 제15대 || [[한승수]] || [include(틀:신한국당)] ||<|2>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춘천시 갑 || || [[류종수]]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춘천시 을 || || 제16대 || [[한승수]]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5> '''춘천시''' || || 제17대 ||<|2> [[허천]]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김진태]]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허영(1970)|허영]]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ffffff {{{+1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br]{{{#ffffff 춘천시 신사우동, 신북읍, 사북면, 북산면,[br]동면, 서면을 제외한 지역[*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조운동, 약사명동, 근화동, 소양동, 교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산면, 남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허영(1970)|{{{#373a3c,#dddddd 허영}}}]](許榮)''' || '''66,93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1.32%''' || '''당선''' || ||<|2> {{{#ffffff {{{+5 '''2'''}}}}}} || [[김진태|{{{#373a3c,#dddddd 김진태}}}]](金鎭台) || 57,298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3.93% || 낙선 || ||<|2> {{{#000000 {{{+5 '''6'''}}}}}} || [[엄재철|{{{#373a3c,#dddddd 엄재철}}}]](嚴在鐵) || 5,339 || 3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4.09% || 낙선 || ||<|2> {{{#ffffff {{{+5 '''7'''}}}}}} || [[한준모|{{{#373a3c,#dddddd 한준모}}}]](韓寯模) || 841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353 ||<|3> '''투표율'''[br]68.51% || || '''투표 수''' || 131,779 || || '''무효표 수''' || 1,369 || ||<:><-5> {{{#FFFFFF '''21대 총선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허영(1970)|{{{#ffffff '''허영'''}}}]] || [[김진태|{{{#ffffff 김진태}}}]]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6,932 [br] (51.32%)'''}}} || '''57,298 [br] (43.93%)''' || '''+ 9,634 [br] (△7.39)''' || '''131,779 [br] (68.51%)''' || || '''소양동'''[* 소양로2·3·4가 · 중앙로1가 · 봉의동 · 옥천동 · 요선동 · 낙원동을 관할하는 동네] || {{{#004EA2 52.01%}}} || 43.99% || △8.02 || 68.78 || || '''교동'''[* [[한림대학교]]가 있는 동네이다.] || 47.16% || {{{#EF426F 47.82%}}} || ▼0.66 || 68.44 || || '''조운동'''[* 조양동 + 운교동] || {{{#004EA2 50.09%}}} || 45.36% || △4.73 || 67.58 || || '''약사명동'''[* 약사동 · 중앙로2·3가 · 죽림동을 관할하는 동네] || 46.09% || {{{#EF426F 49.79%}}} || ▼3.70 || 71.56 || || '''근화동'''[* 근화동 · 소양로1가 · 중도동을 관할하는 동네] || {{{#004EA2 49.76%}}} || 45.87% || △3.89 || 62.03 || || '''후평1동''' || 45.83% || {{{#EF426F 49.53%}}} || ▼3.70 || 62.32 || || '''후평2동''' || {{{#004EA2 50.99%}}} || 44.26% || △6.73 || 65.21 || || '''후평3동''' || {{{#004EA2 50.33%}}} || 44.63% || △5.70 || 65.03 || || '''효자1동''' || {{{#004EA2 49.69%}}} || 46.37% || △3.32 || 72.61 || || '''효자2동'''[* [[강원대학교/춘천캠퍼스|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가 있는 동네이다.] || 45.62% || {{{#EF426F 49.32%}}} || ▼3.71 || {{{#696969 58.63}}} || || '''효자3동''' || {{{#004EA2 51.24%}}} || 44.15% || △7.09 || 64.44 || || '''석사동'''[* [[춘천교육대학교]]가 있는 동네이다.] || {{{#004EA2 52.57%}}} || {{{#696969 42.21%}}} || △10.36 || 66.89 || || '''퇴계동''' || {{{#004EA2 '''53.44%'''}}} || 42.23% || '''△11.21''' || 68.76 || || '''강남동'''[* 온의동 · 칠전동 · 송암동 · 삼천동을 관할하는 동네] || {{{#004EA2 50.23%}}} || 45.96% || △4.26 || 69.43 || || '''동산면''' || {{{#696969 33.91%}}} || {{{#EF426F '''63.40%'''}}} || {{{#696969 ▼29.48}}} || 69.37 || || '''신동면''' || 44.73% || {{{#EF426F 51.39%}}} || ▼6.66 || '''74.85''' || || '''동내면''' || {{{#004EA2 52.10%}}} || 42.92% || △9.18 || 67.20 || || '''남면''' || 34.10% || {{{#EF426F 62.30%}}} || ▼28.20 || 70.36 || || '''남산면''' || 38.50% || {{{#EF426F 57.87%}}} || ▼19.37 || 67.18 || || '''후보''' || [[허영(1970)|{{{#004EA2 '''허영'''}}}]] || [[김진태|{{{#EF426F '''김진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5.56% || {{{#EF426F 46.57%}}} ||<-2> ▼1.01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2.72%}}} || 30.55% ||<-2> △32.17 || || '''재외투표''' || {{{#004EA2 63.80%}}} || 31.42% ||<-2> △32.38 || 춘천시 인구가 단일 선거구 상한 인구인 28만 명을 돌파함에 따라, 선거구의 분구가 유력해졌다. 분구 시 춘천시 내의 더불어민주당 최고 텃밭인 석사동+동면+퇴계동 등이 전부 남쪽에 몰려 있어 선거구를 남북으로 나누느냐 동서로 나누느냐 등을 두고 여야 정당별로 각 자당에 유리한 선거구를 선점하려는 눈치싸움이 치열했었다. 그러나 여야 정당 사이에서 기존 선거구의 변동을 최소화한다는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춘천의 분구가 무산되었다는 등의 각종 설왕설래가 난무했었다. 하지만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가안에 따르면 춘천시 단독 갑을선거구 체제로 분구가 확정되어 동산면, 신동면, 남면, 동내면, 남산면, 효자2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을 관할지역으로 하는 '춘천시 을' 선거구로 재편이 유력시되었으나, 이례적으로 강원도 내에서 서울시 전체 면적의 8배나 되는 군사분계선 접경 6개 시군이 하나의 선거구로 묶이는 공룡 선거구가 출범한다는 안이 같이 담겨 있어 지역 대표성과 인구 비례의 절충으로 '춘천시의 일부를 분할해서 타 시군의 선거구에 속하게 한다는 특례를 부여한다'고 국회의 여야 교섭단체 3당이 합의했다. 그 결과물로 나온 것이 이 선거구다. [[더불어민주당]]에는 분구 이전에 [[허영(1970)|허영]] 춘천시 지역위원장과 육동한 전 강원연구원장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1월 23일에 사퇴를 선언했다가 이후 번복했다.] 허영 위원장은 동면에, 육동한 전 원장은 퇴계동에 주소지를 두고 있으며 당초 각각 춘천시 갑/춘천시 을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았는데,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이 춘천시와 선거구를 같이 하게 됨에 따라 동면은 윗동네와 선거구를 같이 하게 되었기 때문에 선거구 배치가 어떻게 될 지는 미지수였다. 그러나 2020년 3월 8일 더불어민주당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지역구를 기존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에 출마를 준비중이던 [[전성]], [[정만호(1958)|정만호]] 예비 후보가 경선을 치르는 것으로 결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 지역구는 춘천시에서 출마를 준비 중이던 후보들 가운데 공천을 받게 되었으며 경선 결과 허영 예비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김진태]] 전 의원에게 [[김성식]] [[자유한국당]] 강원도당 부위원장과 최성현 강원도당 서민경제위원장이 도전한다. 김진태 전 의원은 일단 미래통합당 단수 공천을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선거구로 국회의원 선거 출마 준비를 한다는 소문도 있었으나, 그 쪽에는 [[한기호]] 전 의원이 단수 공천을 받게 되었다. 결국 김진태 전 의원이 갑 지역구에 공천을 받았다. [[정의당]]에서는 [[엄재철]] 춘천시 지역위원장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다. 본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허영 후보가 51.32% : 43.93%로 약 7.4%p 차로 미래통합당 김진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2% 차이로 아슬아슬하던 여론조사나 출구조사와는 달리 예상 외로 표차가 벌어지며 허영 후보가 7%p 이상의 격차로 여유 있게 승리했다. 이는 [[김진태/논란]] 문서에서 보듯이, 각종 막말, 구설수로 김진태 전 의원의 이미지가 너무 소모되어 있었던 게 요인으로 보인다.[* 토론회에서 뱅갈 고양이를 국회에 데리고 갔던 문제가 언급됐는데, "집사들은 사람이 많은 곳에 고양이를 데려가려고 하지 않는다."고 팩트폭력을 했다.]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0/04/402103|기사]]에선 같이 낙선된 [[차명진]], [[민경욱]]과 세트로 언급되었다. 무엇보다 김진태는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자신의 지역구가 어떤 지역인지를 망각하고 군인 비하를 한 전례가 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9&no=3479160&_rk=Zxh&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선거구 변동은 리턴 매치에서 그다지 크게 작용하지 않은 모양이다. 춘천시 내에서 보수 성향이 강한 북한강-소양강 이북 지역이 떨어져 나가긴 했지만, 동시에 춘천시에서 가장 더불어민주당 표가 잘 나오는 동면이 떨어져 나간 터라 그 변동은 크다고 보긴 어려웠다.[* 선거구 변동 때문에 졌다는 얘기도 있지만,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지역구에서도 춘천시 소속 지역에서는 정만호 후보가 한기호 후보에게 391표 차로 이겼다. 거기다 그 말인 즉슨, 춘천시 인구로만 했다면 춘천시에 전부 더불어민주당 깃발이 꽂혔을 것이란 얘기. 게다가 허영 후보가 선거 이전까지 원래 살던 곳도 '''동면''' 만천리였다. 만약 춘천시 선거구가 그대로 남아 리턴 매치가 벌어졌어도 허영 후보가 무난히 이겼을 것이다. 다 떠나서 애당초, 김진태의 논란 거리들 때문에 동면이 붙든 안 붙든 큰 문제는 없었다. 오히려 동면까지 붙었으면 김진태는 40%도 못 얻고 더 크게 패배했을 거라는 얘기.] 춘천시에서 [[민주당계 정당]] 국회의원이 나온 건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중선거구제, 강원도 1구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준섭 2위] 이후 무려 '''42년 만'''이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ffffff {{{+1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br]{{{#ffffff 춘천시 신사우동, 신북읍, 사북면, 북산면,[br]동면, 서면을 제외한 지역[*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조운동, 약사명동, 근화동, 소양동, 교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산면, 남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인 [[허영(1970)|허영]] 의원이 재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에서는 전 후보였던 [[김진태]]가 [[강원특별자치도지사]]에 당선되면서 이 곳의 당협위원장인 [[노용호]] 의원의 출마가 유력하다. == 관련 문서 == * [[춘천시/정치]]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춘천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