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축복의 집}}}''' (2022)[br]''Dust and Ashes''}}}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가족}}}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희권}}}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희권}}}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고두현}}}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소요]], [[이강지]]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동현}}}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고두현}}} || || '''특수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윤황직, 허문희}}} || ||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성일}}} || ||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지영}}} || ||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민권}}} || ||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윤황직, 허문희}}} || || '''제작연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2019년[* 촬영시기는 2018년 8월.]}}}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고앤고필름}}}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필름다빈}}}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6월([[평창국제평화영화제]])[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2월 24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79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22년 드라마ㆍ스릴러 영화이다. 박희권이 연출하였고, [[안소요]], [[이강지]] 등이 출연하였다. == 개봉 전 정보 == 2020년 24회 토론토릴아시안국제영화제에서 감독인 박희권이 데뷔장편영화상을 수상했고, 동년 2회 [[평창국제평화영화제]]에서 국제장편경쟁부문에서 역시 감독인 박희권이 심사위원상을 수상하였다. == 예고편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kP-WQVHsSI)]}}}|| || '''평창국제평화영화제 버전 예고편'''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l1mkJMkpXg)]}}}|| || '''티저 예고편'''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X1tjLKvBes)]}}}||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아침에는 공장에서, 저녁에는 식당에서 일하는 해수는 >어느 날, 먼 동네의 의사에게 시체검안서를 발급받는다. >그리고 병원과 집, 식당 등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온갖 서류 처리를 이어가는데... > >불안한 표정에 말 한 마디 없는 해수의 수상한 계획, >과연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 >---- >출처: 다음 영화 == 등장인물 == * [[안소요]] - 박해수 역[* 극중 전광판 장면에서 풀네임이 나온다.] * [[이강지]] - 박해준 역 * 김나영[* 1965년생 배우.] - 이순영 역[* 극중 전광판 장면과 동사무소 장면에서 풀네임이 나온다.] * 김재록 - 형사 역 * [[이정은(1970)|이정은]] - 보험 역 * 나종기 - 의사 역 == 설정 == 공간적 배경인 박해수(안소요 분) 집은 [[서울특별시|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서울)|신길동]]이고, 병원을 택시로 오가는 것으로 보아, 극중 설정상 무대는 [[서울특별시]]이나, 실제 박해수(안소요 분)의 집은 [[부산광역시|부산]] [[부암3동]] 개발지역에서 진행되었다. 촬영지가 부산이라는 것은 길거리를 지나는 택시나 버스의 모습으로도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감독인 박희권은 KBS와의 인터뷰에서 극의 무대는 서울이나, 부산영상위원회의 도움으로 실제 촬영은 부산에서 진행했다고 고백했다. 시간적 배경은 여름인데, 실제 2018년 8월에 촬영하였다.[[https://kstar.kbs.co.kr/list_view.html?idx=193907|#]]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유저평점)]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유저평점, list=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rank=순위)]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평점, rank=순위)]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전문가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전문가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평점)] > '''집요한 시선''' > [br] 건조하지만 축축하다. 카메라 시선은 담담하지만 집요하다. 인물들은 표정을 숨기고 있지만 그 저변에 흐르는 울분이 감지된다. 가족의 죽음을 마음껏 애도할 여유조차 빼앗은 가난을 다분히 반어적인 제목 안에 배치한, 밀도감이 인상적인, 작품. >---- > -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 > '''죽음은 공평하지 않다''' > [br] 영화 초반의 호흡이 숨 가쁠 정도로 과격하다. 카메라는 쉴 새 없이 일하며 돈을 모으는 주인공을 따라다니고 대사조차 끼어들지 못한다. 이 고단한 젊은 여성은 무엇 때문에 이렇게 자신을 내모는 걸까. 주인공이 의원을 찾아가 검안서를 받기 전까지 영화는 불길한 상상을 마음껏 하도록 내버려 둔다. 이후부턴 가난한 자들의 죽음을 둘러싼 일련의 절차를 집요하게 비춘다. 죽은 후에도 자본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육신이, 영화가 끝난 후에도 남은 가족을 따라다닐 지독한 굴레가 마음에 쓰라린 자국을 남긴다. 박희권 감독의 날 선 화두와 강렬한 연출이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 만든다. >---- > - [[정유미#영화 평론가]] (영화 저널리스트) (★★★☆) > 그 모든 힘겨운 절차를 옆에서 함께 용쓰며 지켜본 듯하다. >---- > - [[이동진]] | ★★★ > 집요하고 냉랭하고 담담하게 >---- > - [[박평식]] (★★★) > 침묵하는 회색인의 몸부림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가족의 죽음이 곧 구원이 되는, 가슴 시린 빈곤의 풍속도 >---- > - [[김소미]] (★★★☆)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기타 국가 === * 이 영화는 2주 동안 총10회차 촬영으로 완성되었다. * 이 영화는 카메라를 직접 들고 움직이는 핸드헬드 촬영기법으로 촬영되었다. * 이 영화는 음악과 대사를 배제하고 현장음과 배우의 표정으로 극이 진행되는 르포르타주다. * 박희권은 이 작품을 준비하며 가난과 고난 끝에 궁지에 몰려있는 힘든 상황에 처해 있는 주인공에 대한 캐스팅이 처음에는 막막했었고, 전형적으로 가고 싶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인 허 플레이스'(2014)를 보고 두려움 속에서 어떤 기대를 품고 있으며 경계에 진입하려는 [[안소요]]의 소녀 연기에 감명을 받아, 그녀를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캐스팅하였다고 한다.[[https://kstar.kbs.co.kr/list_view.html?idx=193907|#]] [[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가족 영화]][[분류:2022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