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BH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2> '''{{{+1 추자현}}}[br]秋瓷炫 | Choo Jahyu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추자현 2020 프로필.jpg|width=100%]]}}} || || '''본명''' ||추은주 (秋恩珠[*훈음 은혜 __은__ 구슬 __주__], Chu Eunju)|| ||<|2> '''출생''' ||[[1979년]] [[1월 20일]] ([age(1979-01-20)]세)||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시]] [[서구(대구)|서구]] [[비산동(대구)|비산동]][br](現 [[대구광역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비산동(대구)|비산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추(성씨)|추계 추씨]] (秋溪 秋氏)|| || '''신체''' ||170cm, 47kg, [[A형#s-1]], 245mm|| || '''가족''' ||배우자 [[우효광|위샤오광]]^^(2017년 결혼 ~ 현재)^^[br]아들 우바다^^(2018년 6월 1일생)^^[* 한국 출생이며 태명이 바다였고 한국 이름 또한 바다다. 중국 이름은 '위텐쥔'이다. 한국은 선천적인 복수국적은 허용하지만 중국은 선천적인 복수국적도 허용하지 않고 한국인이라면 한국 출입국시에 한국 여권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https://youtu.be/Hg73dXruNFI|이 영상]]에서 [[중국 여권]]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중국 국적으로 추정된다.]|| || '''학력''' ||[[대구인지초등학교|대구인지국민학교]] {{{-2 (졸업)}}}[br][[개봉중학교]] {{{-2 (졸업)}}}[br][[구일고등학교]] {{{-2 (졸업)}}}[br][[단국대학교]] {{{-2 (연극영화학 / 학사)}}}|| || '''소속사''' ||[[BH엔터테인먼트]]|| || '''데뷔''' ||[[1996년]] [[SBS]] 드라마《[[성장느낌 18세]]》[br] {{{-2 '''(데뷔일로부터''' '''[dday(1996-07-26)]일, [age(1996-07-26)]주년''')}}} || || '''MBTI''' ||[[ENFP|ENFP-T]][* [[https://tv.naver.com/v/14676578|#]]]|| || '''별명''' ||'''대륙의 별''', 추블리, '''추추(秋秋)''', 국민 며느리, 시청률 퀸, 현현(炫炫), 백설공주(白雪公主), 전전(真真)[* 이 여섯 개는 중국에서 주로 널리 불리는 별명들이며, 이중 추추는 한국에서도 팬덤이 생긴 이후로 이렇게 불리는 경우가 많다.]|| || '''링크''' ||[[http://weibo.com/qiucixuan01|[[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choo.jahy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xiaohongshu.com/user/profile/5de79bb40000000001005388|[[파일:샤오홍슈.png|width=22]]]] [[https://v.douyin.com/6shFfhV|[[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2]]]] [[https://bhent.co.kr/artist/choo-ja-hyun|[[파일:BH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중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배우]]. == 생애 == [[1996년]], [[SBS]] 성장느낌 18세로 데뷔했다. [[1999년]], SBS 드라마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로 인기를 얻었다.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 출연 당시 맡았던 역할에 깊은 애정을 가져서, 극 중에서 맡았던 배역명인 추자현[* [[송지나]] 작가가 직접 지어 줬다고 한다.]을 [[연예인/본명 및 예명|예명]]으로 삼고 활동하게 된다.[* 실제로 이렇게 극 중 배역을 예명으로 쓰는 배우들이 은근히 있다. [[고준희]], [[조상구]], [[송채환]] 등등.] [[2002년]], 가수 겸 배우인 [[장나라]]의 초히트작 [[명랑소녀 성공기]]에서 비중 있는 조연인 송보배 역을 맡아 존재감을 알리는 등, 여러 편의 TV 드라마를 통해 탄탄한 연기력과 개성을 인정받았다. [[2006년]], 바이준(2002년)을 연출한 최호 감독의 영화 [[사생결단(영화)|사생결단]]을 통해 본격적인 스크린 신고식을 치른다. 오디션 당시 최호 감독을 비롯한 심사위원단에게 ‘소름 끼칠 정도의 연기’를 선보였다고 호평받았으며, 사생결단으로 그 해 영화제에서 5관왕을 차지하였다.[* 대한민국 영화대상에선 신인여우상과 여우조연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의 일반 대중들은 카이스트 드라마에 나온 이미지로 기억하고 있었는데, 이 영화에서 추자현이 맡은 여사장 김지영 역은 마약 딜러이던 박창준의 애인이었다가 이상도(류승범 분)와 애증으로 엮이면서 마약 연기, 베드신 연기 등 기존의 추자현이란 배우 이미지와는 완전히 정반대의 막장인생 캐릭터였고 추자현은 어려운 역을 상당히 잘 소화해냈다. 인생의 극과 극을 표현해내야 하는 고난도 캐릭터 지영을 연기할 여배우를 찾고 있던 제작진에게 추자현은 오디션에서 찾은 ‘뜻밖의 발견’이었다. [[2005년]], [[중국]] 진출 이후 한국보다 중국 활동에 더 매진했다. 탑스타라고 하기에는 애매했던 과거 한국 내 위치와 달리, [[중국]] 내에서는 굉장히 높은 출연료를 받는 탑 여배우로 대우받게 된다. 2017년 중국 시나통신은 추자현을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한국 배우라고 평가했다.[* 추자현은 자신은 한류스타가 아니라 중국에서 새로 데뷔하는 신인이라고 스스로를 소개했다. 현지화 배우로 인정을 받은 것이다.] 중국 출연료 회당 1억에 대해서는 한국 방송에 나와 질문을 받자 잘 나갈 때 회당 출연료 1억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2015년 9월 16일자로 2살 연하의 중국 배우 [[우효광]](于曉光)과 열애설을 공식 발표했다. 결혼을 전제로 한 진지한 만남이라고. 그리고 2016년 11월 30일 결혼 발표를 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021475|♡]] 2016년에 결혼식을 올리고자 했으나 각자 바쁜 스케줄로 인해 어렵게 되어 2017년 1월 18일 혼인신고를 하여 정식부부가 되었다. 2017년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동상이몽, 너는 내 운명]]을 통해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남편 [[우효광]]과의 결혼생활을 공개했다. 시작과 동시에 높은 관심을 받으며 이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대박 내는 주인공이 되었다. 특히 남편 우효광은 시청자들로부터 사랑스러운 모습에 '우블리'로 불리며 남편 잘 만났다며 부러움을 한 몸에 사고 있다. 한국에서는 기가 센 캐릭터인 추자현이 흰자를 보이며 화를 내도 언제나 해맑고 러블리하게 대처하는 자상한 남편에 대한 큰 반응이 있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추자현이 살림을 잘 해내는 모습이 큰 사랑을 받고 있다고 한다. 주로 아침 식사를 간단하게 밖에서 사먹는 문화를 가진 중국에서 중국인 남편을 위해 직접 집에서 아침 식사를 차려주는 모습이 겸손하고 사랑스럽고 좋은 한국인 아내의 모습으로 비춰지며 화제를 모아 중국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장식하기도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 차이로 인해 부부가 양국에서 쌍끌이 인기 몰이를 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또한 [[https://m.miclub.com/mobile/board/viewArticle.html?artiNo=120250426&op1=talk&op2=board&cateNo=122|추자현의 결혼관]]도 화제가 되고 있는데, 남편에게 일방적으로 용돈 통보를 했다.[* 과거 추자현이 우효광이 기죽지 않도록 50만 위안(약 8400만 원)의 목돈을 줬더니 우효광은 그 돈으로 주식 사고 친구 부탁으로 친구 식당 투자하고 아버지에게 돈 달라 했다는 에피소드. 이 일로 추자현은 우효광에게 큰돈을 맡기면 안 되겠단 생각에 용돈만 조금씩 주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예능 특성상 어느 정도의 대본이나 작위적인 상황 설정이 다분하며 실제로 우효광이 주식으로 엄청 많은 재산을 탕진한 적이 있기에 추자현의 [[츤데레]]에 가까운 애정 표현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추자현이 검소하고 숫자와 [[재테크]]에 밝기 때문에 경제권을 맡아 우효광에게 용돈을 주고 있는 것이라고. 한편 방송에서 추자현이 계약서를 쓰자며 본인에게 불리한 항목들은[* 밥 제때 해주기는 이행하겠으나 짜증 내지 않기 등의 항목은 "남편에게 짜증 좀 낼 수도 있지"라는 자세를 보인다. 결혼도 했는데, 아니 결혼이고 자시고 사람이 짜증이 날 수도 있으니 조건 자체가 무리수이긴 하다.] 지우라고 하였고 몇몇 한국 시청자들에게는 이러한 일방적인 모습이 불편하게 느껴졌다고 한다. 반면 아침을 밖에 나가서 간단하게 사먹는 문화이며 남자들도 가정에서 요리에 흔하게 참여하는 문화를 가진 중국 시청자들이 보기에는 반대로 추자현이 우효광에게 아침을 직접 차려주는 모습을 보며 우효광에게 너무 잘해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 이는 한중 문화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한국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중국을 생활기반으로 하고 있는 추자현 부부의 모습이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가 될 수도 있다. 추자현이 시부모님을 엄마, 아빠라고 부르면서 잘 따르고, 부엌에서 시부모님과 함께 요리하는 모습이나 어른들 앞에서 남편과 장난을 치기도 하고 시아버지와 하이파이브를 하는 모습 등도 새로운 모습이었다. 우블리의 다정한 말과 스킨십 역시 부모와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서 가족 문화였음을 알게 하기도 했다. 추자현은 우효광이 오면 시부모님과 함께 생활을 하고 추석에 시부모님과 여행을 다니는 다정한 며느리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8년 6월 1일 새벽 득남했다. [[웨이보]]를 통해 산모와 아이 모두 건강하다는 소식과 함께 긍정적이고 강하게 키우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그리고 당일 밤에 [[경련]] 증상으로 응급실로 실려갔으며 현재 회복 중이라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11&aid=0003314329|#]] 그러나 추자현이 출산 후, 경련을 겪고 응급실에 실려간 뒤 점차 회복이 되는 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의식이 불명하여 산소호흡기로 생명을 유지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놀란 팬들은 어서 회복하기를 바라면서 위로를 표했다. [[http://naver.me/xaD0hXFV|기사]]에서는 추자현의 의식불명에 대한 것을 세밀한 검사를 통해 파악중이라고 하면서 동시에 출산과정에서의 문제도 검토를 해 볼 것이라고 밝혔으나, 소속사에서는 사실무근이라고 공식적으로 반박했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80610135633636|[공식입장] 추자현 측 "의식불명 사실무근, 현재 회복 중"]] 2018년 7월 9일, 동상이몽에 깜짝 출연했다! [[https://tv.naver.com/v/3575780|[동상이몽] 출산 이후 깜짝 등장한 추자현 우효광 부부]] 추자현은 임신 중독 증상으로 인해 경련을 겪은 후 폐가 안 좋아져 입원을 한 것은 사실이나 차차 건강을 회복 중이라며 출산 후 근황을 전했다. 실제로 동상이몽 영상 속 추자현은 목이 약간 쉬기는 했지만 우려와는 달리 건강을 꽤 회복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남편 우효광에 대해서는 항상 곁을 지켜주어 고맙다는 말을 전했다. 또한 의식불명 설에 대해서는 나중에 알게 되었다고 하며, 보도에 대한 별다른 언급 없이 기사에 달린 댓글을 읽고 걱정해주시는 마음이 감사해 펑펑 울었다는 소감만을 전했다. 바다 역시 건강하게 잘 크고 있다고 한다. 2019년에는 [[아스달 연대기]][* 특별출연.]와 [[아름다운 세상]]으로 국내 드라마에도 오랜만에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드라마)|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이후 약 9년만의 국내 드라마 출연.[* 2017년에 [[화유기]]에 [[나찰녀(화유기)|나찰녀]] 역으로 출연 예정이였으나 임신으로 인해 출연이 무산되었다.] 이후 동상이몽 100회 특집으로 오랜만에 동상이몽에 모습을 드러냈다. 정확히는 100회, 101회에 출연했는데 특히 결혼식 및 바다의 돌잔치 장면이 나온 101회는 1부 6.5%/2부 '''11.7%'''로 동상이몽으로써는 굉장히 오랜만에 10%대를 넘겼다. 2020년, tvN 드라마 [[(아는 건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에서 변리사 김은주 역으로 출연했다.[* 공교롭게도 추자현의 본명이 추은주이다.] 본인의 차가운 비주얼과 걸맞게 이성적이고 냉철한 캐릭터를 연기했는데, 재미있게도 추자현의 MBTI(ENFP)와 김은주의 MBTI(ISTJ)는 정반대이다. 연기에 대한 호평이 많았고 남매 역으로 나온 [[한예리]], [[신재하]]와도 케미가 잘 맞았다는 평이 대다수다.[* 이후 세 배우는 각자의 촬영 현장에 커피차, 밥차를 보내고 사석에서 만나 식사를 하는 등 끈끈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추자현이 본인 인스타그램에 '찐 나의 삼남매'라고 언급한 바 있고, 몇 안 되는 인스타그램 팔로잉에 한예리, 신재하 배우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2022년 4월, 2년 동안의 공백기를 깨고 JTBC 드라마 [[그린마더스클럽]]에 타이거맘 변춘희 역으로 출연했다.[* 2021년 여름부터 촬영을 시작해 2022년 4월에 마지막 촬영을 마친 준 사전 제작 드라마다.] 넷플릭스 주간 순위에서 꾸준히 1위를 차지하고 추자현 본인의 탄탄한 연기력과 대본을 보는 좋은 안목, 다른 배우들과의 케미스트리 덕에 안정적인 시청률을 얻은 것은 물론, 동상이몽 이후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은 것이 기쁘다고 말했던 과거 발언처럼 젊은 여성들 위주의 고정 팬층이 탄탄하게 잡혀가는 중이다. 이후 해당 드라마를 계기로 [[https://m.dcinside.com/board/choojahyan|디시인사이드 추자현(배우) 마이너 갤러리]]가 개설되었다. 그린마더스클럽의 종영 이후, 동년 9월 tvN 드라마 [[작은 아씨들(tvN)|작은 아씨들]]에서 주인공 오인주의 직장 동료 [[진화영(작은 아씨들(tvN))|진화영]] 역으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수리남(드라마)|수리남]]에 주인공 강인구의 아내 박혜진 역으로 특별출연해 많지 않은 분량임에도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특히 작은 아씨들에서는 작중 사건의 키 포인트 인물로서 활약하며, 9월 1주차 굿데이터 드라마 출연자 화제성 랭킹에 6위로 랭크되기도 했다. 2023년 4월, [[소녀시대]]의 전 멤버인 [[제시카(가수)|제시카]]가 출연해 국내에서도 화제를 모았던 중국 걸그룹 오디션 프로그램인 승풍파랑적저저의 4번째 시즌 <승풍2023>에 참가하며 2017년 이후 6년만에 중국 활동을 재개해 다시 한번 중국에서 좋은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 === 불우한 가정사 === [[무남독녀]]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사실 친 여동생이 한 명 있었다. 하지만 친동생은 추자현 본인이 기억도 안 나는 아주 어린 시절에 물에 빠져 [[익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어머니는 추자현이 작은 실수만 해도 크게 혼을 내셨다고 하며, 심지어 "네가 동생 대신 떠났어야 했다!"라는 폭언도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아버지만 아들이 없어 할머니가 어머니에게 심한 소리를 했다고 한다. 부모님은 추자현이 17살 때 이혼했다. 현재 아버지는 새 살림을 차리신 상태로, [[이복형제]]가 3명이 있다고 한다. 추자현이 출산을 했을 때, 친어머니가 곁에 없었다고 한다. 중국 진출 이유 역시 이러한 집안 배경 때문에 한국을 떠나고 싶어서였다고 밝혔다. 추자현의 부모님의 이혼의 가장 큰 원인은 할머니가 어머니에게 가한 잦은 폭언 때문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추자현은 성공한 이후 방송에서 가족사를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부모가 이혼한 뒤 활발히 연예계 활동을 하며 아버지에게는 연락이 닿아 용돈을 드릴 수 있었지만 어머니와는 연락이 닿지 않아 용돈조차 드리지 못했다고 한다. 추자현은 과거에 어머니에게서 들은 폭언을 회상해보았을 때, 어머니가 자식을 잃은 슬픔에 그런 발언을 한 것 같다며 이해가 된다고 이야기하였다. 추자현은 자신이 연예계 활동을 하면서 번 돈을 아버지께 드리자, 아버지는 그 용돈을 할머니에게 드렸다고 한다. 그 이후부터 할머니가 보고 싶다며 연락이 온다고 밝혀 여론의 분노를 샀다. 그 전에는 연락이 없던 할머니가 용돈을 드리니 연락이 온다는 것은 손녀가 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손녀가 주는 돈을 원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유였다. 동상이몽에 추자현의 결혼식 장면이 나왔을 때, 시가 식구들만 보이고 추자현의 식구들은 한 명도 모습을 보이지 않아 방송 직후 실시간 검색어에 '추자현 부모'가 1위를 하기도 했다. == 출연 작품 == === 영화 === ##주연, 조연으로 기재된 영화만 표에 작성하기 바랍니다. 단역, 특별출연, 우정출연, 카메오 등은 취급하지 않습니다. ##개봉된 장편영화만을 기재합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 #fff" {{{#!folding Filmography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대로 죽을 순 없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생결단(영화)|[[파일:영화 사생결단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미인도(영화)|[[파일:미인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실종(한국 영화)|[[파일:external/70f719301832901d0de8c74e09b3666e5495c372f51d0cacc67b5fb4556b947d.jpg|width=100%]]]]}}} || || [[이대로, 죽을 순 없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이대로, 죽을 순 없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조연'''}}}}}} {{{#202020 {{{-2 '''2005. 8. 18'''}}}[br]{{{-3 이영은 감독 / 양정애 역}}} }}} || [[사생결단(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사생결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조연'''}}}}}} {{{#202020 {{{-2 '''2006. 4. 27'''}}}[br]{{{-3 최호 감독 / 김지영 역}}} }}} || [[미인도(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미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8. 11. 13'''}}}[br]{{{-3 전윤수 감독 / 기녀, 설화 역}}} }}} || [[실종(한국 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실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9. 3. 19'''}}}[br]{{{-3 김성홍 감독 / 현정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참을수없는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상극장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희규칙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성수배 포스터.jpg|width=100%]]}}} || || [[참을 수 없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참을 수 없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0. 10. 21'''}}}[br]{{{-3 권칠인 감독 / 지흔 역}}} }}} || [[환상극장(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환상극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1. 3. 17'''}}}[br]{{{-3 이규만, 한지혜, 김태곤 감독 / 이서현 역}}} }}} || [[게임의 규칙(중국 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게임의 규칙'''}}}}}}]]{{{#!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7. 5. 11'''}}}[br]{{{-3 가오시시 감독 / 란루오윤 역}}} }}} || [[전성수배|{{{#!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전성수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96969;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7. 10. 19'''}}}[br]{{{-3 왕도 감독 / 린란 역}}} }}} || }}}}}}}}}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활동''' || '''관객수''' || '''비고''' || || [[1996년]] || [[박봉곤 가출사건]] || 혜수 || 단역 || || || ||<|2> [[2005년]] || 이대로, 죽을 순 없다 || 양정애 || 조연 || 67만명 || || || 안개 속의 여행 || || || || || || [[2006년]] || '''[[사생결단(영화)|사생결단]]''' || '''김지영''' || 조연 || 170만명 || || || [[2008년]] || [[미인도(영화)|미인도]] || 기녀, 설화 ||<|2> '''주연''' || 234만명 || || || [[2009년]] || '''[[실종(한국 영화)|실종]]''' || 현정 || 64만명 || || ||<|2> [[2010년]] || [[식객: 김치전쟁]] || 성찬 모 || 우정 출연 || 46만명 || || || 참을 수 없는. || 지흔 ||<|2> '''주연''' || 7만명 || || || [[2011년]] || 환상극장 - 허기 || 이서현 || || 단편영화 || ||<|2> [[2014년]] || 여강지련 || || || || 미니 영화 || || 전성수배 || 린란 ||<|3> '''주연''' || || [* 중국에서는 11월 6일에 개봉. 국내 개봉은 2017년 10월 19일에 했다.] || || [[2017년]] || 게임의 규칙 || 란루오윤 || || [* 중국에서는 2월 10일에 개봉. 국내 개봉은 2017년 5월 11일에 했다.] || || [[2023년]] || 당신이 잠든 사이 || 윤덕희 || || || === 드라마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1996년]] ||<|3>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성장느낌 18세]] || 서명주 || 데뷔작 || ||<|2> [[1997년]] || [[미스 & 미스터]] || 은주 || || || [[70분 드라마]] - 그들이 만났을 때 || 강윤서 || 단막극 (11회) || ||<|2> [[1998년]] ||<|2>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맏이(MBC)|맏이]] || 윤소원 || || || [[남자셋 여자셋]] || || || ||<|4> [[1999년]] ||<|2>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 || '''추자현'''[* 이때의 배역명을 예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 조연 || || [[LA아리랑]]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광끼]] || 이상희 || 25회 출연 || ||<|3>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마지막 전쟁]] || || || ||<|4> [[2000년]] || [[당신 때문에]] || 안수은 || 조연 || || [[베스트극장]] - 죽기 위해 사는 남자 || 이정수 || 단막극 (414회)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사랑의 유람선]] || || || ||<|8>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사랑의 전설]] || 최경진 || 조연 || ||<|3> [[2001년]] || [[오픈드라마 남과 여]] - 매일 벗는 남자 || 은경 || 단막극 (25회) || || [[오픈드라마 남과 여]] - 산타 아빠 || 민숙 || 단막극 (48회) || || 외출 || 정난영 ||<|2> 조연 || ||<|3> [[2002년]] || [[명랑소녀 성공기]] || 송보배 || || [[오픈드라마 남과 여]]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제비 || 미란 || 단막극 (63회) || || [[해 뜨는 집]] || 정미희 ||<|2> '''주연''' || ||<|2> [[2003년]] || [[압구정 종갓집]] || 백자현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반올림(드라마)|반올림]] || 이옥림 || 내레이션[* [[고아라]]가 연기한 이옥림은 [[중2병|자신이 어른스럽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른의 목소리로 내레이션을 하는게 좋겠다는 제작진의 의견에 따라 추자현의 목소리로 옥림의 마음을 대변하였으며, 50회를 마지막으로 추자현이 하차하고 이후 고아라가 직접 내레이션을 담당하였다.] || || [[2004년]] || [[오! 필승 봉순영]] || 허송자 || 조연 || || [[2005년]]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0]]]] || 가족연애사 || 선아 || '''주연''' || || [[2010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드라마)|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 서미수 || 조연 || ||<|2> [[2019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아스달 연대기]][* 1~2회 출연] || [[아스달 연대기/등장인물#s-3.2|아사혼]] || 특별출연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름다운 세상]] || 강인하 ||<|3> '''주연''' || || [[2020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아는 건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 || '''[[(아는 건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등장인물#김은주|김은주]]''' || ||<|3> [[2022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그린마더스클럽]]''' || '''[[그린마더스클럽/등장인물#변춘희|변춘희]]''' ||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작은 아씨들(tvN)|작은 아씨들]]'''[* 1~8, 11~12회 출연] || '''[[진화영(작은 아씨들(tvN))|진화영]]''' ||<|2> 특별출연 ||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수리남(드라마)|수리남]][* 1~2, 6회 출연] || [[수리남(드라마)/등장인물#강인구 주변 인물|박혜진]] || ==== 중국 드라마 ==== 국내 플랫폼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일 경우 ★ 표시. * 《연향》 (2003, 대만 TTV)[* 국내 명칭은 사랑의 향기. 한국-대만 합작으로, 국내에서는 [[경인방송]]을 통해 방영되었다.] : 인샹즈 역 * 《대기영웅전》(2005, 중국 CCTV) : 수령광 역 * 《초류향전기》(2006, 중국 CCTV) : 석관음/임랑 역 * 《양애화작진주우》(2007, 중국) : 베이신루 역 * 《'''회가적유혹'''》(2011, 중국)[* [[아내의 유혹]]의 중국 리메이크판이다.] : 린핀루/가오샨샨 역[[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395841&memberNo=48871196|회가적유혹]] * 《호선》(2012, 중국, ★)[* 국내 명칭은 '추자현의 천녀유혼'.] : 섭소천 역 * 《마랄여우작행적시광》(2012, 중국)[* 국내 명칭은 '추자현, 우효광의 행복시광'.] : 양훙 역 * 《신오룡산초비기》(2012.05.15~06.03, 중국) : 진봉교 역 * 《목부풍운》(2012.06.20~07.03, 중국, ★) : 아륵구 역 * 《종장군도사병》(2012, 중국) : 관벽운 역 (특별출연) * 《화려상반족》(2013, 중국)[* 국내 명칭은 '화려한 오피스족'. 방영은 2017년.] : 장웨이 역 * 《무악전기》(2013~2014, 중국, ★) : 야사라 역 * 《장안삼괴탐》(2014, 중국, ★) : 위약소 역 * 《수수적남인》(2014, 중국)[* 한국 명칭은 수수의 남자.] : 엽수수 역 * 《렵호1946》(2015, 중국) : 한소우 역 * 《남교기공영웅전》(2015, 중국, ★)[* 국내 명칭은 '추자현, 우효광의 영웅시대'.] : 욱란정/욱설청 역[*1인2역] * 《최후일전》(2015, 중국) : 심검옥 역 * 《연상흑천사》(2015, 중국) : 예만링 역 * 《행복재일기》(2016, 중국) : 고진진 역 제작연도와 방영연도가 오류가 있을 수 있어 참고용이다. === 방송 === ||
'''출연일''' || '''방송사''' || '''프로그램''' || '''역할''' || '''비고''' || || [[2003년]] [[4월 8일]] ||<|9>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헤이헤이헤이|신동엽 김원희의 헤이헤이헤이 - 웃자! 웃자!]] ||<|4> 게스트 || || || [[2004년]] [[6월 19일]]~[[6월 26일]] || 실제상황! 토요일 - [[X맨을 찾아라]] || || || [[2004년]] [[6월 21일]] ||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 || || [[2004년]] [[7월 31일]]~[[8월 7일]] || 실제상황! 토요일 - [[X맨을 찾아라]] || || || [[2004년]] [[11월 6일]] || [[솔로몬의 선택]] || 패널 || || || [[2004년]] [[11월 16일]] || 김용만 신동엽의 즐겨찾기 ||<|7> 게스트 || || || [[2004년]] [[12월 3일]] || 아이엠 - 펑균 드라마 || || || [[2005년]] [[1월 2일]]~[[1월 9일]] || [[일요일이 좋다]] - [[X맨을 찾아라]] || || || [[2005년]] [[1월 20일]] || 여자 플러스 || || || [[2005년]] [[1월 29일]]~[[2월 5일]]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행복주식회사]] || || || [[2005년]] [[4월 21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여자 플러스 || || || [[2010년]] [[10월 21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3]] || [[https://youtu.be/XO_RTtQKwo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PJCCnrgC-s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14년]] [[10월 10일]]~[[12월 26일]] || [[장쑤위성TV|[[파일:장쑤위성TV 로고.png|width=40]]]] || 명성도아가 (明星到我家) || 고정출연 || || || [[2015년]] [[1월 18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SBS 스페셜]] || 인터뷰 출연 || [[https://youtu.be/S9NZusmtiE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중국 부의 비밀 3부 - 대륙 생존기' 편] || || [[2015년]] [[4월 11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무한도전]] || 전화 출연 || || || [[2015년]] [[9월 13일]]~[[9월 27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잘 먹고 잘 사는 법, 식사하셨어요?]] || 게스트 || || || [[2016년]] [[1월 2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연예가 중계]] || 인터뷰 출연 || [[https://youtu.be/7WKTCUV3z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중국을 사로잡은 그녀! 추자현과의 유쾌한 만남' 코너 출연] || || [[2017년]] [[7월 10일]]~[[2018년]] [[3월 26일]] ||<|6>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고정출연 || with [[우효광]] || || [[2017년]] [[8월 15일]] || [[본격연예 한밤]] || 인터뷰 출연 || [[https://tv.naver.com/v/195670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조은정(1994)|조은정]]의 모여라' 코너 출연] || || [[2017년]] [[11월 17일]] || 희망TV SBS || 출연 || || || [[2017년]] [[12월 30일]] || [[SBS 연예대상/역사/2016~2020년#s-2|2017 SBS 연예대상]] || MC || with [[전현무]], [[이상민(룰라)|이상민]] || || [[2019년]] [[6월 24일]]~[[7월 1일]]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출연 || with [[우효광]] || || [[2020년]] [[12월 20일]] || [[미운 우리 새끼]] || 스페셜 MC || || || [[2021년]] [[5월 21일]]~[[6월 4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출장 십오야]] ||<|2> 게스트 || || || [[2022년]] [[4월 2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는 형님]] || with [[장혜진(배우)|장혜진]] || || [[2023년]] [[5월 5일]]~[[6월 30일]] ||<|2> [[후난 방송영상 그룹#s-4.3|[[파일:망고TV 로고.svg|width=55]]]] ||<|2> 승풍2023 (乘风2023) ||<|2> 참가자 || [[https://youtu.be/fIUuZ_diRP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개인전] [[https://youtu.be/XK9TsNksP8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1공] [[https://youtu.be/HOXu4jJZv-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2공] [[https://youtu.be/4aSXsWKGqL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3공] [[https://youtu.be/wOsQjwk6_T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4공] || || [[2023년]] [[7월 14일]] || [[https://youtu.be/LcbK3kwyu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부활전] || || [[2023년]] [[7월 17일]]~[[7월 24일]]||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출연 || with [[우효광]] || === 광고 === ||
'''연도''' || '''기업''' || '''브랜드''' || '''비고''' || '''영상''' || || [[1997년]] || [[롯데제과]] || [[빼빼로]] || || [[https://youtu.be/R7deshkc4x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02년]] || [[크라운제과]] || [[쵸코하임]] || || [[https://youtu.be/f3ejXg12oS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2016년]] || (주)휘권양행 || 호미가 || || [[https://youtu.be/RZZQ7xBf3_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인터뷰] || || 한국화장품 || 시크릿네이처 || || || ||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 || [[스타필드 코엑스몰]] || || [[https://youtu.be/t-MWVPLg8S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메이킹] || || [[한국인삼공사|KGC인삼공사]] || 정관장 까오팡 || || [[https://youtu.be/CmjS-9h8ut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br] [[https://youtu.be/MnaSEBpdEn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메이킹] || ||<|2> [[2017년]] ||<|2> (주)비브라스 || 블랙 테라피 || with [[우효광]] || || || 블랙티 클렌징 루틴 || || || || [[2018년]] || (주)팩토리얼홀딩스 || 이지더블유 || with [[우효광]] || [[https://youtu.be/e6Flwj9c8e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15s] [[https://youtu.be/SiLURtJd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30s] [[https://youtu.be/abFh_BtRp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메이킹] [br] [[https://youtu.be/cuPOXedJX9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UUTNY1HD5X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인터뷰] || ||<|3> [[2019년]] || (주)비브라스 || 비브라스 스킨케어 || || || || (주)든해 || 마리타 후리나이넨 || || || || 메타랩스 || VANT 36.5 || || [[https://youtu.be/1zfjilVGgy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2020년]] || (주)든해 || 마리타 후리나이넨 || || [[http://naver.me/5HvM3gsp|포스트]] || || 메타랩스 || VANT 36.5 || || [[https://youtu.be/wSuEJm7BHO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인터뷰] [[https://youtu.be/RbJxxZt4GJ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메이킹] || ||<|3> [[2022년]] || 비앤티랩(주) || 옵스킨 || || [[https://youtu.be/OePqFakxD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br] [[https://youtu.be/qm5BjrjvG_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메이킹] [br] [[https://youtu.be/LRfe14fgL5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인터뷰] || || 하남상연바이오텍 || 丸碧(WANBI) || || || || (주)매일유업 || 키즈부스트(爱思诺名作) || || || === 화보 === || '''연도''' || '''잡지사''' || '''발행호''' || '''비고''' || || [[2004년]] || 여성동아 || 8월호 || || || [[2006년]] || [[파일:씨네21 로고.svg|width=65]] || 551호 || || || [[2010년]] || 월간 잡메이트 || 11월호 || || ||<|2> [[2015년]] || CHIC! ELEGANCE || 7월호 || 표지 모델 || || 新娘BRIDES || 11월호 || [[https://bilibili.com/video/BV1Vt41157iC|비하인드]] || ||<|5> [[2016년]] || 时尚COSMO || 4월호 || with 우효광 || || bnt ONE || 5월호 || [[https://youtu.be/_RoRjFrVRUs|비하인드]] || || 여성중앙 || 8월호 || || || 스상씽슈 (时尚星秀) || 10월호 || [[https://bilibili.com/video/BV18s411T7As|인터뷰 영상]] || || BOSS STYLE || 10월호 || 표지 모델 || ||<|2> [[2017년]] || ICON-F || 8월호 || 표지 모델 || || [[파일:Marie Claire 로고.svg|width=65]] || 10월호 || with [[우효광]][br][[https://www.marieclairekorea.com/celebrity/2017/09/love-of-my-life|화보]] [[https://youtu.be/0lA0iUMqG_A|메이킹]] || ||<|8> [[2019년]] || 时尚新娘COSMOBride || 6월호 || 표지 모델[br]with 우효광 [br] [[https://youtu.be/jPzI7V25p3s|직캠]] || || [[파일:COSMOPOLITAN(잡지) 로고.svg|width=65]] ||<|2> 7월호 || || || 壹号THEONE || 표지 모델 [br] [[https://bilibili.com/video/BV1xt411n7eH|인터뷰 영상]] || || STARVIDEO (星画面) ||<|5> 8월호 || 표지 모델[br][[https://bilibili.com/video/BV1o4411f7WV|비하인드]] || || 艺乐ELE || || || 時尙芭莎 Harper's BAZAAR China ||<|2> with 우효광 || || 时尚COSMO || || CHIC ||<|2> 표지 모델[br]with 우효광 || ||<|3> [[2020년]] || 주간지 MODE (视周刊MODE) || || || [[Harper's BAZAAR|[[파일:Harper's BAZAAR 로고.svg|width=65]]]] || 8월호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48185|인터뷰]] || || 더 네이버 || 12월호 || [[https://m.theneighbor.co.kr/neighbor/view.asp?no=7888&pType=D|인터뷰]] [[http://naver.me/FYAfoDYv|포스트]] || || [[2021년]] || STARVIDEO (星画面) || 7월호 || 표지 모델 || ||<|3> [[2022년]] || PurplePearl || 8월호 || 표지 모델[br]with 우효광 || || [[빅이슈|빅이슈코리아]] || 10월호 || 표지 모델 || || [[파일:씨네21 로고.svg|width=65]] || 1377호 || || ||<|3> [[2023년]] || CHIC ||<|2> 9월호 || 표지 모델 [br] with 우효광 || || ICON-F || 표지 모델 || || [[마리끌레르 코리아|[[파일:Marie Claire Korea 로고.svg|width=65]]]] || 12월호 || [[https://www.marieclairekorea.com/celebrity/2023/11/im-unicef-team|인터뷰]] || === 참여 음반 === ||
'''연도''' || '''표지''' || '''앨범''' || '''곡명''' || '''비고''' || || [[2017년]] [[12월 18일]] || [[파일:동상이몽 2 너는 내 운명 OST PART 1.jpg|width=100]]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OST Part.1 || 그대잖아요 ||<|2> with [[우효광]] || || [[2018년]] [[11월 1일]] || [[파일:동상이몽 2 너는 내 운명 OST PART 2.jpg|width=100]]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OST Part.2 || 我们我们 || === 기타 === * 《VOD, 추자현 화보집》(2005, 필리핀) * 2018년 2월, 대한사회복지회 홍보대사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5> 2006년 || 제43회 [[대종상]] ||<|2> 신인여우상 ||<|5> 사생결단 || ||<|2>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2> 여우조연상 || || 제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 제9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올해의 신인 연기자상 || || 2009년 || 제1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영화부문 우수상 || 실종 || || 2012년 || CCTV 중국드라마 연도 스타성전 || 국제합작상 || || || 2013년 || 제2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 공로상 || || ||<|2> 2015년 || 제10회 [[서울드라마어워즈]] || 망고TV인기상 || || || 제4회 스타의밤 대한민국톱스타상 || 대한민국을 빛낸 인기스타상 || || || 2017년 || [[SBS 연예대상]] || 올해의 핫스타상 || 동상이몽, 너는 내 운명 || == 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SNS 편집 스태프의 [[김치]]→[[파오차이]] 표기 논란 ===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259544|김치 ‘파오차이’ 표기한 추자현…서경덕 “국가 기본적 정서 헤아리길” ⓒ서울신문]] 평소 중국 팬들을 위해 자신의 일상 관련 컨텐츠가 담긴 브이로그를 공유하던 추자현이 [[중국]] 소셜 미디어 샤오홍슈에 우효광이 끓인 라면을 먹는 모습을 담은 짧은 영상을 올렸는데, 최근 중국의 김치공정, 한복공정 등 어이없는 일들이 벌어지는 상황 속에서 영상 자막 편집 스태프가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하는 일을 저질렀다. 한중 양국에서 큰 영향력이 있는 연예인임을 인지하지 못한 채, 국가의 기본 정서를 헤아리지 못했다며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이를 인스타그램 게시물로 최초 지적하였고, 이후 추자현은 서 교수의 게시물이 작성된 지 이틀 뒤 해당 논란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입장문을 소속사 BH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공개하였다.[* 사실 중국식 김치가 파오차이인 만큼 김치를 중국어로 표기할 마땅한 단어가 없었을 수도 있다. 파오차이를 중국식 김치로 표현하는 것처럼 중국 입장에서는 김치를 한국식 파오차이로 표기할 수는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중국어로 김치는 韩国泡菜(한궈파오차이) 혹은 줄여서 泡菜(파오차이)로 많이 불려왔다. 영어로 떡을 rice cake이라고 부른다든지, [[슈바인스학세]]를 우리나라에서 독일식 [[족발]]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현지 음식을 가져와 적당히 번역한 표현을 썼던 것. 辛奇(신치)라는 표현을 농림부에서 만들어내긴 했지만, 이는 우리나라 정부 주도로 의도적으로 만든 단어였기에 2020년대 이전까진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억지 표현으로 여겨져서 사라질 상황에 놓여있던 표현이었다. 그러나 시진핑 집권 이후 2020년대 현재 중국은 김치를 파오차이로 부르던 걸 넘어서 아예 한국식 김치 자체가 중국 파오차이의 일부라 주장하고 있고 국내 여론도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기에 조금 더 많은 고려를 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고 볼 수 있다.]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안녕하세요. 추자현 입니다. 평소 한국과 중국 활동을 병행하며 이러한 부분에 대해 누구보다 관심을 두고 주의를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일로 많은 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미처 알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고민하며 반복된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법에 대해서 찾아보았습니다. 그간 김치와 파오차이의 번역 및 표기는 관용으로 인정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나, 작년 7월 시행된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훈령 이후 신치(辛奇)로 표준화하여 명시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더욱 올바른 번역과 표기를 사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주변의 많은 분들께 자문을 구했습니다. 하지만 새롭게 표준화된 외국어 번역 표기법 신치(辛奇)가 아직은 널리 통용되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무엇보다 이를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조언도 들었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고유 음식의 이름을 바로 알고 사용하며 올바른 표현이 더욱 알려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직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영상을 기획하고 편집한 저희 스태프 모두 책임감을 느끼고 한국 고유 문화와 전통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언제나 관심 가지고 지켜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wiki style="text-align: left" }}}}}} || || '''추자현 공식 입장문 전문''' || == 여담 == * 데뷔 초창기 때의 이미지가 일본의 가수 겸 배우인 [[쿠도 시즈카]]의 [[금단의 텔레파시]] 활동 시절과 비슷하다. * 전 [[야구선수]] [[양준혁]]과 친분이 있는 덕에 [[삼성 라이온즈]]의 홈 경기에서 시구를 하기도 했다. * 같은 소속사인 [[이지아]], [[한지민]], [[한효주]]와 친하다. 서로 작품에 들어갈 때마다 촬영장에 밥차를 보내거나, 서로가 출연하는 드라마가 첫 방송을 하면 본방사수를 인증하는 등, 사석에서 만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 [[작은 아씨들(tvN)|작은 아씨들]]에 함께 출연했으며 마찬가지로 같은 소속사 식구인 [[김고은]]과도 각별한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 [[김혜수]]와도 친한지 [[(아는 건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 촬영 당시 커피차를 보내거나, [[한지민]], [[한효주]]와 함께 [[내가 죽던 날]]을 관람하러 간 것을 인증하기도 했다. * 2인조 그룹 [[프리스타일(가수)|프리스타일]]의 팬이며, 중국 활동을 했던 [[미노(프리스타일)|미노]]와의 인연으로 [[무한도전 식스맨 : 시크릿 멤버]] 5편에 전화 연결로 출연했다. 또한 [[BIGBANG]]과 [[최우식]]의 팬이다. * 중국 활동 당시 첫 고정 출연 예능인 명성도아가를 통해 [[장백지]]와 친해졌다. 앞서 언급한 무한도전 출연 당시 친한 중국 연예인으로 곧바로 장백지를 언급하였으며, 긴 중국 활동을 마치고 한국에서 활동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한동안 추자현의 유일한 인스타그램 팔로잉이 장백지의 계정이었다. * 이외에 중국에서의 스크린 데뷔작인 전성수배에서 부부로 나왔던 조문탁과도 인연이 있다. * [[2023년]] 생일을 맞이해 한국 팬들의 주최로 소속사 [[BH엔터테인먼트]] 근처 카페에서 [[1월 19일]]부터 [[1월 20일]]까지 [[생일카페]]가 열렸고, 생일 당일인 20일에 당사자 본인이 카페에 깜짝 방문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https://theqoo.net/square/2698507256|#1]] [[https://cafe.daum.net/subdued20club/ReHf/4228049|#2]] [[https://www.instagram.com/p/Cnop2pHJXfS/?igshid=YmMyMTA2M2Y=|인스타그램]] [[https://youtu.be/bHaxYSPsP90|브이로그]] * 2005년 [[필리핀]]서 누드 화보를 찍은 적도 있다. 돈 때문에 찍은 건 아니고 100% 본인 판단이었다고. [[https://www.news1.kr/articles/?2371883|#]]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중국의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추계 추씨]][[분류:서구(대구) 출신 인물]][[분류:개봉중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국제결혼한 인물]][[분류:BH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분류:SBS 연예대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