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추일승호)] ||<:><#ffffff><-5> [[파일:Korea Basketball National Team.png|width=100]][br] '''{{{#0066b3 역대 대한민국 농구 대표팀}}}''' || ||<:> [[조상현호]][br],,[[조상현호/2021년|2021년]] / [[조상현호/2022년|2022년]],, ||<:>{{{+1 ←}}} ||<:><#ffffff> '''{{{#0066b3 추일승호}}}'''[br],,[[추일승호/2022년|2022년]] / [[추일승호/2023년|2023년]],, ||<:> {{{+1 →}}} ||<:> '''현직''' || [목차] [clearfix] == 6월 친선 경기 == [[대한민국농구협회]] 후원사 [[KB국민은행]]의 초청으로 [[필리핀 농구 국가대표팀|필리핀]]과 2022년 6월 17일과 18일 [[안양실내체육관]]에서 FIBA 아시안컵 대비 평가전을 치르게 된다. 추일승은 강화 훈련 엔트리 16인을 발표했는데, 대학 선수들도 몇몇 포함되었다. *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SK), [[허훈(농구)|허훈]], [[송교창]](이상 상무), [[허웅]], [[라건아]](이상 KCC), [[양홍석]], [[하윤기]](이상 kt), [[김종규(농구)|김종규]],[[강상재]](DB), [[장재석]](현대모비스), [[이대성]], [[이대헌]](한국가스공사), [[이현중]](데이비슨대), [[여준석]], 문정현(이상 고려대) === 필리핀전 === ||<-999><:><#0A6EFF> {{{#ffffff '''KB국민은행 초청 평가전 [br] 6.17(금) 19:00, 안양실내체육관''' }}} || ||<:><#dcdcdc> '''국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0A6EFF> '''{{{#ffffff 대한민국}}}''' ||<:> 16 ||<:> 18 ||<:> '''{{{#red 37}}}''' ||<:> 25 ||<:><#dcdcdc> '''96''' || ||<:><#0000FF> '''{{{#ffffff 필리핀}}}''' ||<:> 14 ||<:> 29 ||<:> 20 ||<:> 29 ||<:><#dcdcdc> 92 || [youtube(uOGtRYAzaog)] 추일승호의 첫 경기에서 가까스로 승리를 거두었다. 필리핀이 2군 멤버로 꾸린 상황에서 초반에 잘 안맞었는지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다 3쿼터부터 허훈과 최준용의 콤비를 앞세워 대역전극을 이뤄내며 승리를 가져갈 수 있었다. ||<-999><:><#0A6EFF> {{{#ffffff '''KB국민은행 초청 평가전 [br] 6.18(토) 19:00, 안양실내체육관''' }}} || ||<:><#dcdcdc> '''국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0A6EFF> '''{{{#ffffff 대한민국}}}''' ||<:> 25 ||<:> 22 ||<:> '''{{{#red 35}}}''' ||<:> 24 ||<:><#dcdcdc> '''106''' || ||<:><#0000FF> '''{{{#ffffff 필리핀}}}''' ||<:> {{{#red 31}}} ||<:> 22 ||<:> 21 ||<:> 28 ||<:><#dcdcdc> 102 || [youtube(cEobOhKu0aI)] 2차전도 승리를 가져가며 아시안컵 대비 기분 좋은 출발을 알렸다. 두 경기가 졸전이냐는 여부와는 별개로, 모처럼만에 대표팀에서 보인 화려한 포워드 농구로 재밌는 경기였다는 평이 많이 나왔다.[[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619500100|#]] == FIBA 아시아컵 == 2022년 7월 12일부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대회다. 시간은 현지시각 기준. 한편 [[고려대학교]]의 포워드 유망주 [[여준석]]이 미국 진출을 선언해 대표팀 합류를 못함에 따라 대체 선수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가드 [[이우석(농구선수)|이우석]]을 발탁했다. === B조 조별 리그 === ||<-10> '''B조''' || ||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패''' || '''총득점''' || '''총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3 || 3 || 0 || 258 || 227 || +31 || 6 || '''8강 진출''' || || 2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중국]] || 3 || 2 || 1 || 256 || 252 || +4 || 5 || '''8강 진출''' || ||<:> 3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대만 농구 국가대표팀|대만]] || 3 || 1 || 2 || 255 || 266 || -11 || 4 || 탈락 || ||<:> 4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바레인 || 3 || 0 || 3 || 236 || 260 || -24 || 3 || 탈락 || ==== 중국전: {{{#blue 승}}} ==== ||<-999><:><#ffffff> {{{#000000 '''Game day 1 [br] 7.12(화) 20:00''' }}} || ||<:><#dcdcdc> '''국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cc0000> '''{{{#ffcc33 중국}}}''' ||<:> 19 ||<:> 26 ||<:> 14 ||<:> 22 ||<:><#dcdcdc> 81 || ||<:><#0A6EFF> '''{{{#ffffff 대한민국}}}''' ||<:> 19 ||<:> 24 ||<:>22 ||<:>28 ||<:><#dcdcdc> '''93''' || 첫경기 상대인 중국을 맞이해서 승리를 거두면서 기분좋은 시작을 알렸다. 경기 초반에는 빡빡한 콜에 고전했지만 전체적으로 약해진 중국을 상대로 대등한 경기력을 보이면서 서서히 주도권을 잡아가다가 3쿼터부터 라건아를 중심으로 매섭게 공격을 펼쳤다. 라건아는 골밑에서 중국의 수비에 막히자 외곽으로 나온 뒤 3점포를 연이어 넣어버리며 중국 수비를 무너뜨리는데 성공했다. 이와 함께 김종규, 강상재, 송교창 등도 활약을 펼치면서 라건아의 공격을 도왔고 결국 승리를 가져갈 수 있었다. 필리핀과의 평가전에서 우려되었던 수비 붕괴도 4쿼터가 끝날때까지 일어나지 않았고 첫 난적인 중국을 상대로 이기면서 남은 경기 상대들의 전력 수준을 생각할 때 비교적 쉽게 조 1위로 토너먼트에 진출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여담이지만 한국이 중국을 12점차 이상으로 이긴건 이 경기 전에는 무려 25년전인 1997년 ABC 챔피언십 4강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https://jumpball.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1127399936|#]] ==== 대만전: {{{#blue 승}}} ==== ||<-999><:><#ffffff> {{{#000000 '''Game day 2 [br] 7.14(목) 15:00''' }}} || ||<:><#dcdcdc> '''국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0A6EFF> '''{{{#ffffff 대한민국}}}''' ||<:> 22 ||<:> 29 ||<:> 22 ||<:> 14 ||<:><#dcdcdc> '''87''' || ||<:><#000096> '''{{{#fff 대만}}}''' ||<:> 20 ||<:> 15 ||<:> 21 ||<:> 17 ||<:><#dcdcdc> 73 || 대만을 꺾고 조 단독 선두에 올랐다. 1쿼터는 전체적으로 답답한 모습을 보여 2점차로 근소한 시소게임을 펼쳤으나 2쿼터에 허웅과 이대성의 연속 3점슛이 터지면서 16점차까지 앞서나가기 시작했고 3쿼터는 라건아의 골밑지배로 점수차를 더 늘려가면서 승리를 굳쳤다. 한편 대만전 승리로 '''조1위로 8강 진출을 확정'''지었는데, 남은 경기에서 만약 바레인에게 일격을 당하고 중국 VS 대만의 승자랑 승점이 5점으로 같아진다 하더라도 승자승 원칙으로 인해 이 두팀에게 모두 승리를 거뒀다 보니 자동적으로 8강 진출이 확정된 것. D조 2위vsC조 3위의 8강 결정전 승리팀과 준결승 진출을 놓고 맞붙게 되었다. 덕분에 한 경기를 더 쉴수 있는 여유도 벌었다. ==== 바레인전: {{{#blue 승}}} ==== ||<-999><:><#ffffff> {{{#000000 '''Game day 3 [br] 7.16(토) 11:00''' }}} || ||<:><#dcdcdc> '''국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0A6EFF> '''{{{#ffffff 대한민국}}}''' ||<:> 19 ||<:> 19 ||<:> 22 ||<:> 18 ||<:><#dcdcdc> '''78''' || ||<:><#ce1126> '''{{{#fff 바레인}}}''' ||<:> 12 ||<:> {{{#red 30}}} ||<:> 19 ||<:> 12 ||<:><#dcdcdc> 73 || 바레인을 꺾고 3전 전승으로 조별예선을 마쳤다. === 토너먼트 === ==== 8강전: {{{#red 패}}} ==== ||<-999><:><#ffffff> {{{#000000 '''FIBA 아시아 컵 8강전 [br] 7.21(목) 22:00''' }}} || ||<:><#dcdcdc> '''국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0A6EFF> '''{{{#ffffff 대한민국}}}''' ||<:> 23 ||<:> 23 ||<:> 14 ||<:> 18 ||<:><#dcdcdc> 78 || ||<:><#000000> '''{{{#ffffff 뉴질랜드}}}''' ||<:> 26 ||<:> 14 ||<:> 20 ||<:> 28 ||<:><#dcdcdc> '''88''' || 8강전을 앞두고 [[허웅]]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았고 [[허훈(농구)|허훈]]이 발목 부상으로 출전이 불투명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한편 상대는 예상대로 뉴질랜드로 결정이 났다. 전통의 강호인 이란, 중국이 8강전에서 패배를 당해 탈락을 했다. 압도적인 제공권 열세와 가드진의 전력 공백을 이겨내지 못한 채 패배하며 탈락하였다. 팀 내 유일한 가드였던 [[이대성]]이 테크니컬 파울로 퇴장 당했으며 [[포인트 가드]]도 수행할 수 있는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마저 테크니컬 파울로 인한 퇴장을 당할 만큼 판정에 대해서도 여러 논란이 있었긴 하나 전체적으로 뉴질랜드의 플레이를 당해내지 못했다. [[분류: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분류:2022년 농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