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추미애)] [include(틀:추미애)] [목차] == 개요 ==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은 [[김대중]]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정계 입문을 한 이후 민주당계 정당들에서 활동하며 보수 정당 출신 정치인들과는 잦은 충돌로 인해 보수 정당 정치인들과는 관계가 안 좋은 경우가 많다. == 민주당계 정당 정치인 == === [[김대중]] === [[파일:DJ & 추미애.jpg]] ---- [[김대중]]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은 판사로 일하던 [[추미애]]를 정계 입문 시킨 장본인이다.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 국회의원 활동을 시작한다. 여담으로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 판사 사퇴서를 내고 당시 [[김대중]] 전 [[새정치국민회의]] 총재를 만나러 갔을때 김대중 전 총재의 노쇠함에 매우 실망했지만 중식당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야기 할때 김대중 전 대통령의 엄청난 먹는 양과 사람 1명 영입하려고 몇 시간을 쓰며 설득하는 모습에 정계 입문을 결심했다고 한다. === [[노무현]] === [[노무현]]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이 [[새천년민주당]] 후보였을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을 보좌하며 대통령 선거를 승리로 이끌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이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고 [[정동영]], [[한명숙]], [[천정배]], [[임종석]] 등 [[친노]] 계열 정치인들과 함께 [[열린우리당]]을 창당한다. 그러자 [[새천년민주당]]은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과 연대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을 탄핵시키려했고 당시 [[추미애]] 전 장관도 이에 찬성했다. 하지만 그 역풍으로 [[새천년민주당]]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패했고 본인도 자신의 지역구였던 [[광진구 을]]에서 낙선한다. 이후 추미애 전 장관은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찬성이 자신이 정치를 하면서 한 가장 큰 실수라고 이야기하기도 했지만 어쨌거나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기에 여전히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층 중 일부는 추미애 전 장관에게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 [[문재인]] ===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추미애 전 장관은 [[더불어민주당]] 대표였기 때문에 문재인 캠프에서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고 대통령 선거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장관을 맡으며 [[검찰개혁]]을 전두지휘했다. 여담으로 [[제19대 대통령 선거]] 유세하며 농담을 했는데 당시 [[문재인]] 전 후보가 아무런 반응이 없어서 많이 민망했다고 한다. 2023년 7월, 추미애-윤석열 갈등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자신에게 사퇴를 권했다며 배신감을 표현하며 더 이상 예전같지 않은 관계가 되었다. === [[이재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재명 추미애.gif|width=100%]]}}} || || {{{#004EA2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최종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과 포옹하는 추미애'''}}} || ---- 사실 추미애는 이해찬과 마찬가지로 이재명에게 반쯤 후견인이나 다름없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각종 스캔들로 위태로웠던 이재명을 당대표로써 엄호하면서 끝내 경기도지사로 당선되는데 큰 도움을 주었기 때문. 거기다 같은 대경권 출신에 개혁 성향이 강한 더불어민주당 정치인이라는 공통분모까지 있다. 대통령 선거 경선 과정에서 추미애는 이재명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주었다. 이러한 모습에 이재명 지지 선언 후 사퇴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으나 경선 끝까지 완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이재명이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결과에 일부 이낙연측 의원, 지지자들이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함께 경선에 참여한 [[박용진]], [[정세균]], [[김두관]], [[이광재]][* 이광재는 예비 경선 과정에서 정세균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하였다.] 등과 함께 이재명 지지를 선언하며 다시 한 번 이재명에게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후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대통령 선거 캠프에서 명예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 [[김경수]] === 같은 [[친문]] 정치인이였으나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을 수사하면서 자폭하게 되었다. == 보수 정당 정치인 == === [[박근혜]] === 박근혜 정부 시기 당대표로 선출돼 제1야당의 당대표를 맡으며 박근혜의 탄핵을 주도했다. 그래서 그런지 탄핵의 여왕, 탄핵녀, 한탄두[* '''한'''번 정치인생에 '''탄'''핵이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두]]'''[[박근혜 탄핵 소추|번]]이나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등의 별명이 생겼다. 추미애와 박근혜도 한때 잠깐이나마 동맹으로 뜻을 같이했던 적도 있다. 바로 위에 언급한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이 바로 그 때이다. === [[홍준표]] === 홍준표가 제1야당의 대표이던 당시 추미애가 여당 대표였으니 정치적으로는 당연히 충돌이 많았다. 특히 [[드루킹]] 게이트의 여파로 인해 서로 살벌한 설전을 벌였다. 그러나 사실 이 두 사람은 [[사법연수원]] 동기이며 함께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회에 입성했다. (연령은 홍준표가 4살 연상) 동향([[대구광역시]])[* 추미애는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나온 대구광역시 토박이고, 홍준표는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학창 시절은 대구광역시에서 지냈다.] 출신이다. [[https://goo.gl/images/VFjpq8|사적으로는 그렇게까지 사이가 나쁜 것은 아니다.]] 행사장 등에서 찍힌 사진을 보면 서로 덕담을 주고 받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다. [[2017년]] [[7월 25일]] [[KBS 2TV]]에서 방연했던 [[이경규]]의 [[냄비받침(KBS)|냄비받침]]에 출연하여 밝히기를, '''과거 집에 가서 애나 봐라고 말했던 데 대해 공식 사과하며, 추미애 전 대표와 사법연수원 같은 반이었는데 그 당시에도 미인이었다. 그런데 2년 동안 쑥쓰러워서 말 한마디 건넨 적이 없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http://news.imaeil.com/Entertainments/2017072523460390600?ismobile=true|#]] === [[윤석열]] === [[파일:joo201126_22.jpg]] ---- [[추미애]] 전 장관이 법무부장관이던 시절 현직 검찰총장이었기에 당연히 충돌이 매우 많았다. 충돌하던 당시에는 [[추미애]] 전 장관에 대한 야당의 총공세와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의 몇 가지 논란으로 인해 [[추미애]] 전 장관의 충돌 과정 속에서 [[윤석열]]이 대권 주자로 출마하게 되었고, 대통령 선거 레이스 와중에도 두 사람의 충돌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결국 0.73% 차이로 [[윤석열]]이 [[이재명]] 후보를 꺾고 당선되면서 추미애는 본의 아니게 [[더불어민주당]] 정권을 5년 만에 끝장내버린 셈이 되고 말았다. [[분류:추미애]][[분류:인간관계/실존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