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의 성우)] ||<-2>
'''{{{#ffffff [[KBS 성우극회|{{{#ffffff KBS 성우극회}}}]] 4기 성우}}}''' || ||<-2> {{{#ffffff '''{{{+1 최흘}}} [br] 崔屹|Choi Heu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95381045152928.jpg|width=100%]]}}} || || '''출생''' ||[[1936년]] [[2월 1일]] || || '''사망''' ||[[2018년]] [[2월 20일]] (향년 82세) || || '''혈액형''' ||[[A형]] || || '''학력''' ||[[남성고등학교]] {{{-2 (졸업)}}} || || '''소속''' ||[[KBS 성우극회]] 4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1961년]] ~ [[1963년]] [br] 프리랜서: [[1964년]] ~ [[2018년]] || || '''링크''' ||[[https://www.facebook.com/heul.cho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kbau.co.kr/1890292918_b03e4ca5_3EB82A8EC9E90EC84B1EC9AB0.PDF%2B-%2BAdobe%2BAcrobat%2BPro%2BExtended.jpg]] 대한민국의 성우. 1961년 [[KBS 성우극회]] 4기로 입사했으며 2018년까지 프리랜서로 활동했다. 1세대 성우계를 대표했던 원로 성우로서 [[유강진]]과 [[박영남]]보다도 연배차가 많고, 경력도 높은 선배에 심지어 동기인 [[김순원]]보다 나이가 더 많다. == 활동 == [[스머프|개구쟁이 스머프]]의 [[파파 스머프]]와 《[[반지의 제왕]]》의 [[간달프]](KBS판) 역으로 유명하다. 인자하면서도 깐깐한 느낌의 노인 역을 많이 맡았으며 <한국어 바르고 아름답게 말하기 운동본부> 대표로 일하면서 <우리말 바르게 하기 사전>을 편찬하였다.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 《스머프》를 재방영하기도 했는데 파파 스머프를 [[김태훈(성우)|김태훈]]이 맡았다. 김태훈 역시 경력 많은 베테랑 성우라서 연기력이 매우 좋았지만, 아무래도 최흘의 자연스러운 인자함에는 비교적 아쉬운 느낌. 그래도 아주 가끔씩은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이나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같은 애니메이션에도 출연하였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유니크론과 변신로보트]]에서의 [[유니크론]]도 이 성우가 맡았다. 우리말 바로쓰기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장단음 사전, 바르게 말하기 등 우리말에 관련된 책도 여러권 편찬했다.[* 이후 후배 성우 [[이종구(성우)|이종구]]가 이 일을 이어받아 하고 있다.] [youtube(L-jNuo6DAeY,width=424,height=240)] 1993년 방송된 KBS 어린이 만화대잔치의 8:00에 최흘이 출연했다.[* 그와 동반 출연한 성우들은 [[장정진]]과 [[이정구]]이며 현재 이들 중 이정구만 생존하여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 사망 == [[2018년]] [[2월 20일]]에 이때가 향년 82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성우 [[김정훈(성우)|김정훈]]이 [[https://blog.naver.com/metal109lion/221213353936|블로그로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8453326|언론에는 고인의 딸이 홍보팀장으로 재직중인 숙명여대에서 전해서 알려졌다.]] 이로써 한미 양국 원조 파파 스머프 성우가 모두 세상을 떠났다.[* 공교롭게도 같은 해 11월 12일에는 파파 스머프의 역대 미국판 성우들 중 한 명인 [[스탠 리]]도 세상을 떠났다.] 하필 2월 21일 같은 날에 [[오스기 렌]], 배우 [[차명욱]] 같은 유명인이 사망해서 더욱 충격을 줬다. == 출연작(가나다순) == === 애니메이션 === * [[스머프|개구쟁이 스머프]]([[KBS]]) - '''[[파파 스머프]]''' * [[공룡시대]] 2 ~ 11 - 리틀풋의 할아버지, 내레이션 * [[딱따구리(애니메이션)]] ([[KBS]]) - 윌러비 경감 및 여러 조연 캐릭터 * [[몽키삼총사]] ([[SBS]]) - 텐진바야시 마츠고로 * [[로봇(애니메이션)|로봇]] - 빅 웰드 * [[뽀롱뽀롱 뽀로로|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 방가 회장 * [[바이오니클 3: 보이지 않는 함정]] - [[노릭]] * [[샤크(애니메이션)|샤크]] - 늙은 상어 * [[우주보안관 장고|돌아온 우주보안관 장고]]([[애니박스]]) - 마법사 * [[인크레더블]] - 디커[* [[인크레더블 2|2편]]에서는 [[안종국]].] * [[초롱이의 옛날여행]]([[KBS]]) - 내레이션 * [[트랜스포머 더 무비|유니크론과 변신로보트]]([[KBS]]) - '''[[유니크론]]''', 내레이션[* 내레이션은 일본에선 [[사운드웨이브(G1)|사운드웨이브]]의 성우인 [[마사무네 잇세이]]가 맡았다.] * [[카]] - [[허드슨 호넷(카)|허드슨 박사]][* 마지막 애니메이션 출연작이자 본인 생애의 유작이다. 1편에서는 [[유강진]].] * [[쾌걸 조로(아시 프로덕션)|쾌걸 조로]]([[SBS]]) - 알레한드로 데 라 베가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기타 조연#s-8|크랭키 두들 동키]][* 유일한 투니버스 출연작. 역대 투니버스 출연 성우들 중 최고령이다.] === 외화 === * '''[[스머프|스머프 시리즈]]'''(조나단 윈터스) [* 마지막 영화 출연작이다.] * [[개구쟁이 스머프(영화)|개구쟁이 스머프]] - '''[[파파 스머프]]''' * [[개구쟁이 스머프 2]] - '''[[파파 스머프]]''' * '''[[도널드 서덜랜드]]''' 전담 * 거장의 장례식([[KBS]]) - 타일러 * [[폭로#s-3|폭로]]([[KBS]]) - 밥 가빈[*S [[SBS]] 방영판에서는 [[이봉준]].] * '''[[크리스토퍼 플러머]]''' 전담 * [[가시나무새(소설)|가시나무새]]([[KBS]]) - 주교 * [[뷰티풀 마인드(영화)|뷰티풀 마인드]]([[KBS]]) - 로젠 박사 * [[사운드 오브 뮤직(영화)|사운드 오브 뮤직]]([[KBS]]) - '''조지 본 트랩 대령''' * 왕이 되려던 사나이([[KBS]]) - 루드야드 키플링 *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KBS]]) - 파르나서스 박사 * [[007 골드핑거]]([[KBS]]) - 스미서스(리차드 버논) * 12명의 배심원([[KBS]]) - 배심원(미카일 에프레모프) * [[6백만불의 사나이]]([[KBS]]) - 오스카 골드먼(리처드 앤더슨) * [[가위손]]([[KBS]]) - 빌([[알란 아킨]])[* [[MBC]] 방영판에서는 ~~[[박조호|박지훈]]~~.] * [[가타카]]([[KBS]]) * 검은 고양이 흰 고양이([[KBS]]) - 그르가 * 경천 12시([[KBS]]) - 다까라마(나수기) * [[길버트 그레이프]]([[KBS]]) - 슈퍼마켓 주인(팀 그린) * [[나니아 연대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 [[디고리 커크]]([[짐 브로드벤트]]) *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KBS]]) - 키미의 아빠(필립 보스코)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KBS]]) - 괼츠(레오 불가코프) * 뉴튼 보이즈([[KBS]]) - 슈메이커(루크 아스쿠) * [[늑대의 후예들]]([[KBS]]) - 사르디 신부(장 프랑소와 스테베닌) * [[니벨룽겐의 반지(드라마)|니벨룽겐의 반지]]([[KBS]]) - 아이빈트([[막스 폰 시도우]])[* 마지막 외화시리즈 출연작.] * [[당산대형]]([[SBS]]) - 사장(한영걸) * [[대부(영화)|대부]]([[KBS]]) - [[잭 월츠]](존 마리) * [[데몰리션 맨]]([[SBS]]) - 레이몬드(나이절 호손) * [[데이라잇]]([[KBS]]) - 노먼(배리 뉴먼) * [[로마의 휴일]]([[KBS]]) - 브래들리의 신문사 국장(하틀리 파워) / 의사(하인즈 하인릭) * [[마이클 클레이튼]]([[KBS]]) - 마티 바크([[시드니 폴락]]) * [[미션]]([[SBS]]) - 추기경(레이 맥엔올리) *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1: 반지 원정대]]([[KBS]]) - '''[[간달프]]'''([[이안 맥켈런]])[*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두개의 탑]]에서는 [[유강진]],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왕의 귀환]]은 [[김태훈(성우)|김태훈]]이 맡았다.] * [[배트맨 포에버]]([[KBS]]) - 프랭크(에드 베글리 주니어) * [[불의 전차]]([[KBS]]) - 트리니티 학장([[존 길구드]]) * 브라더스([[KBS]]) - 혜닝(벤트 메이딩) * 사랑의 마라톤 300마일([[KBS]]) - 매킨타이어(피터 그레이브스) * [[샤인(영화)|샤인]]([[KBS]]) - 파크스 교수([[존 길구드]]) * [[쇼생크 탈출]]([[KBS]]/[[SBS]])[* [[김병관(성우)|김병관]]과 함께 두가지 버전 모두 출연했다.] - 브룩스 영감([[제임스 휘트모어]],[[KBS]])[* [[SBS]]판에서는 [[임종국(성우)|임종국]].] / 노튼 감옥소장([[밥 건튼]],[[SBS]])[* [[KBS]]판에서는 [[유강진]].] * [[아마데우스(영화)|아마데우스]]([[KBS]]) - [[레오폴트 모차르트]](로이 도트라이스) * [[아마겟돈(영화)|아마겟돈]]([[KBS]]) - 대통령(스탠리 앤더슨) / 내레이션([[찰턴 헤스턴]]) * 아메리칸 스윗하트([[KBS]]) - [[래리 킹]](본인) * 야마카시([[KBS]]) - 의사(제랄드 모랄레스) * 야성의 킬리만자로([[KBS]]) - 애덤슨(로버트 테일러) * [[앱솔루트 파워]]([[SBS]]) - 월터 설리번(E. G. 마샬) * [[언더시즈]]([[KBS]]) - 베이츠 합참의장(앤디 로마노)[* [[언더시즈 2|속편]]에서는 [[임종국(성우)|임종국]], 1편 SBS판는 [[탁원제]]가 맡았다.] * 오르페브르 36번가([[KBS]]) - 로베르(앙드레 뒤솔리에) * 올리버 트위스트([[KBS]]) - 페긴([[알렉 기네스]]) * 올리브 나무 사이로([[SBS]]) - 영화감독(모하메드 알리 카사바르즈) * [[음식남녀]]([[KBS]]) - 사장(왕각) * [[왕자와 거지]]([[KBS]]) - 노퍽([[렉스 해리슨]]) * [[일급 살인]]([[KBS]]) - 클로슨 판사([[로널드 리 어메이]]) * [[코쿤#s-4]]([[SBS]]) - 벤 러킷(윌포드 브림리) * [[콰이강의 다리]]([[KBS]]) - 그린(안드레 모렐) *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KBS]]) - [[에드워드 스미스]] 선장([[버나드 힐]]) * [[트루 라이즈]]([[KBS]]) - 스펜서 트릴비 국장([[찰턴 헤스턴]]) * 화성아이, 지구아빠([[KBS]]) - 의사(하워드 헤스맨) * 화성인 마틴([[KBS]]) - 아미탄(레이 월스톤) * [[JFK(영화)|JFK]]([[KBS]]) - [[린든 B. 존슨]](톰 하워드) / 재판장(존 피네건) === 라디오 === * 폴로그램 자유통신[* 대북방송, 특기 [[이혜경]] 성우와 함께 진행.] === 게임 === * [[디아블로 3]][* 블리자드 게임에 출연한 모든 성우들 중 최연장자다.] === 드라마 === * [[여명의 그날]]([[KBS]]) - [[조소앙]][* [[김규식]] 역을 맡은 [[김규식(성우)|김규식]]과 함께 출연. [[공화국 시리즈]] 등으로 성우의 드라마 배역할당을 가끔씩 볼 수 있었던 [[MBC]]와는 달리 KBS의 김규식과 최흘의 기용은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에 속한다.] *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SBS]]) - 제8화 [[박충훈]] 국무총리, 제20화 [[태완선]] == 수상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최흘의 기타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한국방송대상|[[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width=40]]]] '''[[한국방송대상|{{{#FFFFFF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성우/내레이션상}}}''' || || [[남성우(성우)|남성우]][br][[송도영]][br](1988년) || {{{+1 →}}} || '''최흘'''[br][[박민아]][br]'''(1989년)''' || {{{+1 →}}} || [[이선영(성우)|이선영]][br][[이영달]][br](1990년) || ---- }}} || * 2003 KBS 라디오 연기대상 - 특별상 * 2016 KBS 라디오 연기대상 - 공로상(후배 성우 [[성창수]]와 공동 수상)[[https://www.youtube.com/watch?v=8ESHJz_vs8E|해당 영상]]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36년 출생]][[분류:1961년 데뷔]][[분류:2018년 사망]][[분류:남성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