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방공무원, rd1=최태영(소방공무원))]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2> {{{+1 '''최태영'''}}}[br]'''崔泰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pressian.com/40030227115201.jpg|width=100%]]}}} || || '''이름''' ||최태영(崔泰永)|| || '''출생''' ||[[1900년]] [[3월 28일]]|| || '''사망''' ||[[2005년]] [[11월 30일]] ('''향년 105세''')||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학자. 만년에는 역사학 연구도 하였다. == 생애 == 1900년 3월 28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1919년 [[메이지대학]] 예과에 입학했다. 1921년부터 1924년까지 메이지대학 법학부에서 수학하였고, 법철학 및 상법 분야의 연구로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25년 [[보성전문학교]] 교수가 되었는데, 이는 우리 대학사상 한국인 최초의 정교수가 된 것이었다. 이때 상법·민법·헌법·국제법·행정법·법제사·법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며 법학 교육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경신학교의 교장 등을 겸임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에서 변호사 자격을 인증받은 뒤, 1946년부터 [[부산대학교]] 교수 겸 인문대학장을 지냈다. 1947년 12월 16일에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교수 겸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서울법대 재직 당시 상법 전공을 담당하였다. 1957년부터 1972년까지는 한국상사법학회 회장을 지냈다. 2005년 105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전.현직을 통틀어 대한민국학술원의 최고령, 최장수 회원이었다. "주변에 알리지 말고 조용히 장례를 치르라"는 유언에 따라 유족만 참석한 가운데 장례식을 치렀다. == 업적 == 저술로 국내 최초로 상법과 관련된 '현행 어음·수표법'을 집필하였고,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1977년에 출간한 '서양 법철학의 역사적 배경'은 학술원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70세가 넘어 한국사 공부를 시작했다. 고대사 연구에도 관심을 가져, 단군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하였다. [[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분류:1900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분류:메이지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