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최찬}}}'''[br]'''崔燦[* [[http://db.history.go.kr/id/hdsr_007_0010_0020_0020|한민족독립운동사 7권]]에는 崔'''{{{+1 粲}}}'''으로 기재돼 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찬.jpg|width=100%]]}}} || || '''이명''' ||최승조 || || '''자''' ||성조(聖祚) || || '''본관''' ||[[해주 최씨]][* 좌랑공파(佐郞公派) 33세 광(光) 항렬. 족보명은 최광윤(崔光胤).] || ||<|2> '''출생''' ||[[1885년]] [[4월 25일]][* 해주최씨 인터넷족보에는 1887년 4월 13일생으로 등재돼 있다.] || ||[[황해도]] [[해주시|해주목]] 삼곡방 하1리[br](現 [[황해남도]] [[벽성군]] 쌍암리) || || '''사망''' ||[[1921년]] [[1월 1일]][* [[음력]] [[1920년]] [[11월 23일]]. 해주최씨 인터넷족보에는 1920년 12월 14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돼 있다.] (향년 35세) || || '''묘소'''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콴뎬만주족자치현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885년 4월 25일 황해도 해주목 삼곡방 하1리(現 황해남도 벽성군 쌍암리)에서 아버지 최문식(崔文植, 1860. 7. 25 ~ 1926. 8. 16)과 어머니 [[전주 이씨]](1864. 12. 25 ~ 1944. 4. 22)[* 이원일(李源一)의 딸이다.] 사이에서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19년 [[중화민국]] [[길림성]]으로 건너가 그해 10월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352|박장호]](朴長浩)·[[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989|전덕원]](全德元)·[[조맹선]] 등이 조직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입단했고, 대한독립단이 연호 사용의 문제로 기원(紀元)독립단과 [[민국기년|민국]](民國)독립단으로 분리되자 [[조병준]]·[[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010|신우현]](申禹鉉) 등과 함께 [[민국기년]]의 사용을 주장하면서 민국독립단으로 적을 옮겨 그곳에서 국내특파원으로 활약했다. 1920년 5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할 [[광복군사령부]]의 제2영(營) 제1대대장에 임명되었고, 그해 7월 제2영장에 승진, 발령돼 [[독립군/한국|독립군]]의 훈련을 주도하고 [[관동군]]에 대한 공작활동에 종사했다. 이어 1920년 10월에는 지방 제5영장에 임명되어 제1영장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55147|변창근]](邊昌根), 제2영장 [[오동진(독립운동가)|오동진]](吳東振), 제3영장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199|홍식]](洪植), 제4영장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0576|최시흥]](崔時興), 제6영장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243|김창곤]](金昌坤) 등과 함께 [[연해주]] 니콜라옙스크 작전에서 직접 독립군 사병들을 진두 지휘해 관동군을 대거 토벌하는 등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1921년 1월 1일 일본 밀정 김성택(金性澤)에게 피살되어 그 자리에서 순국했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해주시 출신 인물]][[분류:해주 최씨]][[분류:1885년 출생]][[분류:1921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