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전국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최정기}}}'''[br]'''崔貞基'''}}}}}} || || '''본관''' ||[[탐진 최씨]][* [[https://m.cafe.daum.net/tamjinchoifamily/5R0t/348?|#]]] || ||<|2> '''출생''' ||[[1913년]] [[4월 20일]]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군]] 기례방면 누항리[br](現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누문동]] 76번지) || ||<|2> '''사망''' ||[[2000년]] [[2월 1일]] || ||[[서울특별시]] || || '''학력''' ||[[광주농업학교]] {{{-2 (명예졸업)}}}[br]교토중학교 {{{-2 ([[졸업]])}}}[br][[도쿄공업대학]] {{{-2 ([[화학공학]] / [[학사]])}}}[br][[조선대학교/학부 및 대학원|조선대학교 대학원]] {{{-2 (수료)}}}[br][[전남대학교/학부 및 대학원|전남대학교 대학원]] {{{-2 ([[공학]] / [[박사]] 과정 수료)}}}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832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교육인, [[정치인]]이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서훈되었다. == 생애 == 1913년 4월 20일 전라남도 광주군 기례방면 누항리(現 광주광역시 북구 누문동 76번지)에서 태어났다. 이후 광주군 광주면 누문리(現 광주광역시 북구 누문동) 253번지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09&evntId=0034991736&evntdowngbn=Y&indpnId=000002276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이주해]] [[광주농업학교]]를 다녔다. 1967년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2가]] 22번지에 [[http://db.history.go.kr/id/im_110_30274|거주했고]], 1977년에는 종로구 [[세종로]] 1-41번지에 [[http://db.history.go.kr/id/im_110_30274|거주했다]]. 광주농업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29년 6월, [[조길룡]]·[[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02|김남철]](金南哲) 등 광주농업학교에 다니던 20여명의 학우들과 함께 [[광주광역시|광주군]] 석곡면 금곡리(現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금곡동) [[무등산]]에 모여 '독서회 중앙본부'의 하부조직으로 항일 학생비밀결사인 광주농업학교 독서회를 조직했다. 이때 그는 김남철·[[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241|정욱]](鄭昱)·[[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0651|김순복]](金順福) 등과 함께 독서회의 조직교양부 위원에 선임되었고, 이후 이들은 전 독서회원을 4개 반으로 나누어 각 반별로 연구활동을 하며 항일의식을 길러 나갔다. 또한 그는 학년별로 독서회를 조직하기로 하고 1929년 10월 광주군 광주면 읍내 유환묵(劉煥默)의 집에서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51150|최차도]](崔次道)·[[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130|안종변]](安鍾卞) 등과 함께 2학년 중심의 독서회 조직을 논의하였다. 이후 그는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하였고, 11월 12일 제2차 시위가 일어나자 수업종을 신호로 하여 조길룡과 김남철·정욱·[[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50130|김복근]](金福根) 등 독서회원들과 함께 광주농업학교 재학생 200여명을 주도해 교문을 박차고 나가 격문을 뿌리고 구호를 외치며 가두시위를 전개했다. 이들은 광주형무소로 진격하던 도중 [[광주고등보통학교]] 부근에서 급히 출동한 일본 경찰에 저지되고 말았다. 그 뒤 1930년 1월 광주학생항일운동 당시 연락 책임자라는 이유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고, 독서회 운동과 관련해 심문을 받으며 모진 고문을 당했다. 그리고 1930년 7월 17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09&evntId=0034991736&evntdowngbn=Y&indpnId=000002276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광주지방법원 공판에 회부되었고]], 10월 18일 광주지방법원 형사부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50일 본형에 산입)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09&evntId=0034991852&evntdowngbn=Y&indpnId=0000026340&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하여 대구복심법원으로 이송되었고, 두 차례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구류 갱신이 이뤄졌다. 이어 1931년 6월 1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및 보안법 위반,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 공소의 이유가 있다는 판결이 내려졌고, 일부 감형된 징역 1년형(재판 미결 구류일수 중 365일 본형에 산입, 법정 미결 구류 통산 4일)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559&evntId=0034985258&evntdowngbn=Y&indpnId=000001672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아]] 곧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495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0767&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중학교와 [[도쿄공업대학]] [[화학공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광과학공업 [[주식회사]]에서 [[전무이사|전무취체역]]으로 재직하다가 [[8.15 광복]]을 맞아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조선대학교/학부 및 대학원|조선대학교 대학원]]과 [[전남대학교/학부 및 대학원|전남대학교 대학원]] [[공학]] [[박사]] 과정에 입학해 각각 수료하고 [[조선대학교/학부 및 대학원|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학장에 부임했다. 1960년 6월 11일부터 1961년 8월 27일까지 제2대 조선대학교 총장을 [[https://www3.chosun.ac.kr/chosun/141/subview.do|역임했다]]. 또한 고려미유(高麗美油) 주식회사 사장을 지내기도 했다. 1963년 [[민주공화당]]이 창당되자 이에 입당했고, 그해 시행된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국구 국회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공화당 전라남도지부 위원장, 전라남도 제1지구당 위원장, 당무위원 등을 지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의 공천을 받아 전라남도 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이 지역의 거물이던 [[신민당(1967년)|신민당]] [[정성태]]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서훈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신민당 정성태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1971년 6월 21일 제4대 [[전라남도교육청|전라남도 교육위원회]] [[교육감]]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1062100209201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1-06-21&officeId=00020&pageNo=1&printNo=15293&publishType=00020|임명되어]] 1975년 6월 21일까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6180032920702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6-18&officeId=00032&pageNo=7&printNo=9147&publishType=00020|역임했다]]. 이후 [[전남생명과학고등학교|광주농업고등학교]]로부터 명예졸업장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2240020921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2-24&officeId=00020&pageNo=12&printNo=18890&publishType=00020|수여받았다]]. 1987년에는 [[신민주공화당]]에 입당해 부총재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1800209203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11-18&officeId=00020&pageNo=3&printNo=20347&publishType=00020|임명되어]]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김종필]] 후보의 선거를 도왔다.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가로 서훈되었다. 2000년 2월 1일 오전 11시 서울특별시에서 [[지병]]으로 [[https://www.mk.co.kr/news/home/view/2000/02/10818/|별세하였다]]. 그의 유해는 2000년 2월 3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안장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3> [include(틀:민주공화당)] || ''' - ''' || '''당선''' || '''초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광주시 갑) || 24,907표 (46.24%) ||<|2> 낙선 (2위)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광주시 갑) || 26,759표 (40.19%)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사립대학 총장]][[분류:탐진 최씨]][[분류:북구(광주) 출신 인물]][[분류:1913년 출생]][[분류:2000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출신]][[분류:도쿄공업대학 출신]][[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