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崔安道 1294년(충렬왕 20) ~ 1340년(충혜왕 복위 1) == 개요 == 고려말의 [[총신]]. == 상세 == 본관은 [[용궁 최씨|용궁]](龍宮).[* 본관인 용궁은 [[경상북도]] [[예천군]]의 옛 지명이다.]초명은 최나해(崔那海) 이며, 검교첨의평리상호군(檢校詹議評理上護軍) 최현(崔玄)의 아들이다. 그의 조상은 용주(龍州)에 옮겨 살면서 가난해졌다. 어머니는 궁비 출신이다. 본래 천민출신으로 충선왕을 따라 한어와 몽고어를 익혀서 출세길을 세웠다. 충선왕 당시에는 조적의 상소로 유배되기도 하였으며 충숙왕이 즉위 했을때엔 폐신으로 되기도 하였다가 그러다가 충선왕 6년에 호군 관직에 올랐다. 충숙왕이 왕고 일파에 의해 몽고에 억류 되어있을때에 시종을 하였으며 이듬해 대호군 관직에 올랐다. 이 무렵 충숙왕이 정치를 돌보지 않자 김지경(金之鏡), 신시용(申時用), 조륜(祖倫) 등과 함께 권력을 잡았다. 그런 다음 벼슬을 팔고, 부정한 재판으로 뇌물을 받는 등 간신 같이 행동하였다. 상소문을 중간에서 밀수해 왕에게 가지 못하게 하였다. 1321년 오잠(吳潛)과 유청신(柳淸臣)의 입성책동을 진압한 공으로 노비 10구와 토지 100결을 하사받았다. 충혜왕 1년에 감찰대부에 올랐으며 1340년 사망하였다. [[분류:고려의 인물]][[분류:용궁 최씨]][[분류:1294년 출생]][[분류:134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