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투수))] ||
'''{{{#ffffff 최시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84번}}}''' || || 김현종[br](2017~2018) || {{{+1 →}}} || '''최재익[br](2019)''' || {{{+1 →}}} || [[이재용(야구선수)|이재용]][br](2020~2021)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91번}}}''' || || [[오장한]][br](2021) || {{{+1 →}}} || '''최시혁[br](2022~)'''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시혁2023프로필.png|width=100%]]}}}|| ||<-2> '''NC 다이노스 No.91''' || ||<-2> '''{{{#00275a {{{+2 최시혁}}}[br]催禔洫 | Choi Sihyuk}}}'''[* 최재익에서 개명.] || ||<|2> '''출생''' ||[[2000년]] [[7월 19일]] ([age(2000-07-19)]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봉천초등학교|봉천초]] - [[배명중학교|배명중]]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등학교]] 에서 전학] || || '''신체''' ||190cm, 8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s-3.2|2019년 2차 3라운드]] (전체 27번,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9~) ||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20~2022) || || '''연봉''' ||3,000만원 (동결, 2023년) || || '''가족''' ||부모님, 쌍둥이 형 [[최수호(야구선수)|최수호]]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등학교]] 재학 시절 기회를 좀 더 얻기 위해 1학년을 마친 후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로 쌍둥이 형인 [[최수호(야구선수)|최재성]]과 함께 전학을 왔다. 단, 형이 6개월 늦게 전학을 왔다. 1학년 중반에 전학을 와 출장 정지 징계에 걸려 6개월을 못나오고 2학년 중반부터 나오기 시작하였다. 3학년이 되면서 최고 구속 151km/h를 던지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형인 [[최수호(야구선수)|최재성]]과 원투펀치로 활약하면서 상위라운드에 지명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단점은 제구력이 좋지 못하다는 점인데, [[고교야구 주말리그]] 후반기 종료 시점까지 사사구:삼진 비율이 26:19로 좋지 못하다. 팀이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와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에 연이어 조기 탈락하면서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에는 나가지 못하는 지라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가 사실상 마지막 쇼케이스 무대다. 봉황대기 16강전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등학교]]전에서 8회 4번째 투수로 등판했으나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하고 1피안타 1피사사구 3폭투를 기록하며 내려갔고 8강전 [[충훈고등학교 야구부|충훈고등학교]]전에서는 선발로 나왔으나 2⅓이닝 2실점(1자책) 1피안타 4피사사구 3탈삼진을 기록하며 여전히 제구 불안을 드러냈다. 이 날 55개를 던져 준결승에는 등판하지 못했고 결승전에서는 투수 5명이 투입되는 와중에도 등판하지 못하며[* 원래는 2일을 쉬어야 하기에 하루 뒤로 예정되었던 결승전에도 나올 수 없었으나 결승전이 순연되면서 등판이 가능한 상태였다.] 팀의 패배를 지켜봐야 했다. 대반전이 없는 이상 상위 라운드 지명을 받기는 힘들 듯. 하지만 좋은 하드웨어와 준수한 구속에서 가능성을 보인 것인지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KBO리그 2019년 신인드래프트]] 2차 3라운드에서 [[NC 다이노스]]의 지명을 받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NC의 지명 직전 [[SK 와이번스]]가 그의 쌍둥이 형인 [[최수호(야구선수)|최재성]]을 지명하면서 쌍둥이 형제가 같은 라운드에서 태어난 순서대로 나란히 지명을 받게 되었다. 지명 순서는 전체 26번과 27번. 양후승 스카우트 팀장은 [[https://www.sports-g.com/2018/09/16/2018-%EB%93%9C%EB%9E%98%ED%94%84%ED%8A%B8-qa%EB%A1%9C-%EB%B3%B4%EB%8A%94-%EC%8B%A0%EC%9D%B8%EC%A7%80%EB%AA%85-%EB%A6%AC%EB%B7%B0-%E2%91%A0%ED%8E%B8|원래 쌍둥이 둘을 모두 지명할 생각이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xs1VytdjdY)]}}}|| === [[NC 다이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시혁221018.jpg|width=100%]]}}}|| 퓨처스리그 2019시즌 4월 20일 [[롯데 자이언츠]] 전에서 첫 등판했고, 1⅓이닝 무피안타로 첫 승을 챙겼다. 이후 3경기에 더 등판했으나, 5월 10일 선발등판 이후로는 소식이 없는 상황이다. 2019년 11월 해외로 마무리 훈련을 떠나는 쌍둥이 형 [[최수호(야구선수)|최재성]]을 통해 근황이 전해졌는데, 수술 후 재활 중이라고 한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59&aid=0000000419|기사]] 최재성도 입단 이후 한동안 어깨 부상으로 재활군에 머물러 있었던 것을 보면 북일고 재학 당시 많은 이닝을 던진 후유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는 구단 자체 로스터 시스템 [[http://ncdinos.com/ncboard/newsview?seq=37127|다이노스 볼 매뉴얼]]에 의해 육성선수로 재계약을 했고 3월 9일에 입대했다. 형 최재성의 인터뷰 기사에서도 언급되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169517|#]] 현역복무를 하다 사회복무요원으로 전환해 마산지역 아동센터에서 복무했고[[http://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68006|#]] 2022년 2월 2일 소집해제 후 재활조에 합류했다.[[https://sports.v.daum.net/v/20220114184707219|#]] 2022년 1월 선수단 등번호 배번이 공개되면서 최시혁으로 개명한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시즌 동안 등판은 없다가 8월 하순 퓨처스리그 [[https://www.instagram.com/reel/ChoBL5-FYR9|우천취소 알림 영상]]에 오랜만에 얼굴을 비췄다. 퓨처스 시즌 최종전인 10월 6일 퓨처스 KT전에 등판하며 복귀전을 치렀으나 5피안타 1볼넷으로 부진하면서 아웃카운트를 하나도 못 잡고 마운드를 내려오며 아쉬움을 남겼다.[[https://gall.dcinside.com/ncdinos/6059671|#]] 2023 시즌에는 퓨처스에서 5월 두 차례 등판을 가진 뒤 재활군에서 오래 지내다 9월 4경기 구원등판했으나 성적이 좋지 않았다. 시즌 종료 후 교육리그에 등판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여담 == * [[최수호(야구선수)|최수호]]보다 최시혁이 1분 늦게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다. 쌍둥이 형제가 나란히 같은 팀의 투수를 맡고 있어서 [[LG 트윈스]]의 지명을 받으면 되겠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했다.[[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840995&memberNo=5567133&vType=VERTICAL|#]] 최시혁은 NC, 최수호는 SK의 지명을 받았다. * 2022년 쌍둥이 형 최재성이 최수호로 개명하면서 형제 모두 개명하는 흔치않은 사례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KIA 타이거즈]]에서 선수생활을 했던 [[고장혁|고영우]]는 고장혁으로 개명을 한 반면, 그의 동생인 [[고영표]](현 [[kt wiz]] 투수)는 개명을 하지 않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배명중학교 출신]][[분류:북일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NC 다이노스/현역]][[분류:개명한 인물]][[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