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문하시중)] ||<:> '''{{{#ffffff 최승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고려의 배향공신)] ---- ||<-3><:> '''{{{#white {{{+1 경주 최씨 가문 출신 배향공신}}}}}}''' || ||<-3><:> '''{{{#white 최승로 가문}}}''' || ||<:> '''{{{#white 문정공 최승로}}}''' ||<:> '''충의공 [[최숙]]''' ||<:> '''순공공 [[최제안]]''' || ||<-3><:> '''{{{#white 기타 가문}}}''' || ||<:> '''광빈공 [[최량(고려)|최량]]''' ||<:> '''절의공 [[최항(배향공신)|최항]]''' ||<:> || ---- [include(틀:고려사)] }}} || |||| '''{{{#white 고려국 문하시중[br]{{{+1 최승로}}}}}}''' || ||<:> '''{{{#white 시호}}}''' ||<(> '''문정공(文貞公)''' || ||<:> '''{{{#white 작위}}}''' ||<(> 청하후(淸河侯)[* 봉지인 청하(淸河)는 지금의 [[경남]] [[하동군]]이다.] || ||<:> '''{{{#white 향직 품계}}}''' ||<(> 대광(大匡)[* 덕종이 추증함. 2품 1등위.] || ||<:> '''{{{#white 본관}}}''' ||<(> 경주 최씨(慶州 崔氏) || ||<:> '''{{{#white 이름}}}''' ||<(> 승로(承老) || ||<:> '''{{{#white 아들}}}''' ||<(> [[최숙]](崔肅) || ||<:> '''{{{#white 아버지}}}''' ||<(> 최은함(崔殷含) || ||<:> '''{{{#white 생몰연도}}}''' ||<(> [[927년]] ~ [[989년]] [[5월]] (향년 62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초기의 [[문신(동음이의어)|문신]]. '''고려사에 기록된 문하시중 중 최초의 인물이다.''' [[시무 28조]]로 잘알려져 있다. == 생애 == 927년 [[신라]] 경애왕 치세에 [[경주시|서라벌]]에서 최은함(崔殷含)[* [[경주 최씨]] 대동보에서는 최치원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으나 [[역사서]] 등에서는 최치원과 관계가 분명하지 않다. 경주 최씨는 최은함의 아들 최승로와 최윤로로부터 분파되기 때문에 경주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다. <[[삼국유사]]>에서 그가 최치원의 아들이라면 최승로를 최치원을 닮은 손자라고 기술했을 것인데 삼국유사에는 그런 기록이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그가 아들인지 알 수 없다. 최승로 이후부터는 선계가 분명해진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라 [[골품]]은 [[6두품]]으로 [[최치원]]의 손자이고 [[최언위]]의 재종손[* 사촌 형제의 손자]이다. 고작 3개월 갓난아기일 때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이 서라벌을 침공해 [[경애왕]]을 죽이고 도시를 [[약탈]]하는 대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때 최승로를 아버지 최은함이 서라벌 동쪽에 있는 중생사(衆生寺)[* 중생사는 지금도 [[경상북도]] 경주시에 남아 있다.]라는 [[절(불교)|절]]에 숨겨서 위기를 모면했다고 한다. 935년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의 [[태조(고려)|태조 왕건]]에게 항복하면서 아버지와 함께 [[개성시|개경]]으로 상경했다. 12세 때 태조에게 불려갔는데 <[[논어]]>를 술술 읽어내 태조가 감탄했다고 하며 이 때 [[학생]]으로서 커리어를 시작해 고려 초기의 문신으로 활동했다. 제6대 [[성종(고려)|성종]] 때인 982년 [[시무 28조]]를 올렸는데 이를 통해 [[유교]] 지상주의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후 성종은 최승로를 총애하여 최승로가 "나이가 많고 건강이 나쁘다는 이유로 물러나고 싶다"고 여러 번을 청했지만 성종은 요청을 거절하고 "계속 일하라"고 몰아붙였고 결국 989년 5월에 사망했다. <[[보한집]]> 권상에는 최승로의 문집 '금중잡저시고(禁中雜著詩藁)'가 일부 발췌되어 기록되어 있다. 금중잡저시고는 최소 1254년 <보한집>이 완성될 때까지는 전해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중잡저시고에 기록된 시는 '장생전백엽두견화(長生殿後百葉杜鵑花)', '사선장입당문자겸분내고주과(謝宣獎入唐文字兼頒內庫酒果)', '백제진백악찬(百濟進白鵲讚)'과 '동지신죽(東池新竹)'이다. == 대중매체에서 == * 2002년작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는 배우 [[이지형(1969)|이지형]]이 연기했다. * 2009년작 [[KBS]] 드라마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에서는 시무 28조를 올리는 장면에서 [[단역]]으로 출연했다. [각주] [[분류:927년 출생]][[분류:989년 사망]][[분류:고려의 유학자]][[분류:고려의 후작]][[분류:고려의 배향공신]][[분류:경주 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