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최성훈(프로게이머))] [목차] == 개인리그 성적 == === [[HOT6 GSL Season 1]] === 승강전에서 2승2패의 성적으로, 코드 A 강등에 처한다. 2월 14일 코드 A 1라운드에서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선수에게 1:2로 패배하며 예선장으로 내려가게 된다. === ASUS ROG Winter 2012 === 2월 24일 32강 조별 풀리그 H조에서 조2위로 16강에 진출한다. 2월 25일 16강에서 [[윤영서]] 선수를 2:1로, 8강에서 [[송현덕]] 선수를 2:0으로, 4강에서 [[이인수(프로게이머)|이인수]] 선수를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한다. 결승전에서 [[Stephano]] 선수를 상대로 명경기의 향연을 보여주며 4:1로 승리하며 해외대회 첫 우승컵을 차지한다. === [[MLG]] Winter Ch. === 3월 23일 험난한 오픈 브라켓을 뚫어내며 챔피언쉽 루저스 브라켓 1라운드에 간신히 진출한다. 3월 24일 챔피언쉽 루저스 브라켓 1라운드부터 [[Idra]], [[Ostojiy]], [[KawaiiRice]], [[김학수]] 선수들을 잡아내나 5라운드에서 결국 [[장민철]] 선수에게 1:2로 패배하며 탈락한다. === [[IPL 4]] === 초청시드로 참가해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장민철]],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선수들과 함께 C조에 속하게 된다. 조에서 3승1패의 성적으로 조1위 챔피언쉽 브라켓 진출을 한다. 챔피언쉽 브라켓 1라운드에서 [[한이석]] 선수에게 1:2로 패배한다. 이후 패자조 1라운드에서 [[문성원]] 선수에게도 1:2로 패배하며 탈락하고 만다. === DreamHack Open: Stockholm === 4월 21일 96강, 64강 조별풀리그를 모두 전승으로 뚫어내고 1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4월 22일 16강의 [[Protosser]], 8강의 [[SjoW]], 4강의 [[Ret]] 선수들을 잡아내고 결승전에 진출한다. 결승에서 만난 [[마르커스 이클로프]] 선수에게 1:3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고 만다. === [[HOT6 GSL Season 2]] === 해외대회에서의 성적이 인정받으면서, 스폰서 시드로 코드 S로 복귀에 성공. 4월 11일 코드 S 32강 H조 [[원이삭]], [[김학수]] 선수들에게 연패하며 바로 코드 A 1라운드로 떨어진다. 5월 1일 코드 A 1라운드에서 [[배상환]] 선수를 상대로 2:1로 승리한다. 5월 9일 코드 A 2라운드에서 [[김동주(프로게이머)|김동주]] 선수에게 1:2로 패배하며 다음시즌 승강전을 기다리게 됐다. === [[MLG]] Spring Arena 2 === 5월 18일 승자조 1라운드부터 [[Bly]], [[박수호]], [[강동현]] 선수들을 잡아내나, 승자조 결승에서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1:2로 패배한다. 이후 패자조 결승에서도 [[장민철]] 선수에게 1:2로 패배하며 탈락하고 만다. === [[MLG]] Spring Ch. === 6월 8일 조별 풀리그 C조에서 2승3패 조3위로 챔피언쉽 루저스 브라켓 5라운드로 내려간다. 5라운드의 [[한이석]], 6라운드의 [[김학수]] 선수들을 잡아내고 챔피언쉽 브라켓에 진출한다. 6월 10일 챔피언쉽 브라켓 패자조 1라운드에서 [[SaSe]] 선수에게 1:2로 패배하며 탈락한다.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 5월 23일 승강전에서 2승3패로 코드 A로 돌아감이 결정된다. 7월 10일 코드 A 1라운드에서 [[박준성]] 선수를 상대로 2:0으로 승리한다. 7월 18일 코드 A 2라운드에서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선수를 상대로 2:1로 승리한다. 7월 25일 코드 A 3라운드에서 당시 팀동료이던 [[최경민]] 선수를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코드 S 직행에 성공한다. === [[2012 HOT6 GSL Season 4]] === 9월 13일 [[고병재]] 선수만 두번 잡고[* 승자전에서 박수호에게 패배] 16강에 진출한다. 9월 19일 16강에서 [[박수호]]를 잡으며 복수에 성공하나, [[정윤종]], [[윤영서]] 선수들에게 패배하며 코드에이로 떨어진다. 10월 17일 코드 A 3라운드에서 하재상 선수를 이기고 코드 S 잔류에 성공한다. === [[MLG]] Fall Ch. === 11월 2일 그룹 A 첫라운드의 [[송현덕]] 선수에게 승리하나, 다음 라운드 상대인 [[김학수]] 선수와 패자조의 [[정윤종]] 선수에게 연달아 패배하며 챔피언쉽 루저스 브라켓 2라운드로 떨어지고 만다. 11월 4일 챔피언쉽 루저스 브라켓 2라운드부터 [[Goswser]], [[강초원(프로게이머)|강초원]], [[BabyKnight]],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들을 잡아내나 마지막 6라운드의 [[김민혁(프로게이머)|김민혁]] 선수에게 패배하며 탈락하고 만다. === [[2012 HOT6 GSL Season 5]] === 10월 29일 코드 S 32강 A조에서 [[원이삭]] 선수에게 패배하나, [[윤영서]], [[김경덕]] 선수를 이기고 16강에 진출한다. 11월 14일 16강에서 [[원이삭]] 선수를 이기나, [[이신형]], [[권태훈]] 선수에게 연패하며 코드에이로 떨어진다. 12월 13일 코드 A 3라운드에서 [[정우용]] 선수를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다음시즌 코드 S를 확보한다. === [[NASL]] Season 4 === Division 1의 9명 선수중에서 8전8승 조1위로 16강 메인 이벤트 브라켓에 진출한다. 16강은 [[요한 루세시]] 선수에 의한 부전승, 8강에서 [[조명환]] 선수를 잡아내나 4강에서 [[송현덕]] 선수에게 2:4로 패배한다. 3/4위 결정전에서 [[SortOf]] 선수를 상대로 4:0 셧아웃을 시키며 대회 3위로 마무리 하게 된다. === [[IPL 5]] === 11월 29일 승자조 4라운드의 [[최병현(1992)|최병현]], 승자조 5라운드의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선수들을 잡아내며 파이널 브라켓에 진출한다. 파이널 브라켓 6강의 [[권태훈]], 다음 라운드의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선수들을 잡아내나 패자조 결승의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2:3으로 아쉽게 패배하며 탈락한다. == 팀리그 성적 == === [[2012 GSTL Season 1]] === 2월 4일 B조 예선전 2경기 [[LG-IM]]의 [[정종현]] 선수에게 패배한다. 2월 11일 B조 패자부활전 [[NS호서]]의 [[박용환]] 선수에게 패배한다. === [[2012 HOT6 GSTL Season 2]] === 6월 5일 B조 예선전 3경기 [[LG-IM]]의 [[황강호]] 선수에게 패배한다. 6월 23일 B조 조별 리그 2경기 [[FXO.KR]]의 [[남기웅]] 선수에게 패배한다. 7월 21일 플레이오프 4강 2경기 [[SlayerS]]의 [[최민수(프로게이머)|최민수]] 선수에게 승리하나 [[최종환(프로게이머)|최종환]] 선수에게 패배한다. === [[2012 HOT6 GSTL Season 3]] === 10월 5일 8강 [[Prime]]의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선수에게 승리하나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선수에게 패배한다. 11월 23일 4강 1경기 MVP의 [[김경덕]] 선수에게 승리하나 [[탁현승]] 선수에게 패배한다.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