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그룹 경영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1940년 출생]][[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부산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초계 최씨]][[분류:2022년 사망]]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395 0%, #034ea2 20%, #034ea2 80%, #002395);" [[삼성전기|{{{#ffffff '''삼성전기'''}}}]] ''' 전무이사 · 동양전자공업 대표 이사[br]{{{+1 최병수}}}[br] 崔炳秀 | Choi Byeongs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oibyeug.png|width=100%]]}}} || || '''출생''' ||[[1940년]] [[1월 26일]] || || '''사망''' ||[[2022년]] [[5월 31일]] (향년 82세)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본관''' ||[[초계 최씨]] || || '''직업''' ||[[기업인]] || || '''학력''' ||[[부산공업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졸업 || || '''경력''' ||[[삼성전기]] [[이사]] [[삼성전기]] [[전무이사]] 동양전자공업 대표이사 리메텍 경영 고문 || || '''가족 관계''' ||3남 중 [[장남]], 슬하 1남 2녀 || || '''상훈''' ||철탑산업훈장 생산성부문 최우수법인상 || [목차] == 개요 == 최병수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삼성]]의 말단 [[사원]]으로 시작해 [[삼성]]의 [[전무이사]]까지 올라온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는 또한 평생을 전기, 전자 쪽에서 근무해온 '연구통'이기도 하다. == 생애 == [[1940년]] 1월 26일 출생 후 [[부산]]으로 올라와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고졸 신분으로 [[제일제당]]에 입사하였다. 이후 한국비료에서 근무하다가 그 유명한 [[사카린 밀수 사건]]으로 인해 한국비료가 국유화되면서 [[삼성전기]]로 이동하여[* 당시에는 삼성이 현재만큼 큰 규모의 회사가 아니였기 때문에 제일제당과 한국비료, 그리고 삼성전기는 법적으로만 다른 회사였지, 사실상 같은 회사 내 다른 부서 분위기였다고 한다.] 말단 직원에서 과장까지 승진하는데는 14년이 걸렸다. 하지만 그 이후 능력을 인정받아 고속승진을 하게 되어 83년에는 이사보, 85년에는 이사, 90년에는 고졸이라는 핸디캡을 이기고 [[상무이사]]까지 올라가게 되었다. 결국 그는 [[1995년]]에 삼성전기에서 [[부사장]] 다음으로 높은 자리인 [[전무이사]]로 승진하게 되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1995/12/08/1995120870361.html|#]] 고졸 출신이 전무이사까지 올라간 것은 당시 삼성 그룹 역사상 처음이었다.[* 2016년 기준 삼성 그룹의 임원은 1000명이 넘어가지만 고졸 출신은 1명만 있을 정도로 고졸 임원은 희귀한 사례이다.[[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17/2016111701835.html|#]]]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editNo=30&printCount=1&publishDate=1995-12-15&officeId=00032&pageNo=8&printNo=15625&publishType=00010&articleId=1995121500329108001|#]] 또한 회사를 다니던 중 [[동아대학교]]에서 학업을 병행하여 학사 학위를 얻게 되었다. 이후 당시 [[삼성]]의 3대 계열사였던 동양전자공업 대표 이사로 취임했으며, 리메텍의 경영 고문직도 맡았다. 2022년 5월 31일에 향년 82세로 별세하였다. 장례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러졌다. == 여담 == [[삼성전기]] 입사후 만학으로 동아대를 졸업하는 등 한번 일을 시작하면 반드시 끝을 내는 성실한 자세를 인정받았다는 후문이 있다.[[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1995120900331|#]] 젊었을 때는 1년에 360일을 일할 정도로 유명한 일벌레였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09&officeId=00023&pageNo=10&printNo=23223&publishType=00010&articleId=1995120900239110007|#]] 1985년에는 정부로부터 철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이는 국내 최초로 [[산업재해]] 없이 총 3천만 시간 동안 [[삼성전기]] 공장을 운영하여 받은 상이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5-07-05&officeId=00009&pageNo=7&printNo=5950&publishType=00020&articleId=1985070500099207026|#]] [[삼성전기]] 전무이사 취임 이후 매출을 1년만에 8배인 8천만달러로 증가시키고, 생산성도 33배 높여 1995년에는 [[태국]] 정부로부터 생산성부문 최우수법인상을 수상했다. == 앨범 == [[파일:choibyeug.png|width=70%]] 1985년 7월 5일 [[매일경제]] 기사에서의 모습. 삼성전자부품 공장장으로서 3천만 시간 동안 무재해 공장을 운영하여 철탑산업 훈장을 받은 기사에서의 사진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5-07-05&officeId=00009&pageNo=7&printNo=5950&publishType=00020&articleId=1985070500099207026|#]] [[파일:Screechoinshot_1.png|width=70%]] 1985년 3월 20일 [[매일경제]] 기사에서의 모습. 가장 우측의 인물이다. 일본의 JEMCO사의 한국 사무소 개설 리셉션 당시 삼성전자부품 이사의 자격으로 참석한 모습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5032000099207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5-03-20&officeId=00009&pageNo=7&printNo=5859&publishType=00020|#]] [[파일:Screenchoowshot_2.png|width=70%]] 1995년 12월 9일 [[조선일보]] 기사에서의 모습. 고졸 출신의 성공신화를 조명하는 기사의 사진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0900239110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09&officeId=00023&pageNo=10&printNo=23223&publishType=0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