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코미디언)] [include(틀:SBS 코미디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 '''최병서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MBC 방송연예대상|{{{#334555,#A8BBCC 방송대상}}}]] [[틀:MBC 방송대상 코미디부문-코미디대상 대상 수상자|{{{#334555,#A8BBCC 코미디부문 최우수상}}}]]'''}}}[* 1991년부터 1994년까지 '''MBC 방송대상 (코미디 부문)''', 1995년부터 2000년까지 '''MBC 코미디대상''', 2001년부터 '''[[MBC 방송연예대상]]'''으로 바뀌었다.] || || [[주병진]][br](1990년) || {{{+1 →}}} || '''최병서'''[br][[이경규]][br]'''(1991년)''' || {{{+1 →}}} || [[이경규]][br](1992년)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TV부문 코미디연기상'''}}} || || '''제24회[br]([[1988년]])''' || {{{+1 →}}} || '''제25회[br]([[1989년]])''' || {{{+1 →}}} || '''제26회[br]([[1990년]])''' || || --[[서세원]]--[br]([[문화방송|MBC]])[br][[김정식(코미디언)|김정식]][br]([[한국방송|KBS]])[br][[배연정]][br]([[문화방송|MBC]]) || {{{+1 →}}} || '''{{{#000 [[김한국]][br]([[쇼 비디오 자키|{{{#000 쇼 비디오 자키}}}]])[br]{{{#000 최병서[br]([[일밤|{{{#000 일요일 밤의 대행진}}}]])[br]{{{#000 [[김미화]][br]([[쇼 비디오 자키|{{{#000 쇼 비디오 자키}}}]])}}}}}}}}}''' || {{{+1 →}}} || [[동작그만]] 팀 || ||<-5> || ---- }}} || ||<-2> '''{{{+1 최병서}}}[br]崔炳西 | Choi Byung Se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코미디언 최병서.jpg|width=100%]]}}} || ||<|2> '''출생''' ||[[1958년]] [[1월 18일]] ([age(1958-01-18)]세)|| ||[[충청남도]] [[대전시]] [[대흥동(대전)|대흥동]][br](現 [[대전광역시]] [[중구(대전광역시)|중구]] [[대흥동(대전)|대흥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신체''' ||170cm, 50kg|| || '''가족''' ||배우자, 슬하 1남 1녀|| || '''학력''' ||대흥초등학교 [br][[충남중학교]][br][[대전상업고등학교]][* 現 [[우송고등학교]].][br][[숭실대학교]]{{{-2 (경영학과 / [[학사]])}}}|| || '''데뷔''' ||[[1982년]] 제2회 [[MBC]] 개그콘테스트|| || '''종교''' ||[[개신교]]||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출연작 == === 방송 === * 청춘만만세 * [[일요일 밤의 대행진]] - 따따부따 * [[청춘행진곡]] - 병팔이랑 갑경이랑/병팔이랑 민지랑 * [[일요일 일요일 밤에]] - 일요칼럼, 최병서의 따따부따 당시 성대모사했던 인물이 [[김동길]], [[정주영]], [[이순재]],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 저명인사 전반이었다. * [[토요대행진|전원집합 토요대행진]] * [[코미디 전망대]] * [[웃으며 삽시다]] * [[가요무대]] * 동길 대 동길 * [[뽀뽀뽀]] * 코미디 펀치펀치 * [[쇼 행운열차]] * 코미디 파일 *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복면가왕 패러디를 한 김장훈의 무리텔에 출연했는데 훗날 정말로 복면가왕에 출연한다.]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영화 === * [[화이팅맨]] == 여담 == * 1980년대 신인 시절, CF에서 이호헌을 비롯한 스포츠 해설가 성대모사로 주목을 받았고, 이어서 역대 대통령 성대모사를 하면서 대박을 쳤다. 삼김 이후에는 [[김동길]] [[성대모사]]를 하며 "이게 뭡니까~"라는 유행어로 인기를 끌었다. 훗날 김동길은 자신이 국회의원에 출마했을 때 지나가는 아이들도 자신을 알아본다며, 감사를 전하기도. * [[스포츠서울]]에 기고하던 연예인들 인생이야기에서 최병서는 군 복무 당시. 포상휴가 많이 갔다는 글을 썼다. 군복무 당시, [[멧돼지]]를 쏴 잡기도 했는데 정작 자신은 고기 한점 구경도 못하고 상관들이나 선임병이 다 먹어치웠다고. 나중에 이거 알고 투덜거리며 구시렁거렸는데 이걸 군간부가 듣고 포상휴가 보내줬다든지 온갖 말발이 좋아서 사람웃기는 재주 있다고 군대에서 여러 행사 사회도 맡아 간부들을 웃기게 해서 포상휴가를 자주 가서 군대에서 기억나는 건 몇달이나 포상휴가를 다녀온 거라고 할 정도. * [[문재인]]을 제외한 역대 한국 대통령 전원의 성대모사에 성공했다. * [[이원승]], [[황기순]] 과 함께 1982년 [[MBC]] 2기 콘테스트 [[개그맨]]이다. * 남의 목소리 흉내를 너무 잘 내어서 정작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모른다는 농담을 종종 했다. 기자가 인터뷰를 하러 가면, 그 기자의 목소리를 흉내내곤 했다. * 인기가 절정을 찍던 전성기 시절에는 나이트클럽 등 야간업소만 하루에 8곳을 뛰며 공연을 했고 몇개월치, 일년치 이런식으로 한 번에 거액을 선불을 받아 차 트렁크에 돈을 푸대자루로 실을 정도였다고 한다. * 후배였던 개그맨 [[이경실]]에게 호감이 있었으나, 적극적으로 대쉬하지는 못 했던 게 아쉽다고 * 영화배우 [[김진아(영화배우)|김진아]]의 이종사촌 제부이다. * 배우 [[이덕화]]의 조카 사위다. 이덕화가 [[무릎팍도사]]에서 이야기한 바에 따르면 (최병서가) 이덕화에게 "형은 진짜 대단한 인간이야~"라고 비꼬기에 "이 짜식이. 또 왜?"라고 이덕화가 되묻자 "어떻게 머리 빠진걸로 돈을 벌어처먹냐" 라며 감탄 했다고 한다. 훗날 이덕화가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 출연했을 때도 최병서에게서 전두환의 목소리톤을 배웠다고 한다. * 우연히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당선자 신분으로 [[MBC]]를 방문했던 [[노태우]]를 만나 성대모사를 선보이자, 노태우가 감탄하여 대통령을 희화화 대상으로 삼아도 좋다는 약속을 했다고 한다. 다만, 이후 방송에서 [[정치인]] 풍자 코미디를 할 때에도 [[안기부]] 등으로부터 약간의 압력을 받았다고도 한다. * [[라디오 스타(영화)|라디오 스타]] 중간에 [[텔레비전]]에서 [[이덕화]]가 나오는 장면이 있다. [[1988년]], [[MBC 가요대제전]]의 화면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다만, 타이틀 화면에는 '''[[MBC]]'''를 '''MBS'''로 바꿔서 나타냈다.], 가수왕으로 최곤을 발표하는 음성만 다시 더빙했다. 그런데 여기서 나오는 목소리는 사실 이덕화가 아니라 이덕화 성대모사를 한 최병서였다. 이덕화가 [[드라마]] 촬영중 낙마로 부상을 당해 입원했기 때문이다. 당시 [[대조영(드라마)|대조영]]이라는 드라마에서 [[설인귀(대조영)|설인귀]] 역할을 맡고 있었다가 낙마를 당해 자그마치 전치 8주가 나왔다고.[[http://news.kmib.co.kr/article/viewDetail.asp?newsClusterNo=01100201.20060806100000624|#]] 이래서 라스 제작진이 최병서를 데려다가 녹음을 시킨건데, [[본인]]이 밝히기 전까지 아무도 몰랐다고[* 영화 라디오스타 엔딩크레딧에 자문 역으로 기재되긴 했다. 아마도 다른 연기자들에게 자문을 이래저래 해준 모양이다.] * [[이주일]], [[이덕화]], [[조용필]] 등과는 분야, 나이 등을 초월한 절친이었다. * 그의 뒤를 이은 성대모사꾼으로는 [[김학도]], [[배칠수]], [[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 [[안윤상]]이 있다. 여기에는 없지만 [[강석(코미디언)|강석]]도 [[싱글벙글쇼]]를 진행하면서 만만치않게 성대모사를 할 줄 안다. 강석은 주로 [[박정희]], [[전두환]], [[김영삼]], [[김대중]] 등의 전직 대통령과 [[김종필]] 전 국무총리, 연예인으로는 [[이순재]], [[이주일]], 그 외 [[정주영]] 회장과 [[신문선]]의 성대모사를 할 줄 안다. * 뽀뽀뽀를 [[이용식]]과 함께 하던 [[김병조]]가 갑자기 하차하게 되면서 같은 병자 돌림이라고 잠시 뽀병이 역할을 하기도 했다. * [[현대그룹]] 명예회장 [[정주영]]은 최병서를 만나면 용돈 조로 두툼한 돈봉투를 건냈다고 한다.[* 사석으로 처음 만난 자리에서, 비서를 시켜 돈가방을 먼저 여는 것을 보고 정회장의 비범함에 놀랐다고. 1980년대 후반엔 큰돈이라 할 수 있는 500만원을 봉투에 담아서 줬다고 한다. "나를 흉내내는건 좋은데 내가 너무 늙은 사람으로 나오니까 언짢다. 검버섯좀 없애고 주름도 펴주고 최대한 젊게 해달라"는 등 최병서에게 이것저것 조언을 해줬다고 한다.] 아직까지 한국의 기성 세대들 가운데는 대중 문화에 대한 편견과 편협한 시선과 의식에 젖어 있는 경우가 많고, 특히 재벌가는 보수적인 분위기가 더 하면 더 했지, 덜 하진 않다는 점을 생각하면 자신을 흉내내면서 '''광대놀음'''을 하는 것을 좋게 보아 준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실제로 정몽준 때문에 멀어보여져서 그렇지 정주영은 생전에 [[막국수]], [[메밀국수]] 같은 음식을 좋아했다고 한다.[* 애초에 정주영 본인이 [[강원도(북한)|강원도]] [[통천군]] 출신이다.] 오죽하면, 모 메밀국수 집은 정주영이 자주 찾아와서 사진을 남겼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프랜차이즈화 시킨 곳도 있다. 애당초 현대가 사람들의 전통이 재벌의 길을 못 걷게 하고, 성인 때까지는 일절 지원 하나 안 해줬다고 한다. 삼성의 [[이재용]]도 대학교 다닐 시절에는 친구 자취방으로 라면을 끓여간 적도 있었다.] * 친분이 있던 [[이주일]]과 함께 [[전두환]]의 연희동 집에 방문했을 때의 에피소드가 있다. 최병서와 이주일, 전두환이 함께 술자리를 같이 하는데 우연히 술상에 오른 반찬 중 최병서 앞에는 [[묵(식품)|묵]]이 올라와 있었고, 최병서가 좋아하는 고기 반찬은 반대편 전두환 쪽에 있었다. 그런데 손을 뻗어서 고기를 집어오기엔 자리가 자리인지라 눈치가 보였는지 최병서는 그냥 묵묵히 묵만 계속 먹었다고 한다. 그 모습을 유심히 보던 전두환은 주위 사람에게 "미스터 최는 묵을 참 좋아하나 봐요. [[이순자|여보]], 묵 좀 더 가져와!"라고 말했다고. 이 방문 이야기 자체도 웃기는데, '''심지어 사전에 초대받고 방문한 게 아니었다.'''. 믿었던 지인에게 거액의 보증 사기를 당한 [[이주일]]이 매일 같이 술을 마시며 속앓이를 하던 중, 최병서에게 갑자기 [[전두환]] 전대통령의 자택에 가자며 앞장서라고 했다고 한다. 즉 술김에 말 그대로 오밤중에 연락도 없이 전두환 집에 찾아간 것이다. 하지만 전두환은 불쾌해하기는 커녕 오히려 매우 반가워하며 술상도 푸짐하게 차려줬다고 한다. 하도 오랫동안 칩거해서 그런지 사람이 그리웠던 모양. * [[김종필]]은 최병서를 만났을 때, 당신이 [[미국]]에서 태어났더라면 유명세는 물론이고 엄청나게 돈을 벌었을텐데 어쩌다 한국에서 태어나서 돈도 많이 못 벌고 요모양 요꼴로 산다며 우스개를 섞어서 최병서를 격찬해주었다고 한다.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중구(대전)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MBC 연예대상 수상자]][[분류:숭실대학교 출신]][[분류:우송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