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드라마 등장인물, rd1=최민희(내일도 칸타빌레), other2=1952년생 배우, rd2=최민희(1952))] [include(틀:국회 상임위 위원장)] ||<#152484>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남양주시 갑|{{{#cfa547 남양주시 갑}}}]])'''}}} || || 제20-21대[br][[조응천]] || → || '''제22대[br]최민희''' || → || ''현직''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비례대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경기도)] [include(틀:시민통합당 사무총장)] [include(틀:역대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 || ||<-2> '''대한민국 제19·22대 국회의원[br]{{{+1 최민희}}}[br]崔敏姬 | Choi Min-hee''' || ||<-2> [[파일:최민희22대국회.png|width=100%]] || ||<|2> '''출생''' ||[[1960년]] [[12월 3일]] ([age(1960-12-03)]세) || ||[[서울특별시]] || || '''거주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남양주시 갑]] 지역위원장[br][[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상임운영위원 [br]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 '''링크''' ||[[https://www.facebook.com/minhe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minhee.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inhee_choi_,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AT0PG3ebS-h6p8VHOC4O3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choiminhee867|[[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배우자]] 정수웅, [[아들]] 정용혁[* 1988년생([age(1988-01-01)]세). 최민희가 민언련 임원 활동을 하던 90년대 후반 국민주방송(RTV) 개국에 앞장서기 시작할 때, 서초구 방배초등학교의 학생이던 아들 정용혁에게 기금 납부를 하게 하여, 모자 공동 발기인이 되어 신문에 나왔었다.], [[딸]] 정윤서[* 최민희가 40살이 되던 2000년에 낳은 늦둥이([age(2000-01-01)]세)로 모친인 최민희와 모녀갈등을 화해하는 내용의 EBS 방송에 출연한 적이 있다. 모친이 공인이라 어릴 때 그 유명세로 피해를 받았는지,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해 학교생활이 힘들었던 적이 있어서 [[유학]]을 갔다 왔었다고 한다. 어릴 때 모친에 대한 원망이 심했었다고. 고등학생 때는 남양주신문사가 주관한 남양주 학생 정치발표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남양주신문에 나온 적이 있다.] || || '''학력''' ||서울강남국민학교 {{{-2 ([[졸업]])}}}[br][[상도여자중학교]] {{{-2 (졸업)}}}[br][[혜화여자고등학교(서울)|혜화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이화여자대학교/학부/인문과학대학|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2 ([[사학]] 79 / [[학사]])}}} ||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바울라)}}}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경기도|경기]] [[남양주시 갑]]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9대 국회의원|19]], [[제22대 국회의원|22]]''' || || '''소속 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 || '''경력''' ||월간 <말> 기자[br][[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총장[br]민주언론시민연합 상임대표[br][[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방송위원회 부위원장]] {{{-2 (제17대 / [[참여정부]])}}}[br][[성신여자대학교]] 전임강사[br][[서울여자대학교]] 겸임교수[br][[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상임운영위원[br][[시민통합당]] [[사무총장]][br][[제19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19번 / [[민주통합당]])}}}[br][[민주통합당]] [[최고위원]][br][[새정치민주연합]]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남양주시 병]] 지역위원장[br]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국민주권 분과 부위원장 {{{-2 ([[문재인 정부]])}}}[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미디어특보단장[br][[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남양주시장]] 후보[br][[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장[br][[제22대 국회의원]] {{{-2 ([[남양주시 갑|경기 남양주시 갑]] / [[더불어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남양주시장]] 후보였지만 낙선하였고,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 생애 == === 정계 입문 이전 === 1960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혜화여자고등학교(서울)|혜화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를 졸업하였고 1985년에 월간 <말>의 1호 기자가 된다. 해직기자들이 주축이 된 민주언론운동협의회에 참여해서 이후 명칭을 변경한 [[민주언론시민연합]]의 사무총장과 상임대표를 지냈다. 2000년에 자연 치유 육아를 소개하고 공유하고 전파하는 자연건강 육아단체 ''''수수팥떡아이사랑모임(현 수수팥떡가족사랑연대)''''[* 당시 발간한 서적들은 과학적으로 전혀 입증되지 않은 자연 치유 육아를 소개해서 여전히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2017년경 크게 논란이 되었던 ''''[[안아키]]'''' 1세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논란 문서 참고.]을 창설해 15년간 대표를 맡았고, 2006년 7월 14일부터 2008년 2월 29일 방송위원회가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 개편되어 사라질 때까지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1년 당시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의 합당을 위한 9일짜리 정당 [[시민통합당]]의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총장, 시민통합당의 초대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 19대 국회의원 === 19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19번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를 역임하였다. [[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에 참여해 2월 25일 3시 41분부터 9시 02분까지 5시간 21분 동안 발언하였다. 당시 준비한 자료가 A4용지 박스에 하나 가득 찰 정도로 많은 분량이었는데, 발언을 마치고 퇴장할 때는 할머니들이 쓰는 장보기용 손수레에 실어서 끌고 나갈 정도였다. === 20대 총선 낙선 이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남양주시 병]]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주광덕]] 의원에게 패하여 2위로 낙선하였다. 20대 총선 과정에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선거법 위반으로 2018년에 벌금 150만원 선고 원심이 확정되어 2023년까지 5년간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박탈된 상태였으나, 2021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대사면에서 복권됐다. [[https://news.v.daum.net/v/20211224102411874|#]] 이후 [[대한민국대전환 선대위]] 미디어특보단장으로 합류했다. 복권이 되어 8회 지선에서 [[남양주시장]]에 출마했다. 최민희 본인이 국회의원 출신으로 인지도가 어느정도 있으며[* 2021년 12월 현재 [[김용민(1976)|김용민]]이 남양주 병을 맡고 있는데다가 남양주 복귀각을 재는 [[최재성(정치인)|최재성]]이 남양주 병으로 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장 국회 복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친이재명계라 [[조광한]]의 논란으로 등을 돌린 친이재명파 지지자들을 수용하기 용이하단 이점이 있다. 게다가 인지도와 체급 자체도 시의원인 신민철, 도의원 [[문경희]]보다는 훨씬 높은 편이고, [[주광덕]]이나 [[최재성(정치인)|최재성]] 같이 시장으로 나오기에는 오버스펙도 아니다. 다만 토박이들이 외지 출신 정치인들에 피로감을 느끼고 토박이 후보 또는 지역 현안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것이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사람들을 원하는 점[* 이 때문에 최재성이나 주광덕같은 전직 국회의원들이 차기 시장후보감으로 거론되어오기도 했으며, 과거부터 지방선거마다 교통/토목 분야에 해박하거나 남양주시에서 행정 경험이 있는 관료 출신이 예비후보로 등록하는 일도 흔해왔다.],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인프라 개선 속도 등으로 인해 남양주시 내 민주당 비토정서가 강해지고 있는 점, 이재명 집값 발언 옹호 등 최민희 본인의 여러가지 실언 등이 문제로 꼽힌다. 지역 언론인 '남양주투데이'에 따르면 최민희가 남양주에 이사한 때는 2015년 9월경으로, 19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재직 당시 남양주를 차기 본인의 정치적 기반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https://www.nyj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7192|'남양주시로 이사해 온 새정치민주연합의 국회의원 최민희의원(비례대표)이 시민들과의 소통을 이유로...']]] 그러나 최근 남양주를 기반으로 정치활동을 하는 다른 사람들처럼 외지인임에도 불구하고 조광한이 선거법 위반 및 자격정지로 나가 떨어지고, 남양주시장 후보가 여야 모두 인지도에서 전반적으로 변변치 못한지라 승산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월, [[이재명 캠프]] 미디어특보단장으로 임명되었다.[[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221|#]] 그러나 2022년 2월 25일, '''"구한말 무능부패한 왕과 조정이 일제침략을 못막았듯 '''준비안된 우크라이나대통령''' 때문에 우크라이나 국민이 희생되고 있다.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낀다. 준비된 대통령, DJ 계승자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의 책임은 젤렌스키 대통령에 있다고 강조한 것도 모자라 젤렌스키와 대조되는 대상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이름을 무리하게 올리는 등 잦은 논란을 던져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비판이 일었다.[[https://www.facebook.com/motheryyy/posts/4832853550167305|#]] [[파일:Picsart_22-05-04_20-56-14-553.jpg]] === 남양주시장 낙선 이후 === 2022년 3월 28일에는 남양주시장 출마를 선언하였다. [[주광덕]] 전 의원도 출마를 선언한 만큼, 둘의 리턴매치가 유력하다. 2022년 5월 2일, 경선에서 승리하여, 2016년 [[20대 총선]] 이후로 6년 만에 주광덕 후보와 1:1 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그러나 시장 선거에서 결국 주광덕에게 패했다. 두 번의 여론조사에서는 그보다도 더 큰 격차로 지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는 [[조광한]] 현 시장이 시정을 엉망진창으로 한 것도 한 몫을 했다. 원래 1990년대까지 보수 우위였던 것이 2000년대 이후로는 민주당 지지층이 많아져서 지방선거에선 보수정당에 표를 더 주는 경향이 있었어도 총선에서는 대체로 민주당계 정당에서의 승리가 훨씬 더 많아 더민주의 신규 텃밭으로 떠오르는 지역으로 입에 오르내리는게 보통이었다. 대선에서도 이재명이 크게 앞섰다가 위의 민주당쪽 논란거리에 덧붙여 정권교체를 당하기까지 해서 민주당 지지 기세가 한풀 꺾였는데, 그럼에도 같은 날 [[경기도지사]]는 [[김동연]]의 손을 약간이나마 더 들어주었다. 심지어 [[경기도의원]]은 7명 중 국민의힘 2명 vs '''더불어민주당 5명'''이라는 결과가 나와서 '''여전히 보수정당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곳이 남양주시라는 게 증명되었다.''' 대신 [[2024년]] [[22대 총선]]에서 나이를 고려하면 충분히 출마할 수 있다. 2021년 7월부터 2022년 3월까지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상근부회장직을 지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산연 상근부회장은 연봉 약1억 7,50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78511|#]] 한편 이를 두고,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은 “첫 번째 한국정보산업연합회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등 통신사 또는 ICT 기업을 대변하여 회원사들의 사업과 관련된 요구를 정부에 건의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ICT 통신사의 연합체”라며 “실질적으로 회원사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봐야 할 것이라고 해석이 됐다”고 라며, 최민희 전 의원의 방송통신위원 지명의 결격사유로 지적한 바 있다. 또한 박 의원은 또 “최 후보는 거의 3년 가까이 상근 부회장을 역임하면서 총 4억 8400만원 이상 보수를 받았기 때문에 특혜를 누렸다. 거의 5억 이상 돈을 받고 가만히 앉아서 일했겠느냐?”라며, “ICT 통신사 등의 이권 대변자이자 가짜 뉴스, 편협한 시각, 불법 혐의 등으로 사회 물의를 일으킨 최민희 전 의원을 방송·통신 전반을 관리 감독해야 할 방통위원으로 절대 인정할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2022년 9월 23일, [[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차기 방송통신위원회 야당 추천 상임위원으로 내정되었다.[[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124|#]] 하지만 현재 임기가 만료되는 [[안형환]] [[방통위 부위원장]]은 당시 제1야당이었던 [[미래통합당]]의 추천 인사였기 때문에 미래통합당의 후신인 현 여당 [[국민의힘]] 측에서 안형환 부위원장의 후임을 자신들이 추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는 무시되었고, [[2023년]] [[3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여당 의원들이 퇴장한 상태에서 최 후보자에 대한 선임안이 가결되었다. 이에 따라 내년에 있을 22대 총선에는 자연스레 불출마할 것으로 보였다. 원래는 당내 경선을 통해 비명 성향 [[조응천]] 의원과 대결을 예고하고 있었다. 선임안 가결 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3월 22일 민주당 최고위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추천됐다. 방통위 상황이 녹록치 않아 어깨가 무겁다. 선당후사의 마음으로 열심히 하겠다"는 짤막한 글을 남겼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방통위 상임위원으로 임명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는 대다, MBC 노조위원장과 사장을 지낸 [[최승호(언론인)|최승호]] PD 등도 최 전 의원 임명을 비판하고 있어 난관이 예상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72526?sid=100|#]] 2023년 4월 법제처에서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재직 이력 등이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결격 사유에 해당하는 지 심사하고 있으며, 5개월이 지난 현 시점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결국 22대 총선이 6개월 남은 상황에서도 요지부동이다보니 차기 [[남양주 갑]] 출마 도전 확률이 아주 높아졌다. 결국 2023년 11월 6일, 방통위 상임위원 후보자에서 사퇴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115354.html|#]] 2023년 12월 27일, 22대 총선 [[남양주시 갑]] 출마를 선언했다. 조응천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함에 따라 공천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후 같은 지역구에 출마를 선언한 [[임윤태]] 예비후보와 경선이 결정되었으며 2024년 3월 6일 임윤태 후보를 경선에서 누르고 민주당 후보로 확정됐다. 그리고 드디어 [[유낙준(군인)|유낙준]]([[국민의힘]]), 현역 [[조응천]]([[개혁신당]]) 상대로 과반 득표로 무난하게 제치고 [[남양주시 갑]]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 제22대 국회 === 22대 전반기 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 내정되었다.[* 국회 관례상 보통 3선급 의원이 상임위원장에 내정된다고는 하나 3선 의원 시절에 상임위원장을 맡지 못 하면 4선 의원이 맡기도 하고, 이미 지난 국회 때 이재정, 이상헌 등 재선 의원이 상임위원장을 맡은 사례가 있는 만큼 3선 의원이 아님에도 상임위원장을 맡은 게 크게 이례적인 케이스는 아니다.][[https://v.daum.net/v/20240607185619050|#]] == 저서 == * 황금빛 똥을 누는 아기, 다섯수레, 2001년. * 해맑은 피부를 되찾은 아이, 문화유람, 2002년. * 엄마 몸이 주는 뽀얀 사랑, 문화유람, 2004년. * 황금빛 똥을 누는 아기 1, 21세기북스, 2007년. * 황금빛 똥을 누는 아기 2, 21세기북스, 2007년. * 굿바이 아토피, 21세기북스, 2009년. * 김유진 공저, 쉼 없이 걸어 촛불을 만났다, 21세기북스. 2020년. * 조국백서추진위원회 소속 공동저자, 검찰개혁과 촛불시민, 오마이북, 2020년 == [[최민희/비판 및 논란|비판 및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민희/비판 및 논란)] == 여담 == * 개명 전 이름은 '최정심'이다. [[http://www.nabuco.org/mobile/article.html?no=399|#]] * 언론계에서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한 덕분에, 보수 언론 및 [[문재인]] 대통령에게 마냥 호의적이지만은 않은 진보 언론의 프레임 및 왜곡 기사를 정확하게 비판한다. 실제로 수십 년 동안 말지 및 민언련 활동 때문에 진보 언론계에서는 정계 진출 이전부터 꽤 알려진 언론인이었다. 민언련 이외의 다른 진보 단체에서도 활동하면서 사회적 이슈에 목소리를 냈다. *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여성 정치인이다. 정치 컨설턴트 [[박시영(1968)|박시영]]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내 아들이 내 딸보다 더 받은 게 없고 군대까지 다녀왔는데 내 시대에나 맞을 페미니즘을 내 아들 세대에 요구하면 되겠냐'며 '민주당이 그동안 여성계 목소리를 많이 들어줬던 정당임을 인정하고 지금부터라도 아들 세대들 호소에 귀 기울이며 고쳐나가자'고 말했다. 또한 현재 형태의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고 성평등가족부를 신설해 과감히 개혁해야 한다고 밝혔다. * 원외 정치인이 된 뒤에는 [[정의당]] [[박원석]] 전 의원과 '[[민주정의당|민*정*당]]'이란 팟캐스트를 진행했으며 2016년 11월에는 [[더불어민주당]]의 공식 팟캐스트 방송인 [[진짜가 나타났다]] 시즌 3의 패널로 출연하게 됐다. * EBS 다큐멘터리인 리얼극장 - 행복 -에 딸과 함께 출연했다. 국회의원으로서 활동하며 딸과의 관계가 악화된 듯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0HZmz3S7lWk|#]]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인은 SNS 프로필 사진을 오랜 기간 동안 딸과 찍은 [[셀피]]로 설정해놓을 정도로 딸에 대한 애정이 많았지만, 딸의 입장에서는 의정활동으로 인해 가정에 소홀한 엄마에 대한 서운함이 많이 쌓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 싱가포르로 조기 유학을 보냈다는 사연에 국회의원이 되기 전에 사회단체 활동만 한 최민희의 이력을 감안해 의외라는 평가도 있었다. 싱가포르는 물가나 학비가 유럽이나 최소 미국 수준으로 높은 지역이다.] [[파일:Pi22-05-04_22-00-31-802.jpg]] * [[안산시 을]] 지역에서 당선된 [[김현(1965)|김현]] 의원과 의원선수(19, 22)가 같다. 또한 초선은 비례대표로 지냈으며, 8년만에 원내에 복귀한 것도 동일하다. 그리고 경기도 지역을 지역구로 둔 것, 언론 관련 활동을 한 것 또한 공통점이다. * 제22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당선인사를 하는데 휴대폰에다 인삿말을 써 와서 이를 그대로 읽는 모습을 보였다.[[https://youtu.be/3ulaeDMExOk&t=120|#]]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시민통합당)] || 2011 || 창당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민주당(2008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2015 - 2018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2022 || 탈당[* 선거법 위반으로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2 - 현재 || 복당 || == 선거 이력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민주통합당)] || '''7,777,123 (36.45%)''' || '''당선 (19번)'''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남양주시 병|남양주 병]]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39,425 (38.42%) ||<|2> 낙선 (2위) ||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남양주시장]] || 137,915 (46.55%) ||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남양주시 갑|남양주 갑]]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8,135 (51.08%)''' || '''당선 (1위)''' || '''재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제20대 총선 최민희 벽보.jpg|width=100%]] || [[파일:제8회 지선 최민희 벽보(수정).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남양주시 병|{{{#000,#fff 경기 남양주시 병}}}]])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fff 8회 지선}}}]] [[남양주시장|{{{#000,#fff (경기 남양주시장)}}}]] || || [[파일:최민희 22대 총선.jpg|width=100%]] ||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2대 총선}}}]] [[남양주시 갑|{{{#000,#fff (경기 남양주시 갑)}}}]]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자]][[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2대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60년 출생]][[분류:혜화여자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민주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성신여자대학교 재직]][[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개명한 인물]][[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방송위원회 부위원장]][[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민주언론시민연합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