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성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3번}}}''' || || [[제로니모 베로아|베로아]][br](2002) || {{{+1 →}}} || '''{{{#fff 최대성[br](2004~2005)}}}''' || {{{+1 →}}} || 문왕식[br](2006)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8번}}}''' || || 이정동[br](2004~2005) || {{{+1 →}}} || '''{{{#fff 최대성[br](2006)}}}''' || {{{+1 →}}} || [[허준혁(1985)|허준혁]][br](2007)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1번}}}''' || || [[이정민(야구)|이정민]][br](2005~2006) || {{{+1 →}}} || '''{{{#fff 최대성[br](2007~2008)}}}''' || {{{+1 →}}} || [[이정민(야구)|이정민]][br](2009~2011.9.2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9번}}}''' || || 심세준[br](2008) || {{{+1 →}}} || '''{{{#fff 최대성[br](2009)}}}''' || {{{+1 →}}} || [[박시영]][br](2010~2011)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0번}}}''' || || 이정동[br](2010~2011) || {{{+1 →}}} || '''{{{#fff 최대성[br](2012~2015.5.2.)}}}''' || {{{+1 →}}} || [[조현우(야구선수)|조현우]][br](2015.5.3.~2015) || ||<-5> '''{{{#fff [[kt wiz|{{{#fff kt wiz}}}]] 등번호 21번}}}''' || || [[박세웅]][br](2014~2015.5.2.) || {{{+1 →}}} || '''{{{#fff 최대성[br](2015.5.3.~2015)}}}''' || {{{+1 →}}} || [[이상화(1988)|이상화]][br](2016~2020) || ||<-5> '''{{{#fff [[kt wiz|{{{#fff kt wiz}}}]] 등번호 11번}}}''' || || [[안승한]][br](2014~2015) || {{{+1 →}}} || '''{{{#fff 최대성[br](2016~2017)}}}''' || {{{+1 →}}} || [[홍성용]][br](2018) || ||<-5> '''{{{#fff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0번}}}''' || || [[고봉재]][br](2016.6.~2017) || {{{+1 →}}} || '''{{{#fff 최대성[br](2018~2019)}}}''' || {{{+1 →}}} || [[윤산흠]][br](2020)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109/2012/04/24/201204242153774084_1.jpg|width=100%]]}}} || ||<-2> '''{{{+2 최대성}}}[br]崔大成 | Choi Dae-Sung''' || ||<|2> '''출생''' ||[[1985년]] [[5월 17일]] ([age(1985-05-17)]세)|| ||[[부산광역시]] [[영도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동삼초 - [[부산중학교|부산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s-3.2|2004년 2차 2라운드]] (전체 9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04~2015)'''[br][[kt wiz]] (2015~2017)[br][[두산 베어스]] (2018~2019)|| || '''지도자''' ||[[동아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1~)|| || '''병역'''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2010~2011)|| || '''등장곡''' ||[[BOBBY]] - 《[[연결고리]]》[* 최대성의 원 등장곡인 [[http://www.youtube.com/watch?v=7P3lVjkOrzI&feature=related|친구의 자작곡]]은 상당히 긴장감 있는 곡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82&aid=0000355492|호평을 받았다.]] 2012 시즌을 시작하기 전에 받은 곡이라고 한다. 오죽하면 네이버에서 최대성 등장음악으로 검색하면 자동완성이 있을 정도.] || || '''종교''' ||[[개신교]][* 선수 시절부터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다. 한 [[KIA 타이거즈 갤러리|갸갤]]러의 친구가 부산에 사는 야구팬이었는데, 교회에서 최대성을 만나 선물을 전해주자 고맙다는 인사와 오늘 교회에 점심으로 소고기 무국이 나온다며 먹고 가라고 했다는 이야기는 이미 유명하다. 한때 같은 교회에 다니는 교회 아가씨를 만나고 있는 거 아니냐는 루머가 돌기도 했을 정도.]||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kt wiz]],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투수]]. 2000년대의 [[롯데 자이언츠]] 투수진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우완 파이어볼러로, 많은 [[롯데 자이언츠]] 팬들에게는 애증의 대상이었다. 2017년 11월 22일에 열린 2차 드래프트를 통해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였으나 2년간 9경기 출장에 그친 채 2019년 11월 22일에 방출되었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
'''{{{#000 최대성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통합 선수 경력: [[최대성/선수 경력]]'''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2> [[최대성/선수 경력#s-2.1|'''{{{#000 2004~2011년}}}''']] || [[최대성/선수 경력#s-2.2|'''{{{#000 2012년}}}''']] || [[최대성/선수 경력#s-2.3|'''{{{#000 2013년}}}''']] || [[최대성/선수 경력#s-2.4|'''{{{#000 2014년}}}''']] || || [[최대성/선수 경력#s-3.1|'''{{{#fff 2015년}}}''']] || [[최대성/선수 경력#s-3.2|'''{{{#fff 2016년}}}''']] || [[최대성/선수 경력#s-3.3|'''{{{#fff 2017년}}}''']] || [[최대성/선수 경력#s-4.1|'''{{{#fff 2018년}}}''']] || [[최대성/선수 경력#s-4.2|'''{{{#fff 2019년}}}''']] || }}}}}}}}} || == 은퇴 이후 == 은퇴 후 엘론베이스볼랩[* 서울시 서초구에 있는 야구아카데미이다. 전 야구선수 [[모상기]]도 이곳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에서 유소년 지도자로 새출발을 했다. 2020년 5월에 했던 인터뷰에 의하면 kt 이적 후 [[블래스 신드롬]]에 걸려 2군에서 하루 공 1000개를 던져도 감을 잡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만루홈런 2개를 한번에 맞은 날에 "그래도 내 공이 존 안에 드디어 들어가는구나" 하며 오히려 안도했다고.[* 이 얘기를 하면서 두산 팬들에게 죄송하다(...)고 밝혔는데 kt 팬들은 그래도 친정사랑은 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은퇴 후 유튜브 [[프로동네야구 PDB]]에 출연해 최고 구속 '''146km/h'''를 찍었다. 투구 동작에서 와인드업을 하지 않는 이유가 [[이혜천|제구가 안 잡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youtube(n88uWJzRlDc)] 2021년 동아대학교 야구부 코치로 부임했다. 2023년 [[최강야구]] 트라이아웃에 동아대 제자들과 함께 참가한 것이 밝혀졌다. 패스트볼 구속이 여전히 140km를 무난히 넘는 등 그 위력을 과시했다. 제구는 여전히 날렸지만 나이도 40에 가까워질 뿐더러 현재 어지간한 KBO 투수들과 비슷한 구속을 보였기에 대단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다만 트라이아웃에서는 최종 라운드까지 가긴 했지만 그 날림 제구 때문에 떨어졌다.[* 제구에선 모든 투수를 다 씹어먹은 신재영은 논외로 하더라도 강속구를 던지면서 제구도 어느 정도 되며 젊기까지 한 선성권의 존재가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피칭 스타일 == [youtube(HJ4Sk6xMemc)] 약 11년동안 KBO 국내 투수 최고 구속(158.7km),단일경기 최고 평균구속(155.8km)기록을 소유했던 우완 강속구 투수. 구속만큼은 그의 전성기 당시는 물론 '''지금의 메이저리그에 갖다놔도 상위권을 찍을 정도'''로 엄청나게 빨랐었다. 반면 제구는 심각한 약점으로, 가끔 제구가 되는 경우에도 코너웍 같은 건 안드로메다로 보내고 스트라이크존에 집어넣기 급급한 수준이다. 물론 빠른 구속으로 인해 KBO 리그의 수준으로는 스트라이크존 안에만 넣더라도 치기가 불가능한 수준이지만, 최대성은 그조차도 못했다는 것이 문제. 인터뷰에 따르면 파이어볼러는 팔궤적이 더 커 기본적으로 제구가 힘들지만 그보다 심리적인 문제가 컸다고 파악하는 듯하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39/0002133086|#]] 변화구로는 슬라이더를 던지는데 잘 긁히는 날은 의외로 위력적인 움직임과 스피드를 보여준다. 문제는 그렇게 긁히는 날이 드물다는 것. 역시 제구는 잘 안된다. 그 외에도 포크볼을 구사했다. 또다른 약점은 잦은 부상으로 인한 유리몸. 호성적을 올릴 때마다 큰 부상으로 수술을 하며 제 기량을 온전히 펼치지 못했다.[* 2007년 [[토미 존 수술]] 이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 2012년 이후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 2014년 이후 kt로 이적하고 나서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지속적으로 팔 수술을 받다보니 KT시절 이후로는 구속이 150km/h 이하로 하락하면서 모든 장점이 퇴색되고 말았다. 파이어볼러들의 큰 단점인 내구성 문제로 인해 온전히 제 기량을 떨치지 못한 선수 중 한 명이다.[* 이후 은퇴후 인터뷰에서 본인 스스로 구속에 집착하느라 기초 체력 강화에 신경쓰지 못했다고 밝혔다.] == 여담 == * 성격도 서글서글하고 팬들과 후배 선수들에게 평판도 좋다. * 강속구 투수인 것과는 어울리지 않게 소녀감성이라는 별명이 있는데 예전 싸이 캡처나 몇몇 짤방, 결정적으로 트위터에서의 오그라드는 대사와 여고생같은 말투 덕분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샤르륵~"...13시즌에는 [[이재곤]]과 함께 찍은 오그라드는 사진+하트가 붙은 트윗으로 다시 한 번 팬들을 뒤집어지게 했다.[[https://twitter.com/bin467/status/323749278868717568/photo/1|빨리보자 내동생♥(...)]] 여담으로 그는 외동아들이다. * 군 복무를 [[법원]][[사회복무요원|공익]]으로 했는데 [[법원]]에서 모든 종류의 싸움을 직접 옆에서 볼 수 있어서 멘탈 강화는 물론,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게 됐다고 우스개 소리로 말했다. * [[프로야구매니저]]에서도 까이는데 3코스트 레어 주제에 구속 스텟이 80이 넘었지만 좋지 못한 성적으로 [[권혁]] 레어와 함께 구속 쓰레기설의 증명에 일조했다. 그러나 07 최대성은 5코스트치고 스탯은 상당히 좋게 나오고 유학도 가능해서 진리카드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단일 년도덱이 생긴 이후 코스트 대비 좋은 성능을 내주는 소위 4대 국민덱 중 하나인 07 롯데덱 불펜의 중심을 맡으면서 존재감도 더 커진 편. 이후 2012년의 좋은 활약으로, 능력치 좋은 중고코 최대성 카드들이 등장하면서 입지가 더 나아졌다. * [[KIA 타이거즈]]의 [[김주형]]과 [[도플갱어]] 수준으로 닮았다. 게다가 1985년생으로 나이까지 동갑이다. 김주형이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동성고]] 재학시절 부산고와의 경기를 위해 부산을 찾았을 때 최대성의 어머니를 만났는데 최대성의 어머니는 김주형을 보고 ‘아들과 똑같다’며 웃었다고 한다. 둘 다 뛰어난 신체조건으로 부임하는 감독마다 사로잡으며 시즌 개막 전에 항상 [[유망주]]로 기대를 모으다가 결국 포텐을 터뜨리지 못하고 [[노망주]]에 머무르고 말아서 팬들에게 애증의 대상으로 꼽힌다는 공통점까지 있다.[* 김주형은 2019년 시즌 막바지에 방출되었다.] * 2020년 4월 오랜만에 프로동네야구 유튜브 채널에 출연했다. 은퇴도 했고 공 자체를 서너 달 만에 잡았지만 대충 던지는데 120이 나오는 걸 보면 타고난 파이어볼러. 본인피셜로 현역 때 와인드업을 잘 하지 않은 이유가 제구 부담 때문이라며 재치있게 밝혔다. 150km에 도전했으나 아쉽게 146.5km에 그쳤다. 은퇴한 지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르진 않았지만, 그래도 140중반대 속구를 던지는 것을 보면 어깨만큼은 천부적으로 굉장하다. * 두산에서 사전에 방출 통보를 했기에 그에 대한 마음의 준비는 했었다고 한다. 미국의 모 팀으로 갈 수도 있었으나 은퇴를 결심했으며, 그리고 이는 [[코로나19]]가 미국을 휩쓸면서 신의 한 수가 되었다. * 2017년 골프선수 [[박시현(골프선수)|박시현]]과 결혼했지만[* 참고로 전 장모이자 박시현의 모친이 1980년대 미녀 배구선수로 유명했던 [[유애자]]다.] 이혼 후 2021년 지금의 아내와 재혼했다. 프로포즈 노래를 직접 만들어 불러주었고 음원으로도 발표됐다. [[http://naver.me/5VeklA7v|노래 제목은 '계단']] * [[프로동네야구 PDB]]에 게스트 출연했는데 최고구속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톰톰, 마카오, 효신대장이 방패로 맞아봤는데 효신대장이 맞을 때 고개를 숙였고 걱정했다. 톰톰이 한번더라고 했는데 최대성은 [[포기|더이상 못던지겠다고 했다]]. * 그와 함께 중고등학교에서 야구 생활을 같이한 범죄자 [[위대한]]은 그의 공이 엄청나게 빨랐다며, 무슨 탁구공을 던지는 줄 알았다고 한다. 다만 컨트롤이 안 좋아서 병신 소리 듣는다며(...) 깠다. * 롯데 시절에 지금은 영구결번이 된 故 [[최동원]] 선수의 11번을 달은 적이 있다. * [[흥해라흥 픽쳐스]]에서 2012년 플레이오프 세이브를 기록한 경기 다음날에 [[https://www.youtube.com/watch?v=mvu-8xs3nH0|최대성에게 바치는 편지]]를 제작하였다. * 23시즌 문동주와 김서현 이전까지 kbo 공식기록으로 1구 최고구속, 한이닝 평균 최고구속을 모두가지고 있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한만두]]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5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2019년 은퇴]][[분류:영도구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kt wiz/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