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천주교 인천교구장)] ||<-3> '''2대 [[천주교 인천교구|{{{#000000 천주교 인천교구}}}]]장'''[br] '''{{{+1 최기산 {{{#000000 보니파시오}}}}}}'''[br] '''崔基山''' | '''Boniface Choi Ki-San''' || ||<-3> [[파일:최기산 보니파시오 주교.jpg|width=100%]] || ||<|2> '''출생''' ||<-2>[[1948년]] [[5월 16일]] || ||<-2>[[경기도]] [[김포시|김포군]][* 현 김포시] || ||<|2> '''선종''' ||<-2>[[2016년]] [[5월 30일]](향년 68세) || ||<-2>[[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인천교구청 || || '''국적''' ||<-2>[[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2> '''재임기간''' ||[[천주교 인천교구|인천교구]] 부교구장 ||[[1999년]] [[12월 27일]] ~ [[2002년]] [[4월 24일]] || ||인천교구장 ||[[2002년]] [[4월 25일]] ~ [[2016년]] [[5월 30일]] || ||<-3> [[파일:최기산 주교 문장.jpg|width=300]] || ||<-3> '''FIAT VOLUNTAS TUA [br] (주님 뜻대로 이루어지소서 )'''[* "[[성령]]으로 충만하신 [[예수 그리스도]] 홀로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시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인생의 방패로 삼아 그분의 뜻이 이루어지는 삶을 살기로 한다"는 의미이다. 라틴어로는 '당신의 뜻이 이루어지소서' 라는 뜻으로, 주님의 기도 라틴어판에서도 있는 구절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가톨릭]] 교회의 제2대 [[인천교구]]장 및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서기. 세례명은 '보니파시오'이다. == 생애 == [[1948년]] [[5월 16일]] [[경기도]] [[김포시]]에서 독실한 [[가톨릭]] 신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서울 성신고등학교[* 과거에는 소신학교와 대신학교 과정이 있었는데 현재의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이 대신학교였고 그 아래의 중등 교육 과정이 소신학교였다. 소신학교를 졸업해야 대신학교를 갈 수 있었다. 쉽게 말하면 오늘날 예비신학생 제도와 비슷한 셈. 성신고등학교는 대표적인 소신학교였지만 1983년 폐교됐다.]를 나와 1974년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하고 1975년 [[성품성사|사제서품]]을 받으면서 사제 생활을 시작했다.[* 이 당시 함께 사제서품을 받은 신학교 동기가 [[이기헌]] 주교다. 이 주교는 최 주교의 장례미사 때 강론을 하기도 했다.] 부평1동성당과 백령성당 보좌[[신부(종교)|신부]]를 거쳐 김포성당과 해안성당, 심곡본동성당 주임신부를 역임했고 인천교구 사목국장을 역임했다. 미국 유학 겸 교포사목을 다녀온 뒤에는 산곡3동성당 주임신부를 맡았다가 새롭게 개교한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그러던 중 199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주교로 피명됐고 그해 12월 27일[* 딱 17년 뒤인 2016년 12월 27일 최기산 주교의 후임 교구장인 [[정신철]] 요한 세례자 주교가 교구장좌에 착좌했다. 착좌식 당일 [[정신철]] 주교는 최기산 주교를 기억하기 위해서 이날 착좌식을 열게 됐다고 설명했다.] 부교구장 주교로 서품을 받았다. 2002년 초대 교구장인 [[나길모 굴리엘모]] 주교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최기산 주교가 교구장직을 자동 승계해[* 교회법에 따라 부교구장 주교는 전임 교구장 주교가 은퇴 또는 선종했을 경우 교구장직을 자동적으로 승계할 수 있다.] 제2대 교구장이자 인천교구 설정 이래 첫 한국인 & 첫 교구 출신 교구장 주교로 착좌했다. 주교 서품 이후에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내에서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성직주교위원회 위원장, 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을 맡았고 최근까지는 주교회의 고위직인 서기직을 맡았다. 2015년 12월에는 고 [[김영삼]] 대통령의 영결식에서 종교예식 중 천주교 예식을 집례하셨다. 그러던 중 2016년 5월 30일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선종하였다.[* 사후에 알려진 바로는 평소 심장 계통 질환의 지병이 있었다고 한다. 선종 전날인 29일에는 건강한 모습으로 부천 심곡부활성당을 사목방문하고 견진성사까지 집전했기 때문에 최 주교의 갑작스러운 선종은 교구민들에게 큰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최 주교의 묘소는 인천 서구 백석동 천주교 성직자 묘역 안에 있다. == 학력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신학 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미국 성 요셉대학교(종교학 석사)|| == 경력 == ||1975년 12월 20일 ~ 1977년 8월 10일 ||[[인천교구]] 부평1동, 백령 본당 보좌신부|| ||1977년 8월 11일 ~ 1987년 2월 17일 ||[[인천교구]] 김포, 해안, 심곡1동 본당 주임신부 || == 여담 == 그의 사촌형인 최기복(마티아) 역시 사목의 길을 걸었다가 초대 [[인천가톨릭대학교]] 총장을 지내기까지도 했다. 그러나 훗날 총장 시절 신학생들에게 동성 [[성추행]]을 저지르는 일을 벌였던 것이 뒤늦게 발각되었고, 인천교구에서는 2020년 5월 8일 최 신부를 면직했다. [[분류:천주교 인천교구장]] [[분류:1948년 출생]] [[분류:김포시 출신 인물]] [[분류:2016년 사망]] [[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