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일반적으로 '''[[식민지]] 등과 같은 특수 지역에 파견된 [[총독]]이 정무를 보는 [[행정]] 기관'''을 의미하는 단어. 과거 [[일본 제국]] 지배 시절의 영향으로 한국에서는 식민지나 점령지를 통치하기 위해 세웠던 통치 기관의 명칭을 번역할 때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애초 일본의 조선 및 타이완 총독부 자체가 제국주의 열강의 개념을 따온 것이니 무리는 없다. == 실제 역사 상의 총독부 == *[[동로마 제국]] * [[라벤나 총독부]] (?~727, 728~738, 739~751) * [[아프리카 총독부]] (?~698) * [[대영제국]] * 아일랜드 총독부(1171~1921) * 인도 총독부 (1858~1947) * 홍콩 총독부 (1841~1997)[*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된 현재에는 [[특별행정구]]로 [[일국양제]]의 원칙에 따라 사실상 별개 국가로 돌아가고 있다. 현재는 [[홍콩 예빈부]]로 개칭했으며 [[홍콩 행정장관]]의 [[관저]]로 쓰이고 있다.] * 웨이하이 총독부 (1898~1930) * [[프랑스 식민제국]] * 누벨 프랑스 총독부 (1663~1760)[* 지금의 [[퀘벡]]이다.] * 아이티 총독부 (1714~1803) * 인도차이나 총독부 (1887~1945) * 마다가스카르 총독부 (1908~1957) * [[벨기에 식민제국]] * 콩고 총독부 (1908~1960) * [[네덜란드 제국]] * 동인도제도 총독부 (1691~1948) * [[포르투갈 제국]] * 브라질 총독부 (1578~1763) * 앙골라 총독부 (1837~1975) * 모잠비크 총독부 (1837~1975) * 기니 총독부 (1837~1975) [* 지금의 [[기니비사우]]이다.] * 마카오 총독부 (1557/1888~1999) [* [[홍콩]]과 마찬가지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된 현재는 일국양제의 원칙에 따라 중국 본토와는 별개의 국가로 간주되고 있다. 현재는 마카오 행정장관의 관저로 사용중이다.] * 카보베르데 총독부 (1837~1975) * [[일본 제국]] * [[대만총독부]] (1895~1945) * [[관동총독부]] (1905~1906)[* 1906년 관동도독부로 격하되었다.] * [[조선총독부]] (1910~1945) * [[독일 제국]]과 [[나치 독일]] * [[벨기에 총독부]] (1914~1918) * 바르샤바 총독부 (1915~1918) * [[폴란드 총독부]] (1939~1945)[* 정식명칭은 그냥 총독부였다. [[레벤스라움]]을 실현하기 위해 폴란드 관련 단어를 일부러 붙이지 않았다고 한다.] == 가상의 총독부 == * [[은하영웅전설]] - [[노이에란트 총독부]] * [[코드 베인]] - 임시총독부 [[분류:총독]] [[분류:국가행정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