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0212 광화문.jpg|width=90%]] || [[파일:external/dimg.donga.com/6916098.1.jpg|width=90%]] || || [[2002년]] [[12월]],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당시 [[광화문광장|광화문]] 촛불집회 || [[2004년]] [[3월 20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탄핵 반대 집회 || || [[파일:attachment/erg34A74kokkilii0607.jpg|width=90%]] ||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PYH2016120400170001300_P2_99_20161204010204.jpg|width=80%]] || || '''[[2008년]] [[6월 7일]], [[2008년 촛불집회|광우병 촛불집회]] 당시 [[서울특별시청]] 앞 광장''' || '''[[2016년]] [[12월 3일]], [[박근혜 즉각 퇴진의 날|6차 주말 촛불집회]] 당시 [[광화문광장]]''' || || [[파일:1483583544896b09e0f94249e9b99c4728d0639c48__mn342093__w400__h594__f58887__Ym201701.jpg|width=80%]] || [[파일:spoiled brat.jpg|width=80%]] || || 물론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보수]]단체에서도 촛불집회를 하기도 한다.[* 이 사진은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당시 사학법 반대를 외치며 [[한나라당]] 의원들이 시위하는 장면. 왼쪽에 [[이명박]] 전 [[서울특별시장|서울시장]]과 오른쪽에 [[박근혜]] 전 의원이 나란히 서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박근혜는 [[박근혜 정부 퇴진 운동|__촛불집회로 촉발된__]]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을 당했다.] || [[1989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에서 주최된 [[슬로바키아]] 독립 촛불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행진하는 장면.[* 이들은 이내 [[물대포]]와 [[경찰]]들에게 진압되었다.] || [목차] == 개요 == {{{+2 촛불[[集]][[會]] / Candlelight Vigil}}} [[시위]]·[[집회]] 문화의 한 종류. [[역사]]와 [[전통]]이 깊은 비폭력 시위 방법 중 하나이다. 영어로 'candlelight vigil'은 촛불집회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반대하는 뜻의 촛불집회라는 뜻으로 한정한다면 'candle protest'나 'Candle demonstration'의 낱말로도 검색할 수 있다. 이 시위가 대중화된 것은 [[1989년]]에 일어난 [[슬로바키아]] 독립 요구 촛불집회 때문. 당시 슬로바키아 사람들이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립하기 위해 [[프라하]](체코의 수도)와 [[브라티슬라바]](슬로바키아의 수도) 지역에 몰려와 독립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벌였다. 이 이후 촛불집회가 시위의 한 방식으로 자리 잡게 된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 대한민국의 촛불 집회 == 언론을 통해 확인되는 '한국에서 일어난 첫 촛불집회'는 1974년 9월 26일 [[서울특별시]] [[명동성당]]에서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주관한 시국기도회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92700209207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9-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6306&publishType=00020|#]] 이처럼 초창기 촛불집회는 [[천주교]]와 [[개신교]] 등 종교계에서 주로 이뤄졌는데, [[6월 항쟁]] 시기에도 종교계의 주도로 촛불집회가 진행되었다. 6월 15일에는 [[명동성당]]에서 촛불집회가 있었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6160020920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06-16&officeId=00020&pageNo=7&printNo=20215&publishType=00020|#]] [[http://www.pandora.tv/view/gambarin/12026421#3690382_new|#]](21:03부터), 6월 22일에는 서울특별시 새문안교회에서 촛불집회가 있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062300209207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06-23&officeId=00020&pageNo=7&printNo=20221&publishType=00020|#]] [[https://www.youtube.com/watch?v=7aHaWdPYWCk|#]](10:14부터) 이외에도 6월 항쟁 시기 전국 각지에서 촛불집회가 있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7B%22mode%22%3A1%2C%22sort%22%3A2%2C%22trans%22%3A%221%22%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C%B4%9B%EB%B6%88%20%EC%8B%9C%EC%9C%84%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1%2C%22startDate%22%3A%221987-01-01%22%2C%22endDate%22%3A%221987-12-31%22%7D|#]] 이렇게 보면 한국 촛불집회의 역사가 상당히 긴 것을 알 수 있다. 1992년에는 케텔 유료화에 반대하여 촛불집회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PC통신 초창기에 케텔이 [[하이텔]]로 바뀌는 과정에서 그때까지 무료였던 서비스가 1달 9,900원을 받는 유료로 전환되었고, 그때까지 공짜로 PC통신을 사용하던 유저들이 들고 일어난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웬만한 시위에는 [[백골단]]이나 [[화염병]](속칭 꽃병) 같은 게 나도는 게 일상이었던 시절인 데다가 아직 PC통신 이용자가 수십만 명 정도에 불과했던 때라 큰 화제는 되지 못하였고 그냥 묻혔다(...). 그러나 이 집회는 이용자들의 요구 상당수가 받아들여졌다. 이용자들이 주장한 것은 계속 공짜로 사용하게 해 달라는 것보다는 결제 방식이 신용카드만 있는 등 너무 부실하니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었고[* 아직 체크카드나 계좌 자동이체 등의 서비스가 없던 시절이다.], 하이텔은 이 요구를 수용하여 결제 방식에 지로 선납을 추가하고, 1990년대 후반까지 가입비 면제 정책을 쓰는 등 방향을 수정했다. 그리고 이 촛불집회의 결과로 이용자 이익 단체로 하동연(하이텔동호회연합회)이 설립되는 등 여러가지 변화가 있었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는 2002년 [[미군 여중생 압사 사건|미선이 효순이 사건]] 때, 인터넷 신문 [[오마이뉴스]]의 기자(겸 네티즌[* 오마이뉴스 자체가 일반 시민(또는 네티즌)과 기자 사이에 있는 경계를 없앤다는 언론이기 때문에, 기자이기는 하지만 네티즌인 것이다.]) '앙마'가 추모의 촛불을 켜자는 주장을 한 것에서 다시 촛불집회가 시작되었다고 알려진다.[* 다만 미선이 효순이 사건 당시 첫 촛불 추모 자체는 미군 교회에서 시작했다.] 특정 단체의 주도가 아닌 인터넷을 통한 여론의 형성으로 촛불집회가 진행된 건 이게 최초의 케이스이다. 집회에는 흔히 [[수련회]]에서 사용하는 [[양초]]의 불이 꺼지거나 촛농이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 종이컵으로 받침을 해 놓은 형태로, 자신이 직접 가지고 나오거나 아니면 집회를 주관하는 단체에서 나눠 주는 경우가 있다. 단 후자는 마지막에 다음 시위 때 쓸 양초 구입을 위해 모금 활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시위 형태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 때 일어난 촛불집회를 기점으로 참여자가 많은 양상을 띠게 되었다.[* [[광화문]]과 [[서울특별시청|서울시청]] 앞에서 집회가 진행되었다. 당시만 해도 시청에는 광장이 없었지만, 시위와 응원 등 대중집회 행사 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 5월 [[서울광장]]이 조성되었다. 5년 뒤인 2009년에는 [[광화문 광장]]이 개장되었다.] 이후 2008년 5월 한-미 쇠고기 협상 문제로 일어났고, 2011년 6월에는 [[2011년 대학생 등록금 반값 요구 촛불집회|반값 등록금 공약 논란으로 인한 촛불집회]]가 서울에서 일어났다. 2013년 6월부터는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의혹]]과 상관된 촛불집회가 열렸다. 2014년에는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 있는 촛불집회가 열린다.[* 이때부터 촛불의 의미가 조금씩 달라졌다. 사고 직후에는 실종자들에게 희망이 있을 거라 믿으며 돌아오길 바라면서, 시간이 지나 희망이 사라진 후에는 추모의 의미로 변했다. 그리고 정부가 유가족들을 탄압하고 언론이 구조 실패와는 별 관련 없는 [[유병언]]에 대해 사소한 것까지 보도하는 등 자꾸 딴소리를 하거나 유족들을 조롱하며, 공권력으로 진상규명을 방해하는 것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의미가 확장됐다.] 그밖에도 한미FTA 반대 등 촛불집회 형태를 띤 크고 작은 집회가 상당히 잦아졌다. 2016년 10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언론보도에 의한 여파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는 집회인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이 [[청계천]]에서 일어났으며 참여자들은 [[광화문광장]]까지 행진하며 퇴진을 요구했다. 또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전주시]], [[제주특별자치도]] 등 전국 대도시에서도 촛불집회가 일어났다. 단지 의견을 모은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의견을 주장하는 것에 불과한 행위였지만, 진보, 보수 할거 없이 많은 국민들이 집회에 참가하여 무려 한국 정치계의 가장 큰 문제점중 하나인 진영론이 무너졌었고 국회의원들과 언론들을 크게 움직이게 만들어 대통령의 탄핵 소추와 가결 후 파면, 그리고 새로운 대통령[* 이 사건 때문에 [[문재인 정부]]를 '촛불정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을 선출하기까지 했다는 점에서, 세계사적 의의를 갖는 대사건이자, 평화적 방법을 통한 대혁명으로 일컬어지며 세계적 관심을 받았다. >Demokratie und Asien – das soll nicht zueinander passen? Im Augenblick sieht es eher so aus, als könnten Amerikaner und Europäer von den Koreanern lernen, wie man die Demokratie mit Mut und Leidenschaft verteidigt. >[[민주주의]]와 [[아시아]], 이 둘은 서로 맞지 않는 것인가? 오히려 지금은 이렇게 보인다. '''아메리카와 유럽인들은 한국인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 어떻게 민주주의를 용기와 열정을 가지고 지켜내는지 말이다.''' >---- >디 차이트(독일의 신문). 2016년 12월 14일. [[http://www.zeit.de/politik/ausland/2016-12/suedkorea-park-geun-hye-amtsenthebung-5vor8|##]], [[https://pgr21.com/?b=8&n=69434|전문 번역]] ---- >South Korea just showed the world how to do democracy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보여주었다.''' >---- >[[워싱턴포스트]]. 2017년 5월 10일.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7/05/10/south-korea-just-showed-the-world-how-to-do-democracy/?utm_term=.4e7cb4b89446|##]] 당시 [[한국]]과 정치적으로 깊게 연계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와 [[유럽]], [[남미]], 거기다가 아랍권 언론까지 크게 보도하며 세계적인 이슈가 됐다. 심지어 그 당시 세계적 관심을 [[블랙홀]]처럼 모을 수 밖에 없던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있었던 시기였음에도, 그에 압도당하지 않고 이런 엄청난 관심을 받은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만 임팩트를 가진 것이 아닌 세계정치사적 임팩트를 가진 촛불집회임을 알 수 있다. 당시 수많은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도 한국의 촛불시위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왔다. 심지어 이후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를 반대하던 미국 국민들이 '한국은 촛불시위로 피흘리지 않고 대통령을 탄핵했다더라, 우리도 해야 한다'며 부러워하기도 했고, [[김정남 피살 사건]]이 일어났을때, 언론이 당시 그 지역에 거주하던 북한 주민을 취재하려 하자 취재를 거부하던 북한 주민이 '(난 너희와 인터뷰할 마음 없으니) 너희는 가서 촛불 들고 시위나 해라'라고 했을 정도였으니 이 사건의 인지도는... 게다가 비폭력 시위 역사상 최대규모의 촛불시위면서 성공하기까지 한 시위라는 점 역시 정치사적 의미가 크고, 긴 세월이 흘러도 연구될 역사적 사건으로 남게 되었다. 한국에서 촛불집회는 진보 진영에서만 주로 연다는 시각도 있지만[* 다만 2008년 촛불집회나 2011년 촛불집회는 민주당이 주도하지 않고 상당히 나중에 끼어든 사례로, 특히 2011년에는 옛 [[열린우리당]] 정권이 등록금 상승 현상을 지켜보고만 있었다는 이유로 배척받았던 바가 있다.][* 오히려 민주당에서 주도한 경우보다는 아닌 경우가 더 많다. 2008년 촛불집회 초기만 해도 민주당의 참여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많았으며 FTA 때나 세월호 때도 민주당이 주도하지 않았다.] 보수진영에서도 촛불집회를 연 사례가 있다. 예컨대 [[참여정부]] 당시 사학법 개정 반대 촛불집회 등이 있다. 당시 [[이명박]] 전 [[서울특별시장|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의원도 종이컵으로 감싼 촛불을 들었다. --그리고 둘 다 촛불집회시위를 당해 봤으며 [[박근혜|그 중 한 명]]은 촛불 때문에 쫓겨났다.-- 주로 촛불집회라고 부르긴 하지만 촛불문화제라 부르기도 하며 [[촛불]]과 함께 유머러스한 피켓 등을 들고 참석하기도 한다. [[http://kevin0455.blog.me/220860353646|2016년 11월에 보도된 사진들]] 요즘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간편하게 스위치로 불을 켜고 끌 수 있고, 화재의 위험이 없고,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바람에도 꺼지지 않는]] LED 촛불이 점점 더 많이 쓰인다.[* 일부 아이돌 팬들은 촛불시위때 그 그룹의 [[응원봉]]을 들고 나오기도 한다!] LED 촛불임에도 왠지 종이컵을 씌운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 촛불시위도 시대에 따라 점점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인다. 2019 8월 23일 고려대와 서울대에서 당시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의 딸의 입시 비리 의혹에 항의하는 대학가에서 촛불집회가 열렸다. 이후 9월 9일에는 부산대학교가 동참하였으며 9월 19일에는 연세대가 동참하여서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에서 4차 촛불집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날부터 대학생들만의 집회가 아니라 일반인들도 참여하였다. 10월 3일에는 마로니에 공원에서 1차 대학생 연합집회를 개최하였는데 서울대 촛불집회 측은 여기에 불참하고 범보수 진영이 주최하는 광화문 집회에 참여하였다. 이후로도 몇차례 전국 대학생 연합 촛불집회가 이어졌으며 마침내 8월 23일 1차 촛불집회가 열린지 53일만인 2019년 10월 14일 오후 2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사퇴하였다. 한편 여권 지지자들의 촛불집회도 이어졌다. 2019년 9월~10월, [[사법적폐청산 범국민시민연대]] 주도로 시작된 [[검찰개혁 촛불문화제]]가 9월 16일 시작, 9월 20일까지(제1차~제5차)서울중앙지검 앞 에서 진행[[https://youtu.be/OsoFsP3_wwA|1차]][[https://youtu.be/Jng2tJ8w9Uk|2차]][[https://youtu.be/gQueP8ub2lc|3차]][[https://youtu.be/m-2oNoTtC-A|4차]][[https://youtu.be/mTpcJC3S7tE|5차]]9월 21일(제6차)집회[[https://youtu.be/rNWbxYRo06k|6차]] [[https://youtu.be/7KxAqTnlBJU|7차]] 는 장소를 서초동 대검찰청 앞으로 이동하였다. 9월 28일 집회는 검찰청 누에다리에서 서초역 사거리까지 약 600m 정도 거리에 시민들이 꽉 찼다. 10월 5일 (제8차)[[https://youtu.be/7KxAqTnlBJU|8차]], 10월 12일(제9차)[[https://youtu.be/UdetCNsYLbY|9차]] [[서울특별시]] [[서초동]] [[서초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예술의 전당]] 방향, [[교대역(서울)|교대역]] 방향, [[검찰청]] 방향 (메인 무대), 서리풀 터널 방향 4방향에 스크린을 설치했다. 8차, 9차 집회때는 예술의 전당 방향(약 1km), 교대역 방향(약 500m), 서리풀터널 방향(약 300m), 검찰청 방향(약 600m) 총 약 2.4km 길이의 서초대로, 반포대로에 시민들이 꽉 찼다. 2019년 10월 19일~12월 14일, [[검찰개혁 촛불문화제]]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이 사퇴 한 뒤 서초동에서 여의도로 자리를 옮겼다. 10월 19일(제10차)[[https://youtu.be/4ozb7PlJnqY|10차]] 에는 서강대교 방향, 여의도역 방향(메인 무대) 2방향에 스크린을 설치했다. 참여한 시민들은 ''검찰개혁, 공수처설치'' 등을 외쳤다. 이때 부터 12월 14일(제15차) 까지 [[대한민국 국회의사당]]을거쳐 [[자유한국당]] 당사까지 행진을 하였다. 10월 26일(제11차)[[https://youtu.be/VjVfmJpGBz4|11차]]에는 여의대로(여의도 공원 근처) 로 자리를 옮겼으며, ''검찰개혁 공수처설치'' 요구와 함께 계엄령 문건에 대해 특검 요구도 등장 했다. 11월 2일(제12차)[[https://youtu.be/sflehZ9FjyU|12차]] 에도 위와 동일하게 진행했다. 그리고 약 4주간 쉬다가 11월 30일(제13차)[[https://youtu.be/wBar_stTFqM|13차]] 에는 ''검찰개혁 국민총궐기''라는 제목으로 집회를 하였다. 위치가 살짝 변경되었다. 그리고 12월 7일(제14차)[[https://youtu.be/XypUGPdymvQ|14차]]은 ''정치검찰 해체, 패스트트랙 수사'' 라는 피켓도 등장했다. 자리는 다시 11차, 12차 진행 장소로 이동 하였다. 12월 15일(제15차)[[https://youtu.be/aqshQPqndMs|15차]]은 10차 진행 장소로 이동, 마지막 집회를 진행하였다. 2020년 이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촛불집회는 물론이요, 시위 자체를 거의 못하는 추세다. 하더라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인원이 제한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2023년에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이후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제3자 변제안]]이 발표되면서 촛불집회가 다시 열렸다. [[https://youtu.be/YPBIQ7ueWx0|출처]] [[윤석열 일본 사죄 관련 외신 인터뷰 논란]]으로 인해서 부산광역시에서 촛불집회가 열렸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22778|출처]] === 참가자가 많았던 촛불 집회 목록 ===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2002년 미선이 효순이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미군 장갑차 압사 사고]]로 숨진 여중생 2명의 죽음을 애도하고 주한미군 방위협정(SOFA)의 개정을 촉구하는 목적으로 시작된 시위. *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 -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와 그 주동세력을 규탄하는[*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집회. 이 시위의 여론은 탄핵안 발의 1달 뒤 열린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도 영향을 미쳐 [[열린우리당]]이 152석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 [[2008년 촛불집회]] - 2008년 [[한미자유무역협정|한미 FTA]] 개정에 관한 문제로 발생했던 시위. 2016년 이전까지 '촛불집회'라고 하면 대부분 이 시위를 가리켰다. * [[2009년 6.10 범국민대회|2009년 6.10 범국민대회]] - [[6.10 항쟁]] 22주년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추모 및 [[이명박 정부]]에 대한 규탄집회. *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사건|2010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사건]] * [[2011 대학생 등록금 반값 요구 촛불집회]] *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2016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 - 2016년 12월 3일, [[박근혜 즉각 퇴진의 날]] 집회를 비롯하여 전국에서 약 232만명이 모여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참가한 시위가 되었다. 다만 주최측 추산으로 정확한 통계는 집계하기 힘들다.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집회]]''' * [[다시, 촛불|2019 다시, 촛불]] * [[조국 사태]] * [[사법적폐청산을 위한 검찰개혁 촛불문화제]] * [[조국 전 법무부장관 규탄 집회]] * [[2022 윤석열 퇴진 촛불집회]] == 해외 사례 == 아래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외신들이 이 나라들을 언급할 때에는 항상 한국의 촛불집회가 언급되며, 대한민국이 촛불집회를 하는 나라의 우상이 되고 있다. === [[슬로바키아]]의 사례 === 이 시위가 대중화된 것은 [[1989년]]에 일어난 [[슬로바키아]] 독립 요구 촛불집회 때문. 당시 슬로바키아 사람들이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립하기 위해 [[프라하]](체코의 수도)와 [[브라티슬라바]](슬로바키아의 수도) 지역에 몰려와 독립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벌였다. 이 이후 촛불집회가 시위의 한 방식으로 자리 잡게 된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 [[독일]] 사례 === [[민주주의]] [[선진국]]인 [[독일]]에서도 촛불시위가 종종 발생하는데,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1989년 10월 9일, [[라이프치히]] 시 니콜라이 교회 근처에서의 '목숨을 건'[* 당시 [[에리히 호네커]] 서기장은, [[미하일 고르바초프]] 당시 [[소련]] [[서기장]]의 조언까지 무시해가면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국 공산당|식]]으로 [[천안문 6.4 항쟁|진압]]하겠다는 엄포를 놓았다. 불난 집에 휘발유를 끼얹는 이 망언과 아울러 동독에서의 독재정치 및 각종 불법 행적들로 인하여, 1990년 통일 후 재판을 받고 형집행정지로 1994년 칠레에서 요양 중 사망하였다.]촛불 시위에는 7만명이 참여하였고, 23일에는 30만명이 참여하였는데, '떠나야 할 사람은 우리가 아니라 지배자들', '우리가 인민이다'등의 구호를 외치며 평화적으로 행진을 이어나갔으며[[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71208540005204|#]], 이는 결국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더불어, 이듬해인 1990년 10월 3일 [[냉전|감]][[해체|격]][[탈냉전|의]] [[독일 재통일]]을 이끌어내게 된다. 2020년 [[튀링겐]] 정치 위기때, 정확히는 2020년 2월 5일, [[나치]]의 첫 [[지역|지방]][[정부]][[권력]] [[찬탈]] 이후 무려 90년만에[[https://yna.co.kr/view/AKR20200208006900082|#]] 또다시, [[극우]][[정당]]이자 주의 제2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대안당)이 몰표를 던지고, 이에 튀링겐 주의 [[독일 기독교민주연합|기민당]]이 이를 묵인한 결과, 제1당의 당수이자 당시 주지사로서 [[관광]][[산업]] 활성화 등으로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었던 [[보도 라멜로프]]가 아닌, 불과 5석의 의석을 이끌고 있는 [[자유민주당(독일)|자민당]] 주 지도자인 [[토마스 켐머리히]]가 주 [[역대 독일 주지사|총리]]가 되는 '대이변'이 연출되었다. 이날 밤 이후 사건 발생지인 [[주도(행정구역)|주도]] [[에르푸르트]] 주의회 건물을 중심으로, 독일 전국 각지에서 '촛불집회'가 열리면서 격렬한 [[항의]] [[시위]]가 계속되다가, 3일 후인 2월 8일에 결국 성난 민심을 수습힐 겸, 자진 사임 의사를 밝히고, 약 4주 후인 3월 4일에 3차 찬반투표 형식으로 [[보도 라멜로프]]가 다시 [[역대 독일 주지사|주총리]]가 되면서 사태는 평화적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좌파당(독일)|적]]-[[독일 사회민주당|적]]-[[동맹 90/녹색당|녹]] 42석(과반수는 45석)인 소수정부(Minority Government)의 한계로 인하여, [[제20대 독일 연방하원 선거]]일인 2021년 9월 26일에 [[튀링겐]] 주에서 총선을 다시 치를 예정이다. [[베를린]]과 [[메클렌부르크포어폼메른]]주의 [[선거|총선]]까지 더해져, 이날은 독일 정치의 '슈퍼 선데이(Sonntag, 존탁)'가 되는 셈.][[https://en.wikipedia.org/wiki/2020_Thuringian government crisis|#]] '[[튀링겐]] 사태'로부터 4일 후인 2020년 2월 9일, [[극우]] [[나치|나치주의자]]의 [[총기난사]][[테러]]에 맞아 [[헤센]] 주 하나우(Hanau)에서 희생된 9명의 사람들[[https://news.joins.com/article/23711753|#]]을 추모하는 촛불집회가 [[독일]]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https://www.yna.co.kr/view/AKR20200221060100009|#]]. 2020년 5월 19일(현지시간), ~~또~~ ~~이번에는 의미가 약간 다르다~~ [[튀링겐]] 주 젤라 메리우스에서 세무사로 일하는 거트루트 쇼프가 뜻을 같이 하는 이들과 더불어 독일의 [[코로나19]] 희생자들을 추모하자는 취지로 8천여개의 촛불로 거대한 형상을 만들어 이를 공개했다[[https://www.yna.co.kr/view/PYH20200520223600340|#]]. 2021년 4월 19일에는 아예 [[독일]] [[독일의 국가행정조직|연방정부]]가 나서서 촛불을 들기도 했는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제8대, 재임 2005~현재)가 직접,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에서 열린 [[코로나19]] 사망자(약 8만명) 첫 공식 추모식에서 촛불을 들고 추모하였다[[https://www.yna.co.kr/view/PYH20210419004200340|#]]. 참고로 독일의 경우, 2020년 1월 이후 이날까지 누적 확진자가, [[유럽]]에서 꽤 선방중이라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유럽/독일|평가]]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약 315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 [[일본]] 사례 === 2018년에는 [[아베 신조]] [[정권]]의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으로 인하여, [[박근혜]] [[하야|퇴진]]운동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시민]]들이 일련의 촛불집회들을 열었다[[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16|#]]. 아무래도 옆나라 [[대한민국]]에서의 [[김진태|영향]]을 [[문재인 정부|받다보니]], [[LED]] 촛불을 드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동네 상점에서도 구매가 가능하여 '''훨씬 접근성이 좋은 [[형광봉|사이리움]]'''을 쓰는 경우가 더 많았다.[* 주최측에서 LED 촛불과 사이리움 두 가지를 전부 취향에 맞게 쓰라고 나눠주기도 했다. [[울오]] 같은 것을 쓰면 대한민국의 촛불시위와는 비교도 안되는 광량이 나온다고 한다. --시위영상을 보면 가끔은 [[한류|한국]] [[아이돌]] 직관으로 단련됐나 싶은 분들이, 시위 구호에 맞춰서 [[울버린]]을 시전한 경우도 심심찮게 보였다고 한다.--] === [[홍콩]] 사례 === [[영국]] [[식민지|지배]]([[아편전쟁|1841]]~[[홍콩/역사|1997]]) 이후 50년동안 [[중국]]으로부터의 [[자치|자치권]]([[일국양제]])을 원칙적으로 보장받는 [[홍콩|홍콩특별행정구]]의 경우에도, 1990년 이후 처음으로 홍콩 경찰이 집회를 불허함에도 불구하고, 2020년의 '6월 4일' 참사 당일, 수만명이 나서서 [[천안문 6.4 항쟁|1989년 천안문 사태]]를 추모하기 위한 [[천안문|톈안먼]] 촛불집회가, [[코로나19]] 방역을 명분으로 한 [[중국]] [[중국 공산당|당국]]에 의해 불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최되었다는 [[BBC]][* [[영국방송공사]]. 당연히 매우 심각하게 일련의 상황들을 걱정하는 기사들을 내보내며 지켜보고 있다.]의 [[기사]][[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2917036|#]]가 [[보도]]되었다. 참고로, [[미국]]과 [[중화민국|대만]]은 이번 사태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하였다. 원래 매년 6월 4일에 개최되는 집회였으나 [[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전을 수호하는 법률제도와 집행기제 수립 및 완비에 관한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지금은 홍콩에서 반정부 집회 자체가 사실상 금지되었다. === [[미국]]의 사례 === [[파일:뉴욕워싱턴공원.png]] [* [[비디오머그]] 영상 캡처 [[https://www.youtube.com/watch?v=owXZX2_3kFY&t=12s|#]]] 미국에서 일어난 유명한 촛불집회 중 하나는 1978년 샌프란시스코의 시의원이었던 하비 밀크가 총격으로 사망한 후 3만 명이 모여 추모를 한 집회이다.[* 하비 밀크는 [[게이]]였으며 동성애자 인권 운동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이 사람을 죽인 인물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트윙키 변호]] 문서로. 또한 2001년 [[9.11 테러]] 당시에도 공격을 당한 [[뉴욕]] 워싱턴 스퀘어 공원을 포함해 전역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촛불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또한 [[이라크 전쟁]]을 반대하는 촛불 집회가 진행되기도 했다. === 게임 사례 === 도시 건설 시뮬레이션의 [[고전]] 명작인 [[시저 3]]에서 시민들의 지지도가 떨어지면 시민들이 촛불시위를 한다. 촛불인지 올리브유 램프인지 표현이 모호하게 되어 있으나 이 게임에서 올리브유는 대도시를 차릴 때나 나오는 고급 자원이고 [[로마 제국]] 때도 [[양초]]는 있었으니 촛불시위라고 봐도 틀리지는 않을 듯. [[분류: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