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yapunov, 12 Transcendental Etude Op.11 ''' [목차] == 개요 == [youtube(Zs2n9tf7VQU)] 12곡 전 악보. 러시아 작곡가 세르게이 랴푸노프가 작곡한 연습곡이다. 리스트 사후인 1897년부터 1905년 사이에 작곡되었다.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이 총 24개의 장/단조 중 기본적인 다장조와 가단조에 더해 플랫 1개~5개에 해당하는 장/단조까지 12개를 차례로 사용하였다면, 여기서는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에서 사용되지 않은 장/단조를 사용하였다. 즉, 1, 2번은 샤프가 6개 붙은 올림 바장조와 올림 라단조, 3, 4번은 샤프가 5개가 붙은 나장조와 올림 사단조 등으로 샤프가 하나씩 줄어드는 구성이다. == 구성[* 번호 옆에 적힌 것은 해당 곡의 부제이다.] == === No.1 "Berceuse" ([[자장가]]) === [youtube(rycWnou2zjI)]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의 1번과 다르게 서정적인 분위기로 진행되는 곡이다.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12곡 중 가장 쉽다. === No.2 "Ronde des Fantômes" (유령의 춤) === [youtube(8v6V37-U4Ms)] 양 손의 손가락 독립 및 강약 조절을 극한까지 시험하는 연습곡. 샤프가 여섯 개라 기본 악보부터 보기 힘들고, 왼손과 오른손의 주 멜로디가 엇박자로 진행되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곡이다. === No.3 "Carillon" ([[카리용]]) === [youtube(tkGENKWhm6U)] === No.4 "Térek" ([[테레크강]]) === [youtube(QfpNl4hfpnM)] === No.5 "Nuit d'été" (한여름 밤) === [youtube(uVP3n3hvILU)] === No.6 "Tempête" ([[폭풍]]) === [youtube(vwZWSiDCkhs)] === No.7 "Idylle" (전원) === === No.8 "Chant épique" (서사시) === [youtube(DL_sw20mLLk)] === No.9 "Harpes éoliennes" (에올리언 하프) === 초절기교 연습곡 12번과 비슷한 멜로디로 진행된다. === No.10 "Lesghinka" (레즈깅카) === [youtube(ohIljoA5Cvw)] [[이슬라메이]]를 바탕으로 작곡된 연습곡이다. 이슬라메이보다 음악성이 풍부하고 난도가 더 낮은 곡이라 12곡의 연습곡 중 가장 유명하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슬라메이보다 쉽다는 거지 이 곡도 난곡이다. === No.11 "Ronde des sylphes" (요정의 춤) === [youtube(Q29RtNlXvWs)] 초절기교 연습곡 최악의 난이도인 도깨비불을 연상케 하는 분위기. 물론 이 곡의 난이도는 '''그 도깨비불을 능가한다.''' === No.12 "Élégie en mémoire de François Liszt" (프란츠 리스트를 추모하는 비가) === 마지막 곡 답게 연주 시간이 10분을 넘어가는 엄청나게 긴 곡이다. [[분류:독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