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lectromagnetic-TurtleJP.jpg]] || 한글판 명칭 ||<-4>'''초전자 터틀'''|| || 일어판 명칭 ||<-4>'''[ruby(超電磁, ruby=ちょうでんじ)]タートル'''|| || 영어판 명칭 ||<-4>'''Electromagnetic Turtl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빛 || 기계족 || 0 || 1800 || ||<-5>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의 배틀 페이즈를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그 타이밍은 플레이어가 임의로 정해도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 작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 카이바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라펠]]과의 2차전 듀얼에서 사용되었으며, 라펠이 [[가디언 에아토스]]로 [[블랙 매지션]]을 공격하는 찰나에 [[크리밴디트]]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져 배틀 페이즈를 종료시켰다.[* 참고로 1차전 듀얼에서 쓰인 중강갑 거북은 되려 유우기를 패배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초전자 터틀과 대조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超電磁タート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초전자 터틀, 일어판 명칭=超電磁(ちょうでんじ)タートル, 영어판 명칭=Electromagnetic Turtle, 레벨=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배틀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자신을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상대 배틀 페이즈를 종료하는 [[유발즉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비슷한 역할을 하는 [[네크로 가드너]], [[타스케 나이트]]의 상호 호환이라고 할 수 있는 몬스터이다. 네크로 가드너에 비하면 타이밍이 한정되어 있어 배틀 페이즈 전에 상대가 묘지에서 치워버리면 무력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일단 효과가 무사히 발동되면 아예 배틀 페이즈 전체를 종료시켜 버리는 더 강력한 효과이다. 효과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서로 속성이 어둠 - 빛으로 다르기 때문에 이 점으로도 서로 차별화되는 상호 호환 관계다. 타스케 나이트의 경우 특수 소환까지 되지만, 대신 패가 0장이여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 카드의 경우 효과 발동 조건이 따로 없는 대신 특수 소환이 없다는게 차이점. 둘 다 빛 속성, 레벨 4에 효과를 듀얼 중에 1번밖에 못 쓴다는 공통점이 있다. 일단 방어 카드로서의 사용 편의도는 효과 발동 조건이 없는 이 카드가 훨씬 높은 편이다. 발동 조건이 완만하여 방어 성능도 높지만, 한편으로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어 2장째 이후로는 재이용이 불가능하며, 메인 페이즈 중에 상대의 간섭을 받기 쉽기 쉽다는 점은 [[타스케 나이트]]와 다를 것이 없다. 일단 공격 선언시에 다른 카드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고, 배틀 스텝에서 효과를 사용하는 등의 플레이는 가능하다. 빛 속성 기계족이라 [[사이버(유희왕)|사이버]] 서포트를 비롯한 양질의 서포트가 많이 존재하며, 수비력은 최소한 평범한 하급 어태커 정도는 막을 수 있는 수준으로 묘지 이외의 장소에서도 전혀 못 써먹을 몬스터는 아니다. 또한 공격력이 0이라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환해 랭크 4 [[엑시즈 소환]]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효과를 쓰기 전에 소환해야한다는 난점이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네크로 가드너처럼 [[왕궁의 철벽]], [[영멸술사 카이쿠]], [[카오스 헌터]] 등 제외 자체를 막는 카드 앞에서는 바보가 된다. 이 카드는 묘지에 들어가 있으면 진가를 발휘하는 몇 안 되는 범용 빛 속성 몬스터들 중 가장 쓸만하다고 할 수 있는 몬스터이다. 다른 카드를 찾아보려 해도 기껏해야 [[AD 체인저]]나 위의 타스케 나이트 정도인데, 불편한 발동 조건도 없고 상대 배틀 페이즈 한번을 아예 날려버리는 강력한 효과를 지닌 이 카드가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섀도르]] 덱에서 곧잘 채용하곤 한다. 섀도르 퓨전으로 [[엘섀도르 네피림]]의 융합 소재로 덱에서 묘지로 보낼 수 있기 때문. 이렇게 수요가 높아졌는데, 가뜩이나 한정생산품에 동봉된 특전 카드라 물량이 적어서 가격이 엄청나게 고등했다. 야후옥션에서 4월 말 기준으로 '''4천엔'''을 넘는 가격에 낙찰되기도 했다. 한동안 OCG화되지 않았다가 방영된지 자그마치 11년만에 결투왕의 기억이라는 일종의 시리즈 덱의 첫번째 덱인 '결투자의 왕국'의 특전 카드로 발매되었다. 나머지 덱의 특전 카드는 [[흑마족 부활의 관]]과 [[블랙 일루전]]. 그리고 2015년 새해에 결투자의 영광에서 밀레니엄 레어로 또 다시 수록되었고 [[리버스 오브 섀도르]]로도 재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결투왕의 기억|決闘王の記憶-決闘者の王国編-]] || 15AY-JPA00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결투자의 영광|決闘者の栄光-記憶の断片- side:武藤遊戯]] || 15AX-JPM04 || [[노멀]][br][[밀레니엄 레어]] || 일본 ||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P01-JP007 || 밀레니엄 슈퍼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마스터 링크|マスター・リンク]]- || SD34-JP019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리버스 오브 섀도르|リバース・オブ・シャドール]]- || SD37-JP019 || [[노멀]] || 일본 || || || Yugi's Legendary Decks || YGLD-ENA00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리버스 오브 섀도르|Shaddoll Showdown]] || SDSH-EN019 || [[노멀]] || 미국 || || || [[밀레니엄 팩]] || MP01-KR007 || 밀레니엄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마스터 링크]]- || SD34-KR019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리버스 오브 섀도르]]- || SD37-KR019 || [[노멀]] || 일본 || ||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듀얼리스트 킹덤 편 - 스페셜 세트]] || 15AY-JPA00 || [[노멀]][br][[패러렐 레어]] || 한국 || ||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