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번개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card10011074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초뇌룡-썬더 드래곤, 일어판명칭=超雷龍(ちょうらいりゅう)-サンダ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Thunder Dragon Colossus, 속성=어둠, 종족=번개족,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400, 소재="썬더 드래곤" + 번개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 및 이하의 방법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외2=●번개족 몬스터의 효과가 패에서 발동한 턴에\, 융합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번개족 효과 몬스터 1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융합"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덱에서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묘지의 번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어둠의 힘을 품은 번개에 의해 진화한 썬더 드래곤이 그려진 아이콘.''' >'''네 장의 날개를 펼친 그 강인한 모습에, 압도되는 자도 적지 않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설명 [[소울 퓨전]]에 등장한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썬더 드래곤 테마]]의 융합 몬스터. 유저들의 별명은 '슈퍼번개'. 소재 조건은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보다 훨씬 널널해졌으며 소재 대체도 가능하기에 번개족 덱에 [[늪지의 마신왕]]이나 [[융합 주술봉인 생물-빛]] 같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만 1장 넣어줘도 바로 소환 가능하다. 다만 효과가 강력한 만큼 밑의 효과와 정규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단 제약이 있으며 융합 소환의 경우 반드시 썬더 드래곤 몬스터가 아닌 오리지널 썬더 드래곤이 필요하다. 타점은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보다 약간 낮아졌지만 그래도 2500~3000 사이임은 변함 없고 낮아진 타점이 무의미할 정도로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썬더 드래곤 퓨전을 사용하면 정규 융합도 간편하지만 이 카드의 핵심은 패에서 번개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한 턴 융합 몬스터 이외의 번개족 효과 몬스터 1장만 릴리스하면 곧바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는 점. 썬더 드래곤 몬스터들은 대부분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있기에 쉽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그래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번개족 1링크 몬스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으로 너무 쉬운 특수 소환 조건과 강력한 효과 때문에 번개족의 가능성을 막아버린 카드라며 싫어하는 의견도 있다. 썬더 드래곤 입장에서도 어차피 썬드 안 쓰는 덱에서는 1장 이상 안 쓰는데 에이스 카드가 용병 카드로 채용되는 탓에 제재를 받은 것 또한 별로 마땅찮은 일이기도 하다.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몬스터들이 효과가 아닌 룰 특수 소환으로 나오게끔 설계된 것도 초뇌룡을 쓰기 힘들게 만들기 위한 것으로 보여서, 스프의 사기성에 일조한 원흉 중 하나로 지목된 건 덤이다.] 제외를 자주 사용하는 덱이라면 번개족과 연이 아예 없더라도 [[네메시스(유희왕)|네메시스 코리도]]를 발동해서 바로 초뇌룡의 소환으로 연계할 수도 있다. 이 네메시스 코리도를 서치할 수 있는 [[루이 큐피트]]는 소환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굳이 썬더 드래곤 덱이 아니더라도 루이 큐피트를 소환할 수 있다면 채용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상대가 드로우 외의 방법으로 덱에서 패에 넣지 못하게 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즉 '''상대의''' 드로우 이외의 서치 수단을 아예 막아버린다. 초뇌룡의 핵심 효과로, 이 효과로 인해 상대방은 서치를 통해 전개하는 수단이 막혀 버린다. 현재도 수많은 덱은 서치를 통해 아드를 벌고 있기 때문에 이를 막는 초뇌룡의 효과는 매우 강력하다. 비슷한 효과를 가진 [[번개왕]]이랑 달리 이 카드는 스탯이 높은 데다 자신의 서치는 안 막고, 2번 효과로 생존력도 갖춰지기 때문에 더욱 강력한 효과다. 다만 썬더 드래곤 덱도 패에서 버리는 효과나 뇌전룡의 유언 효과 등이 서치라, 썬드 미러전에선 먼저 세워두면 초동 승리하기도 하는 등 자기가 자기 덱의 가장 큰 카운터 역할을 한다. 다만 [[오르페골]] 등 서치가 아니라 덤핑을 주 아드 벌이 수단으로 삼는 덱에게는 당연히 약할 수밖에 없다. ②의 효과는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 묘지의 번개족 1장을 제외해 파괴를 회피할 수 있는 내성이 적용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물론 파괴 외엔 얄짤없으니 주의해야겠지만, 그래도 이런 성가신 효과를 가진 몬스터가 파괴 내성으로 필드에 버티고 있단 것만으로도 상대 입장에선 곤란할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제외를 막는 효과(ex.카오스 헌터)가 필드에 깔려있다면 파괴내성을 쓸 수 없으니 유의.] 손쉽게 필드에 나와 파괴 내성을 가지고 상대의 행동을 제한하는 융합 몬스터라는 점이 [[엘섀도르 미도라시]]와 비슷하여 썬더 드래곤의 강세에 큰 역할을 했고 결국 2019년 7월에 OCG에서 뇌조룡과 함께 제한 카드가 됐다. TCG에선 [[드래곤 링크]]와 결합한 썬더드래곤에서 너무 강세를 보인 나머지 2020년 1월 20일에 금지.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썬더 드래곤이 대량 지원받았을 때 당연히 밸런스 문제로 미출시됐으나, 태그 이벤트에서 썬더 드래곤 테마를 쓰던 극장판 모크바가 CPU 전용으로 사용한다.[* 태그 이벤트에서 태그로 CPU가 배치되고 CPU의 덱은 수정은 못해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게 가능하나, 극장판 캐릭터들은 아직 태그 가능한 캐릭터 목록에 있지 않아 플레이어가 이 초뇌룡을 써보는 건 컨트롤 탈취 계열을 쓰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단, 처음부터 덱에 배치된 게 아닌, 라이프가 3000 이하일 때[* 듀얼링크스의 태그 듀얼에서 초기 라이프는 6000.] CPU 전용 스킬이 발동되어 엑스트라 덱에 추가된다.[* 다른 CPU 전용 스킬들은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줄 때 필드에 놓는 형식인 반면, 이것만 다르다. 아마 소환 조건이 매우 쉬워서 그런 모양.] 즉, 오프처럼 초기부터 초뇌룡을 띄워 전개를 틀어막는 악랄한 짓은 못하니 그다지 흉악하지 않다. == 기타 ==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초뇌룡 - 썬더 드래곤 소환 연출.gif|width=8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전용 소환 연출이 적용되었다. [[파일:ThunderDragonColossus-JP-Manga-OS-NC.png|width=500]]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사이킥 텐도]]가 사용. 작중에서는 [[유사 쇼마]]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뇌수룡-썬더 드래곤|뇌수룡-썬더 드래곤]]을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되었다. 쇼마의 [[갓피닉스 기어프리드]]의 ②의 효과로 장착 카드가 되어버린 후 ③의 효과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졌으나 다음 텐도의 턴에 [[썬더 드래곤 퓨전]]으로 [[뇌신룡-썬더 드래곤]]의 융합 소재가 되면서 엑스트라 덱으로 돌아갔고, 그 후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뇌원룡-썬더 드래곤|뇌원룡-썬더 드래곤]]을 릴리스하고 다시 특수 소환한 다음 3장째 뇌신룡의 특수 소환을 위해 제외되었다. 이후 [[스트롱 쥬큐]]와의 듀얼 중 사용되었으며,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네메시스(유희왕)#네메시스 코리도|네메시스 코리도]]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후 쥬큐에게 직접 공격을 날렸다. 다음 턴 쥬큐의 [[B·F#B·F-독침의 니들|B·F-독침의 니들]]의 ①의 효과를 막긴 했으나 ②의 효과로 자신의 효과가 무효화되어버렸고,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마이티 넵튠|비틀트루퍼 마이티 넵튠]]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저지먼트 웨이브([ruby(裁きの超雷波, ruby=ジャッジメント・ウェーブ)])'. [[두개의 입을 가진 다크룰러]]의 [[팔레트 스왑]]이었던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과는 달리 이쪽은 확실히 원본인 [[썬더 드래곤]]의 강화판다운 모습으로 디자인되었다. 다만 여태까지와는 달리 어둠 속성으로 바뀌었는데 아무래도 원조 썬더 드래곤보단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뇌전룡-썬더 드래곤|뇌전룡-썬더 드래곤]]의 강화형인 듯.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18-07-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OFU-JP036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20th SE)] || ||<(> 2018-10-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OFU-EN036 | '''[[소울 퓨전|SOUL FU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12-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09-EN001 | OTS TOURNAMENT PACK 1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9-EN183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10-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OFU-KR036 | '''[[소울 퓨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썬더 드래곤(유희왕)|썬더 드래곤]] ==== === 효과 관련 카드 === ==== [[번개왕]] ==== ==== [[미스테이크(유희왕)|미스테이크]] ==== ==== [[덱 로크]]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version=430, paragraph=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