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c96f2f7be241e6d4f27ff4aae61d514575e3ed51b0560b315956bec93d6ffd6d.jpg]] [목차] == 개요 == [[1997년]] 1월 18일에 개봉한 [[학원물]]을 가장한 [[판타지]] 영화. 감독은 [[문화방송|MBC]] 드라마국 프로듀서인 이진석이다.[* [[별은 내가슴에]],[[사랑을 그대 품안에]] 을 연출하기도 했다] 제작 당시 일본 원작의 판권을 구입하지 않았다가 개봉 직전에 논란이 돼서 뒤늦게 판권을 구입했다. 원작은 야마나카 히사시의 창작동화 《내가 그 녀석이고 그 녀석이 나이고》(おれがあいつであいつがおれで)[* 한국에서는 2006년 사계절출판사를 통해 번역되었다.]를 토대로 [[1982년]]에 영화화한 [[https://ja.wikipedia.org/wiki/%E8%BB%A2%E6%A0%A1%E7%94%9F_(%E6%98%A0%E7%94%BB)|전학생]](轉校生)[* 일명 '오노미치 전학생'이라고 불리는 작품이다.]이다. 원작은 초등학생용 창작동화라 주인공도 초등학생으로 설정되었지만 일본판 영화는 중학생, 그리고 한국판 영화에서는 고등학생으로 바뀌었다. 전형적인 [[양아치]] [[고딩]]인 강대호와 전형적인 [[모범생]]인 고은비가 어느 날 갑자기 [[벼락]]을 맞고 [[몸 바꾸기|서로의 몸이 뒤바뀌게 되는데]] 그에 따르는 각종 해프닝을 코믹하게 그리고 있다. [[21세기]] 들어서 흔히 다뤄지는 소재지만, 영화가 개봉될 당시의 [[대한민국]]에서는 꽤나 신선했던 소재였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았다.[* 마지막에는 다시 벼락을 맞아, 고은비와 강대호가 원래 몸으로 돌아오지만... 마지막에 미술 교사와 학생 주임의 몸이 바뀌면서 끝이 난다. 다만 이런 설정을 이전에 무단으로 인용했는지 [[1980년대]]에 [[KBS 2TV|KBS]]에서 방영한 코미디 드라마 단막극에서 [[이홍렬]]과 [[이휘재]]이 아버지와 아들로 각자 나와 각자 몸이 뒤바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바 있다.] 특히 MBC [[드라마]] [[PD(방송)|PD]] 출신인 이진석 감독에 의해 적극적으로 도입된 청소년 드라마의 기본 구성 방식과 그에 따른 드라마 스타들의 대거 기용[* 강대호 역의 [[정준(배우)|정준]]과 고은비 역의 [[김소연]]은 이 작품이 영화 데뷔작이며, 작중 미술 선생님으로 나오는 [[이승연]]의 경우 [[피아노(동음이의어)|피아노]] 이래로 영화계에 발을 끊었다가 이 작품으로 복귀했다. 실제로 [[이경영(1960)|이경영]]을 제외하고 출연자들 중 스스로를 영화배우라고 소개하는 사람은 그 당시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거의 대부분을 드라마 기준 인지도를 보고 기용했다. ~~카메오 역할로 잠시 얼굴만 내비친 [[박중훈]]과 [[김혜수]]는 논외로 하자.~~] 작전 덕분에 영화에 큰 관심이 없던 관객층, 특히 [[청소년]] 계층을 끌어들이는 데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제목인 [[체인지]]라는 직설적인 단어로 만들어진 것도 당시 청소년 드라마의 스타일을 따라한 것. --[[성전환|TS]]라든지 [[몸 바꾸기]]라든지 전문용어(?) 써 봤자 애들 안 오니까-- 개봉 당시 서울에서만 관객수 16만여 명을 기록하며 그럭저럭 흥행했다. == 등장 인물 == === 주인공 === * 강대호 - [[정준(배우)|정준]] * 고은비 - [[김소연]] === 주인공의 가족들 === * 대호의 아버지 - [[임현식]] * 대호의 어머니 - [[박원숙]] * 대호의 형 - [[김민종]] * 은비의 아버지 - [[유인촌]] * 은비의 어머니 - [[박정수(배우)|박정수]] === 학교 주변인물 === * 학생 주임 - [[이경영(1960)|이경영]] * 미술 교사 - [[이승연]] * 대호 담임 - 이근희 * 영어 교사 - [[조형기]] * 교장 선생님 - [[오지명]] * 태수 - [[이종수(영화배우)|이종수]] * 진섭 - [[김동현]][* [[김혜수]]의 친동생.] * 재우 - [[장성원(배우)|장성원]][* [[장나라]]의 친오빠다.] * 부두목[* 매번 등장 할 때마다 이상한 영어대사를 하는게 개그포인트.] - [[권해효]] === 특별 출연 === * 전기 수리공 - [[박중훈]] * 지하철 여자 승객 - [[김혜수]] * 약사 - [[변우민]] * 카페 주인 - [[이정섭(배우)|이정섭]] == 여담 == * 이 영화의 배경으로 나온 학교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 832번(상일동)에 위치한 [[한영고등학교(서울)|한영고등학교]]로 해당 학교는 [[일제강점기]]였던 1933년에 개교했다.[* 개교 당시에는 [[중구(서울)|중구]] [[삼각동(서울)|삼각동]](당시 행정구역상 [[경성부]] 명치정)에 있었으며 이후 [[미군정]] 시기였던 1947년에 [[성동구]] [[마장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가 1983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다만, 엔딩 스텝롤에서는 한영중학교로 나왔는데 두 학교 모두 같은 학교법인(동원학원)이 운영하고 있고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기에 틀린 건 아니다.[* 강대호의 몸을 갖게 된 고은비가 강대호의 학생증을 보는 장면을 보면 중을 고로 고친 흔적이 보이는데, 그게 원래 한영중학교의 학생증이었다는 증거이다.][* 다만,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실제로 촬영이 이루어진 장소]]는 한영외국어고등학교라고 한다([[http://blog.naver.com/leemck2?Redirect=Log&logNo=140177431849|관련 글]]). 해당 학교는 1990년에 개교했다.] * 제작 발표 당시에 고은비 역으로 [[추자현]]과 [[이제니]]가 물망에 올랐으나, 결국 [[김소연]]이 내정되었다.[* 당시 세 배우는 [[MBC]]의 청춘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에 출연중이었으며(김소연과 추자현은 특별 출연.) 추자현은 본명인 추은주로 활동하던 시기였고 이제니는 얼마 뒤 개봉된 [[할렐루야(영화)|할렐루야]]에 카메오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출연하고 그 이후에는 영화에 출연하지 않았다.] * 초반에 강대호가 어머니한테 [[똥침]]을 맞고 황급히 학교로 갔을 때 중간에 [[고덕역]]에서 열차를 타고 가는 장면이 나왔다. 하지만, 학교가 고덕역에서 가까운데도[* 4번 출입구에서 도보로 약 1킬로미터 거리.] 굳이 열차를 이용해야 할 필요가 있었을까? --뛰어가기만 하면 되는데 말이다.[* 뛰어서 갈 수 없었다면 [[서울 버스 3412|21-2번]]을 타고 갔어야 했다.]-- 게다가, 승강장으로 들어온 열차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초저항]])이고 그가 탄 열차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중저항)이다. 거기에 열차가 지상 구간을 달리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이 장면을 연출한 것인지 미스터리하다. --[[성동구]] 마장동에 있었던 구 교사로 가려다 상일동으로 돌아온 것 같다. 하지만, 5호선만 이용하면 될 걸 어떻게 1호선으로 갈아타고 갈 수 있었지?-- 게다가, 고덕역으로 뛰어가는 장면을 보면 뒤로 [[주공아파트|고덕주공아파트]]가 보인다. [[상일동역]]에서 고덕역 방향으로 뛰어간 것이다. (당시에 있던 주공아파트(재건축으로 인해 현재는 아이파크)가 아니라 공무원 아파트가 맞다.) * 전기 수리공이 입은 [[조끼]] 뒷면에 쓰여진 전화번호가 123국으로 시작하는데, 123은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 관련 민원을 받기 위해 운영 중인 번호이다. 참고로, 가정과 사업장 등에서 쓰이는 전화번호의 국번은 무조건 200부터 999까지와 2000번부터 3999번까지로 시작한다. * 학생 주임 선생님이 미술 선생님에게 무언가를 주는데, 대화 내용을 들어보니 그것은 [[정액(체액)|설마?]] 혹시, 학생 주임 선생님이 미술 선생님한테 [[임신|검열]][[성추행|삭제]]를??? * 강대호가 고은비를 데리고 간 일송약국은 [[송파구]] 오금동 장한빌딩에 있었으며([[http://me2.do/FNrANBdv|위치]]), 학교와는 직선 거리로 5킬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다. 지금은 이미 오래 전에 인근의 삼광빌딩으로 옮긴 상태이며([[방이역]]과 가깝다.), 이름도 오금중앙약국으로 바뀐 것은 물론([[http://me2.do/x96CT6Et|위치]]) 전화번호도 국번만 바뀐 상태이다. 오래 전부터 영화 촬영 이외에도 생식 판매로 유명했다는 듯([[http://yakup.co.kr/pharmplus/index.html?mode=view&pmode=&cat=&cat2=&nid=3000001290&num_start=3465&csearch_word=&csearch_type=plus|기사 보기]]). 옆에 있던 글사랑방도 이미 오래 전에 약국과는 한 블럭 떨어진 곳으로 옮겼다가([[http://me2.do/58SYrED0|위치]]) [[2013년]]경에 폐업했다. 그 옆에 있는 호프집과 맞은편에 보이는 상점들 모두 지금은 문을 닫았고 다른 업소들이 입점했다[* 현재 약국 자리에는 [[뚜레쥬르]] 매장이 자리를 잡고 있다.]. 둘이 약국에서 나와 동급생들을 따돌리고 [[고덕역]]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어떻게 두 주인공과 동급생 3명이 어떻게 학교 근처에 있는 약국이 아닌 송파구에 있는 약국으로 이동했는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대중교통으로 이동할 경우 30분 넘게 걸린다.]. * 그리고 거기에서 고은비가 사려고 했던 물건은 바로 [[https://www.adic.co.kr/ads/list/showTvAd.do?ukey=70451|이 거]]. 특이하게도 [[남자]] [[성우]]가 내레이션을 했다[* 참고로, 당시에는 여성용품의 [[광고]]가 텔레비전에서 방송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놓고 [[PC통신]] 상에서 [[네티즌]]들의 갑론을박이 분분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1700209137004&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9-17&officeId=00020&pageNo=37&printNo=23314&publishType=00010|기사]]).]. * 강대호와 고은비가 밴드부 동료들과 일진들이랑 함께 찾은 음반 매장은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강남역]] 근처에서 운영했던 [[타워 레코드]] 매장이었다. * 극중에서 고은비의 아버지가 타고 다닌 차는 [[볼보]] [[볼보 740|760]]이다. * 중반에 미술 선생님이 고은비를 미술실로 불러놓고 상담을 하는 장면은 실제로 미술학원에서 촬영하였다고 한다. * 클래식의 밤 행사에서 재우가 연주한 음악은 [[쇼팽]]의 발라드 제3번이다([[https://m.youtube.com/watch?v=nLNEjs4-oN4|듣기]]). * 이 영화에서 [[박광정]]이 주차단속요원으로 나온 것으로 [[엔딩 크레딧]]에 기록되었지만, 어떤 연유인지 몰라도 그가 나온 장면이 모두 통편집되어 실제 상영작에서는 그의 모습을 볼 수 없다. * 영화가 개봉되고 난 뒤에 OST도 나왔다. 동명의 OST는 [[박지윤(가수)|박지윤]]이 [[https://www.youtube.com/watch?v=s62yNzE8zkA|리메이크]]하기도 했다. 하지만, 고은비가 축제 무대에서 부른 첫 번째 노래는 실리지 않았다. 홍보를 위해서 주연인 김소연이 직접 노래를 부르기도 했는데, 이 때 심각한 사건이 터졌다. 자세한 내용은 [[김소연]] 문서 참조. * [[김혜수]], [[김동현]]이 같이 나온 영화. 다만 누나인 김혜수는 초반 단역으로 출연한 게 다이다. * 학생주임([[이경영(1960)|이경영]])과 미술 선생님([[이승연]])이 극장에 영화를 보러가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 두 사람이 보는 영화는 [[샤론 스톤]], [[이자벨 아자니]] 주연의 [[디아볼릭]]이다. 참고로 [[1996년]]에 제작된 스릴러 영화로 [[1955년]]작의 리메이크다. 국내 개봉일은 1996년 [[5월 11일]]이다. * 고은비 역의 김소연과 교장 선생님 역의 [[오지명]]은 이 영화 개봉 후 이듬해에 [[SBS]]의 일일시트콤 [[순풍산부인과]]로 재회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체인지, version=22, paragraph=2)] [[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분류:한국의 판타지 영화]][[분류:해외 영화 원작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