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rd1=Chain Lightning(매직 더 개더링))] [목차] == 개요 == * [[http://www.d20srd.org/srd/spells/chainLightning.htm|Chain Lightning]]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위저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위저드]]/[[소서러(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소서러]] 6레벨, [[공기]] 도메인의 [[클레릭(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클레릭]] 6레벨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마법|주문]]. 말 그대로 [[번개]]가 [[사슬]]([[체인]])처럼 연쇄된다는 뜻이다. 직역할 경우 대체로 '연쇄 번개', '연쇄 전격' 정도로 번역된다. == 특징 == [[라이트닝 볼트(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라이트닝 볼트]]의 상위 주문에 가깝지만 활용 방법은 상당히 다르다. 우선 라이트닝 볼트와 달리 [[금속]]을 녹이는 데 쓸 수는 없다.[* 정확히는 금속을 뚫을 수 있는 룰상 언급이 없다.] 왜냐면 라이트닝 볼트와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인데, 일직선 '범위' 주문인 라이트닝 볼트와 달리 이 기술은 철저하게 대상을 지정해 사용하는 주문이다. 가장 가까운 타겟을 찾아서 확산되는 다른 매체의 체인 라이트닝과 달리 이 주문은 범위 안의 타겟을 지정해서 확산되기 때문에 착각하기 쉽지만, 이 주문은 번개가 튀는 '경로'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때문에 이 주문은 원론적으로 광역기가 아니며, 일직선으로 많은 대상을 지정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라이트닝 볼트가 더 유용한 상황도 여전히 존재한다. 룰을 꼼꼼히 읽지 않으면 라이트닝 볼트의 완전 상위호환이라고 여길 수 있다. 대상에게 캐스터 레벨당 1d6 전기 피해를 주며, 20d6이 최대 피해다. 사정거리는 Long(400+캐스터 레벨당 40피트). 반사 [[내성굴림]]에 성공시 피해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첫번째 목표에게 체인 라이트닝을 명중시킨 직후 캐스터 레벨당 한 개체씩 30피트 내의 다른 대상(최대 20개체까지)에게 '''체인, 즉 연쇄가 가능하다'''. 연쇄로 맞은 적들은 첫번째 적이 받은 피해의 절반을 받는다. 제한적인 광역 공격의 역할을 하면서 원하는 목표만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는 것이다. 한 대상이 연쇄를 두 번 이상 맞는 경우는 없다. [[Dungeons & Dragons 5th|5판]]에선 사정거리 150피트 고정, 첫 목표와 연쇄 대상 사이거리 30피트 고정, 기본위력 10d8 고정([[덱스테리티|DEX]] [[내성굴림]]으로 절반 대미지)에 연쇄는 기본 3개체로 고정되게 조정되어 있다(플테판의 눈물나던 성능에서 미묘하게 좋아진 점이 많다). 여기에 상위 슬롯을 사용하면 본체가 아니라 연쇄 개수가 하나씩 늘어나 9렙 슬롯으론 메인 타겟 외에 덤으로 최대 6마리까지 맞출 수 있다. 참고로 이번 판본에선 대미지는 메인 타겟이든 연쇄 타겟이든 똑같이 받는다. [[초능력(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초능력]] 버전에서는 체인되는 초능력 자체가 따로 존재하진 않고 [[http://www.d20srd.org/srd/psionic/psionicFeats.htm#chainPower|체인 파워]]라는 [[메타매직|메타사이오닉]] 효과가 존재한다. == 다른 창작물 == 후세의 판타지 창작물에 큰 영향을 남긴 D&D 초기부터 등장한 마법이기 때문에 그 후의 많은 창작물에 영향을 끼쳤다. 아래 여러 작품에 나오는 [[전기]]를 다루는 초능력 또는 마법 중에 체인 라이트닝과 비슷한 효과를 가진 것이 많다. 게임에 따라 다른데 어떤 게임은 최초 타겟은 온전한 피해를 받지만 전이된 번개를 맞은 적에겐 대미지가 감소한다. 첫번째 타겟은 100%, 두번째 타겟은 90% 식으로 감소한다. == 체인 라이트닝이 등장하는 작품 == * [[네버윈터 나이츠]], [[네버윈터 나이츠 2]] * [[노바 1492 AR]] - 스콜피온 - 체인 라이트닝 * [[던전 앤 파이터]] - [[마도학자]] - 고출력 매직 미사일 , [[엘레멘탈 바머]] - 체인 라이트닝 * [[데스티니2]] - 줄타기 곡예사 * [[도타 2]] - [[제우스(도타 2)|제우스]] - 연쇄 번개 * [[드래곤네스트]] - [[프리스트(드래곤네스트)|프리스트]] - [[프리스트(드래곤네스트)#s-2.1.2|체인 라이트닝]] * [[드래곤 라자]] - [[이루릴]] * [[디아블로 2]] - [[소서리스(디아블로 2)|소서리스]] - [[소서리스(디아블로 2)#s-3.2.4|체인 라이트닝]] * [[로스트사가]] - [[라이트닝메이지]] * [[리그 오브 레전드]] - [[볼리베어]] - 무자비한 폭풍, [[제리]] - 번개방출, 스태틱의 단검 * --[[마음의 소리]] - 조철왕--[* 학교 다닐 때 썼다고 한다.] * [[메이플스토리]] - [[아크메이지(썬,콜)]] - [[아크메이지(썬,콜)#s-4.4.2|체인 라이트닝]] * [[메이플스토리2]] - [[위자드(메이플스토리2)|위자드]] - 체인 라이트닝 * [[브롤스타즈]] - [[제시(브롤스타즈)|제시]], [[벨(브롤스타즈)|벨]] * [[사이퍼즈]] - [[전격의 윌라드]] - [[전격의 윌라드#s-5.3|번개 사슬(체인 라이트닝)]] * 스타크래프트 - [[뮤탈리스크]] * [[스타크래프트 2]] - [[사라 케리건]][* 특성 선택 시 공격이 체인 라이트닝처럼 변한다.], [[파멸자]] * [[R-TYPE 시리즈]] - [[파동포(알타입)#s-2.7|라이트닝 파동포]] [[R-13 계통]]과 [[TL 계통]]에 비슷한 것이 있다. * [[앵그리버드 에픽]] - [[앵그리버드 에픽#s-3.2|위자드(요술사) 척]] - [[앵그리버드 에픽#s-3.2|체인 라이트닝]] *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영웅유닛#s-2.3|오시리스의 아들]],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신화유닛#s-4.4.4|전기해파리]]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파괴마법 전문가 등급 - 체인 라이트닝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선견자|파시어]]와 플레이어 [[와우 주술사|주술사]] - 연쇄 번개 * [[원신]] - [[북두(원신)|북두]] - 작뢰 * [[엘소드]] - [[아이샤(엘소드)/엘리멘탈 마스터|엘리멘탈 마스터]] - 체인 라이트닝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 [[테슬라 보병]], [[테슬라 탱크]] * [[클래시 오브 클랜]] - [[일렉트로 드래곤]]의 공격 방식,[* 2018년 10월 경 클래시 로얄에서도 등장했으며 공격 방식은 동일.] [[로얄 챔피언]]의 특수 능력인 [[로얄 챔피언#s-3|추적 방패]]의 공격 방식. [[일렉트로 아울]]의 공격 방식 * [[킹덤 언더 파이어]] - [[문라이트(킹덤 언더 파이어)|문라이트]] * --[[호그와트 레거시]] - [[주인공(호그와트 레거시)|주인공]]--[* [[크루시아투스 저주|크루시오]] → [[아바다 케다브라]] 연계 콤보로 사용 가능한, 일명 '체인 아바다 케다브라' 로 적 다수를 동시에 즉사시킬 수 있다. --이쯤되면 [[볼드모트]]는 정말 잡몹...-- ]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3]] - [[솔미르]] - 연속 번개 * ~~ [[데드 스페이스 3]] - [[아이작 클라크]], [[존 카버]]~~[* 3편의 특징인 무기 제작을 통해 '체인 라이트닝 건'을 만들 수 있다.] * [[던전 크롤]] - [[던전 크롤/마법#s-3.4.8|체인 라이트닝]] * [[킹갓캐슬]] - [[킹갓캐슬/캐릭터 정보#s-4.6|쥬피테르]] *[[Warframe]] - [[Warframe/워프레임/볼트#|볼트]] [[분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마법]][[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