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include(틀: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include(틀: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2015년 2월)] [목차] == 타임라인 == * 관련 기사나 링크에서 구체적인 시간이 나와있는 경우만 타임라인에 넣습니다. ||||<#082567>{{{#white 2015년 2월 3일}}}|| ||<#0000FF>{{{#white 13시 00분}}}||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416특별조사위 설립 정상화 촉구 선언이 열림.[[http://www.vop.co.kr/A00000844550.html|#]]|| ||<#0000FF>{{{#white 14시 00분}}}||청해진해운 김한식 대표 등 11명에 대한 항소심이 열림.[[http://news1.kr/articles/?2077299|#]]|| == 상세 == [[광주고등법원]] 제6형사부(부장판사 서경환)는 이날 [[세월호]]를 무리하게 개조하고 과적을 지시해 참사 원인을 제공한 혐의(업무상과실치사상, 업무상과실선박매몰, 선박안전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청해진해운]] 김한식(71) 대표 등 임직원 11명에 대한 항소심 첫 공판준비기일을 진행했다.[[http://news1.kr/articles/?2077299|(뉴스1)]] [[광주지방법원]] 제13형사부(부장판사 임정엽)는 이날 광주지방법원 301호 법정에서 선박안전법 위반 등으로 기소된 세월호 구명뗏목 검사업체인 한국해양안전설비 사장 송모(53)씨에 대해 징역 1년 6월을 선고하고 보석허가를 취소한 뒤 법정구속했다. 또 같은 혐의로 업체 관계자인 조모(48)씨와 이모씨에게 각각 징역1년, 벌금 1,000만원을 판결했다. 조씨는 징역형을 받았으나 보석금을 늦게 납부해 구속은 면했다.[[http://news1.kr/articles/?2077187|(뉴스1)]] 세월호참사 전북도민대책위는 세월호 인양과 진상 규명을 촉구하기 위해 이날부터 7일까지 5일간 유가족 도보행진에 동참한다고 전날 밝혔다. 도보행진은 익산에서부터 시작해 전주, 정읍 등을 거친다.[[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5804|(전북도민일보)]] 세월호 광주시민 대책회의와 세월호 3년상을 치르는 광주시민상주모임은 이날 "오는 8일부터 9일까지 이틀 동안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밝히고 인양을 촉구하는 광주 도보행진을 진행한다"며 시민의 적극적 동참을 요구했다.[[http://www.nocutnews.co.kr/news/4363924|(CBS 노컷뉴스)]] 전국 83개 단체의 각계 인사 185명이 함께 하는 '416특별조사위 설립 정상화 촉구 선언' 참가자 50여명은 이날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프란치스코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16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활동에 대한 새누리당과 정부의 노골적인 방해 행위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철수한 특위 설립준비단 공무원들을 즉각 복귀 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http://www.vop.co.kr/A00000844550.html|(민중의 소리)]] 한편, 설립준비단 관계자에 따르면 준비단은 전날 [[이석태]] 단장(특별조사위 위원장 예정, 희생자가족대표회의 추천), [[조대환]] 부단장(부위원장 예정, [[새누리당]] 추천) 등의 명의로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에 공무원 지원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http://www.vop.co.kr/A00000844513.html|(민중의 소리)]] [[분류: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일지/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