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청자 양각 구름 무늬 대접.jpg|width=500]] [목차] == 개요 == 靑磁陽刻雲文大楪. [[조선]] 전기, 15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한국의 [[조선청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높이 7.9cm, 입지름 18.2cm. 1400년대 중후반에 만들어진 [[조선청자]]로, [[세조(조선)|세조]]의 명으로 1467년 창설된 [[경기도]] [[광주시]]의 왕실관요에서 초창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조선 청자는 15~17세기에 걸쳐 경기도 광주를 중심으로 만들어졌으며, 같은 시기의 [[조선백자]]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특징이 있다. 이 대접의 형태는 15세기 백자나 [[분청사기]] 대접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모습으로, 백태청유자(白胎靑釉磁)에 해당되는 것이다. 흔치 않은 조선시대 청자로 그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 외부 링크 ==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993|국립중앙박물관 : 청자 양각 구름 무늬 대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4371&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청자 양각 구름 무늬 대접]] [[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