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경상북도]]의 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도립공원)] ||<-4>
'''{{{#000 [[경상북도|{{{#000 경상북도의}}}]] [[도립공원|{{{#000 도립공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경상북도 휘장.svg|height=50]]||{{{#000 '''{{{+1 청량산}}}'''[br]淸凉山[br]{{{-1 cheongnyangsa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청량산, 너비=100%, 높이=100%)]}}} || ||<-2> {{{#fff '''위치'''}}} ||<-2> '''[[경상북도]] [[봉화군]]''' || ||<-2> {{{#fff '''높이'''}}} ||<-2> '''870m ''' || ||<-2> {{{#fff '''산맥'''}}} ||<-2> '''[[태백산맥]] ''' || ||<-2> {{{#fff '''좌표'''}}} ||<-2> '''북위 36° 47′ 29″''' '''동경 128° 55′ 37″''' || ||<-2> {{{#fff '''면적'''}}} ||<-2> '''49.509㎢''' || ||<-4> {{{#fff '''청량산 도립공원'''}}} || ||<-2> {{{#fff '''지정일'''}}} ||<-2> '''1982년 8월 21일 ''' || ||<-2> {{{#fff '''관리주체'''}}} ||<-2> [[경상북도]] || ||<-2> {{{#fff '''홈페이지'''}}} ||<-2> [[https://www.bonghwa.go.kr/open.content/mt/|[[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15]]]] || [[파일:ㅊㄹㅅ.jpg]]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높이 870 m의 [[산]].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들이 어우러져 만드는 뛰어난 경관과 2008년에 건설된 하늘다리가 유명한 산이다. 산세가 크지는 않지만 수려한데, 산 봉우리들이 [[바위]]로 되어 있고, V자로 된 계곡 주면에 깎아지른듯한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B%9F%89%EC%82%B0_(%EA%B2%BD%EB%B6%81)|바위 절벽]]이 많기 때문이다. 산에 있는 크고 작은 동굴...라고는 하나 실은 움터 같은 것도 열두개에 이른다. 인근 [[낙동강]]의 버프를 받기에 정상에서의 조망도 좋다. 최고봉인 의상봉(장인봉) 정상에 오르면 굽이쳐 흐르는 낙동강의 멋진 조망을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소금강으로 꼽힐만큼 산세가 수려하다" 라는 평도 있지만, 그건 좀 무리수. 소금강은 이 산 말고 [[오대산]] 소금강이 제대로다. 최고봉인 의상봉을 포함한 12개의 봉우리를 따로 12봉이라 부르는데, 이는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인 [[주세붕]]이 풍기 군수로 있었을 때 지정한 이름이다. 이와 댓구를 이루는 독서대 등의 12대(臺)도 있다.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가 창건한 청량사가 있다. 이 절에는 유리보전(琉璃寶殿)이라는 지방문화재와, 경관이 뛰어난 곳에 자리잡은 응진전(應眞殿), 그리고 닥종이를 붙여 만든 불상, 즉 지불이 있다. 그리고 퇴계 [[이황]]이 수도하며 [[성리학]]을 집대성한 곳이라는 청량정사(淸凉精舍), [[통일신라]]의 서예가 [[김생]](金生)이 글씨 공부를 했다는 김생굴(金生窟), [[신라]] [[최치원]]이 수도한 풍혈대(風穴臺),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고려 침공을 피해 숨어든 오마대(五馬臺) 및 그 때 쌓았다는 청량산성 등이 있다. 가을 단풍으로 인기 있는 산이며, [[단풍]]이 절정인 10월에 많이들 찾는다. 그리고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70 m, 길이 90 m 의 하늘다리도 일품. 이 다리는 선학봉과 자란봉을 연결하는 다리로서 산 중에 설치된 국내에서 가장 크고 높은 곳에 있는 현수교량 (懸垂橋梁) 이다. 높이가 높이니만큼 약간 무서울 수도 있 는데 용기를 내서 한번 건너가 보자. 2013년 4월 21일에 방영된 MBC "[[아빠! 어디가?]]"에도 이 다리가 시원하게 촬영되어 있으니 재방 볼 때 눈여겨 보자. 대중교통으로는 봉화군 농어촌버스 [[봉화군 농어촌버스/10번대|15번, 16번]], 안동시 시내버스 [[안동 버스 512|512번]]을 통해서 갈 수 있다. 산 초입에 청량산 캠핑장이 있다.[[https://www.bonghwa.go.kr/open.content/camp|홈페이지]] 캠핑장 이용객이 아니더라도 캠핑장의 샤워장을 매우 싼 요금(2000원)을 내고 사용할 수 있으니 등산 후 시간이 있으면 개운하게 씻고 가는 것도 좋다. 요금이 싼 만큼 비누나 샴푸, 수건 등은 없다. 근처에 자그마한 박물관도 있는데 크게 볼만한 것은 없다. [[김광석]]의 유골이 이 곳에 뿌러졌다. 정확히는 사후 7년 뒤인 2003년에 뿌려졌으며, 유골이 산속에 뿌려진 관계로 추도식은 서울에 있는 청광사에서 진행한다. 청량산으로 들어가는 진입로에서 지난 20년전 2003년 10월 21일 화요일 오후 3시 50분경 대구 청솔고속관광 [[쌍용 트랜스타]] 96년 2월형 관광버스가 브레이크 파열을 일으키면서 20m 아래 개울로 추락해 18명이 사망한 대참사가 있었다. == [[경기도]]의 산 == 높이는 482.6m. [[남한산]]이 가깝다. [[남한산성]]이 위치해 있다. [[분류:경상북도의 산]][[분류:경기도의 산]][[분류:이름이 같은 산]][[분류:대한민국의 도립공원]][[분류:한국관광100선]] == [[인천]]의 산 == 높이는 172m. 연수구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