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br][[파일:청년정치학교.jpg|width=100%]][br] || ||<-2> {{{#ffffff '''청년정치학교''' }}} || || '''영문명''' ||The Youth Politics Academy || || '''한문명''' ||靑年政治學校 || || '''설립일''' ||[[2017년]] [[7월 19일]] ,,('''청년정치학교'''),, || ||<|2> '''역대 소속 정당''' ||[[바른정당]] ,,(2017년 7월 19일 ~ 2018년 2월 13일),,|| ||[[바른미래당]] ,,(2018년 2월 13일 ~ 2020년 1월 5일),,[* 법인 독립]|| ||<|2> '''역대 정책 연구소''' ||[[바른정책연구소]] ,,(2017년 4월 7일 ~ 2018년 10월 30일),,|| ||[[바른미래연구원]] ,,(2018년 10월 30일 ~ 2020년 1월 3일),,|| || '''소속''' ||사단법인 청정 ,,(2021년 ~ ),,[[https://thechungjung.org/| ]]|| || '''이사장''' ||이윤환 || || '''학교장''' ||[[정병국]] ,,/ 5선 (16-20대),,|| || '''교감''' ||[[김세연(정치인)|김세연]] ,,/ 3선 (18-20대),,||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 21길 20)]}}}[[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 21길 20|| || '''SNS'''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youth_politic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youth.politics.20170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official_youthpolitic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청년정치학교는 [[바른정당]]에서 시작한 청년 정치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예전에는 [[바른정당]] - [[바른미래당]]의 산하기관이었으나, 4기부터는 정당의 산하 기관이 아닌 독립 법인으로 나와 [[새로운보수당]]의 후원을 받았으며, [[국민의힘]]과는 별개의 단체이다. 202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정식 소속은 "사단법인 청정"이다. == 역사 ==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기점으로 [[새누리당]]에서 [[유승민]], [[정병국]], [[김무성]], [[정운천]], [[김세연(정치인)|김세연]] 등 [[비박]]계 대다수가 탈당해서 [[바른정당]]을 창당했다. 당시 정당 [[싱크탱크]]는 [[바른정책연구소]]였다. 이후 [[정병국]] 의원(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청년정치인들과 젊은 당원들을 양성하고 궁극적으로는 시민정치교육을 하기 위해서 만들었다. 총책임자가 [[정병국]] 의원이었고 [[김세연(정치인)|김세연]] 의원, [[원희룡]] 제주도지사, [[남경필]] 경기도지사, [[유승민]] 의원 등 많은 당내 유력인사들의 지원을 받고 강의도 하였다. 이후 신설 합당한 [[바른미래당]]에 흡수되었고 [[새로운보수당]]을 창당할 때도 계속 지속되었는데 당 내 국회의원, 당 내 인사 외에도 여러 인사들이 강의를 진행하였다. 실제로 보수적인 인물 외에도 진보적인 인물도 많이 참여했다. [[김재섭]] 등 이 학교 출신 인물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로 [[유승민]] 의원과 [[정병국]] 청년정치학교장이 졸업생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유세를 지원하기도 했다. [[김재섭]], [[문성호]], [[이효원(정치인)|이효원]], [[임승호]] 등이 [[국민의힘]] 내 청년 [[소장파]]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7인의 광역, 기초의원을 배출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중 [[난세일기]]를 운영하고 있는 [[탈북민]] 청년 [[김금혁]] 역시 청년정치학교 1기, 5기 출신이다. [[2022년]] 청년정치학교 6기부터는 기존 "청년정치학교 총동문회"가 '''"사단법인 청정"'''으로 정식 출범함에 따라 청정 관할하에 두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청년정치대학원 및 청소년 과정 등이 새롭게 신설되었다. 즉, 사단법인 청정이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청년정치학교 외 기타 교육 과정이 있는 것이며, 어느 정당에도 속하지 않은 독립적인 체제를 2020년 이후 계속해서 유지해오고 있다. 2017년 이후 끊임없이 운영함에 따라, 국내 최장 지속 시민정치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강사진 및 커리큘럼 ==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uth_politics&logNo=221774394009|1기 커리큘럼]] (2017)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uth_politics&logNo=221770531163|2기 커리큘럼]] (2018)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uth_politics&logNo=221774459572|3기 커리큘럼]] (2019)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uth_politics&logNo=221774538994|4기 커리큘럼]] (2020) * [[https://blog.naver.com/youth_politics/222205184928|5기 커리큘럼]] (2021) * [[https://blog.naver.com/youth_politics/222630387646|6기 커리큘럼]] (2022) * [[https://m.blog.naver.com/youth_politics/222953397705|7기 커리큘럼]] (2023) * [[https://blog.naver.com/youth_politics/223286072167|8기 커리큘럼]] (2024) [[바른정당]]의 청년조직이자 인재양성기관이었으나 애초에 시민정치교육이 최초의 목적이었기 때문에 여러 강사진들이 수업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념, 정당을 가리지 않고 강사 풀이 넓다. [[정병국]] 청년정치학교장, [[김세연(정치인)|김세연]] 청년정치학교 교감,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신원식]] 의원, [[박형준]] [[부산광역시장]], [[민현주]] 전 의원 등 [[자유보수주의]] 또는 [[보수주의]] 성향의 정치인들도 있지만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진중권은 2021년, 5기에 처음 참여하였다.], [[박용진]] 의원, [[우석훈]] 교수 등과 같은 [[더불어민주당]], [[정의당]]의 [[중도주의]]나 [[중도좌파]], [[좌파]] 성향의 인사들도 많이 초빙된다.[* 주류세력과는 결을 달리하여 소신 있게 의견을 개진하는 [[소장파]]들이 많이 참여한다.] 강원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유승민]]과 [[100분 토론]]에 나온 인물이다.], [[윤평중]] 명예교수, [[신율]] 교수,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손열 교수 등 학술적으로 [[정치외교학과|정치외교학]], [[경제학과|경제학]] 혹은 [[사회학과|사회학]]을 분석하는 강사도 초빙된다. [[반일 종족주의]]의 공동저자인 [[김낙년]] 동국대 교수도 초빙된 적이 있다. 커리큘럼은 정치 및 리더십, 선거 및 국회실무, 한국 사회 이슈, 외교와 안보, 경제 등 다양하며, [[상임위원회]] 참석이나 모의[[국정감사]]와 같은 실습형 과정도 있다. 조별 토론이나 국정과 관련된 모의 정책 제안 등 좋은 세션이 많이 있다. == 세부사항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유승민]] 전 의원과 당내 중진들이 [[더불어민주당]]과 비교하며 인재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면서 '''초심만리[* 초선 국회의원들의 학술모임인데, [[유의동]] 등 중진 국회의원들도 참여한다. [[박수영(정치인)|박수영]] 의원이 대표를 맡고 있다.]''' 외에도 [[보수당(영국)|영국 보수당]]의 '''젊은 보수당'''이나 [[독일 기독교민주연합]]과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의 '''젊은 연합당'''같은 청년조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신청방법 ==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youth_politics|청년정치학교 네이버 블로그]], [[https://www.instagram.com/official_youthpolitics/|인스타그램]], [[https://www.facebook.com/youth.politics.201708/|페이스북]] 등에 지원 공고가 올라오며, 6개월 과정[* 1~4기는 6개월 과정, 5기는 9개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나 6기부터 다시 6개월 과정으로 돌아왔다.]으로 진행된다. 만 39세 이하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고, 약 50명이 정원이다. 지원 방식은 주로 구글 폼 등으로 제출하는 방식이며 각 공고에 상세 안내가 기록되어 있다. 공고는 대개 12월에 올라오며, 1월 중순까지 신청을 받고 있다. == 기수 회장단 == 청년정치학교 1기 - 회장 김경동, 부회장 전지훈, 차연희 청년정치학교 2기 - 회장 이윤환, 부회장 홍순기, 신명근 청년정치학교 3기 - 회장 박민상, 부회장 김홍태 청년정치학교 4기 - 회장 [[지민규]], 부회장 윤여준 청년정치학교 5기 - 회장 이태규, 부회장 방석민 청년정치학교 6기 - 회장 백승우, 부회장 한정민 청년정치학교 7기 - 회장 홍승우, 부회장 장두원 == 총동문회 == 총동문회 회장 - 이윤환(2기) 총동문회 부회장 - 김경동(1기) 총동문회 부회장 - 박민상(3기) == 출신 인물 == * [[김금혁]](1기, 5기) - [[국가보훈부]] 장관정책보좌관, [[채널 A]]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 출연진[* 1기에 입학했었지만, 중도하차 후 5기에재입학하여 졸업했다.] * 김순옥(1기) -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의회 의원 * [[임승호]](1기) - 前 [[국민의힘]] 대변인 * 김기범(2기) - [[노원구]]의회 의원 * [[김재섭]](2기) - 국민의힘 서울 [[도봉구 갑]] [[당협위원장]] * [[이설아(1994)|이설아]](2기) - 세계시민선언 공동대표 * 김홍태(3기) - [[더불어민주당]] 청년지방의정지원단 * 배현주(3기) - [[김해시]]의회 의원 * [[이내훈]](3기) - 前 [[민생당]] 최고위원 * [[이효원(정치인)|이효원]](3기) -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문성호]](4기) - 前 [[국민의힘]] 대변인, [[당당위]] 대표[* [[바른정당]] 시절부터 활동했으며 2020년 청년정치학교 4기를 수료했다.] * [[지민규]](4기) - [[충청남도]]의회 의원, 대한민국 시.도 청년정책협의회 공동대표 * 양정아(5기) - 예술가 * 백승우(6기) - 제1기 국토교통부 청년정책위원 * 장민수(6기) -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청년위원장, [[경기도]]의회 의원 * 정지원(6기) - [[구미시]]의회 의원 [[분류:사단법인]][[분류:학교]][[분류:청년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