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d, #00a44d)" [[대한민국 진보정당|{{{#FFF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2> ''창당'' ||<|2> {{{+1 →}}} ||<|2> {{{#FFFFFF '''청년당'''}}} || {{{+1 →}}} || [[미래당|{{{#51b5a8 우리의미래}}}]] || || {{{+1 →}}} || [[새정치연합|{{{#04ACEC 새정치연합}}}]][br]{{{#!html
(개별 합류)}}} || ||<-2> [[파일:청년당 로고.svg|width=300]] || ||<-2> {{{#FFFFFF '''청년당'''}}} || || '''슬로건''' ||청년자립, 국민행복, 정치개혁|| || '''창당일''' ||[[2012년]] [[3월 15일]]|| || '''해산일''' ||[[2012년]] [[4월 12일]]||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포은로]]2가길 59[br]우제빌딩 3층 ([[합정동(서울)|합정동]])|| ||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47920;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주황색 {{{-2 (#F47920)}}}}}}}}}|| || '''공동대표''' ||강주희, 권완수|| ||<-2> {{{-2 2012.4.12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년당.jpg|width=100%]]}}} || ---- [[2012년]] [[3월 19일]]에 창당된 [[대한민국]]의 신생[[정당]]. 20대와 30대 등 청년층의 [[정치]]조직화를 목표로 창당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창당준비위원회]] 창설을 신고한 게 [[2012년]] [[2월 13일]]이었는데, 한 달 만에 5,000명 당원을 모집하여 5개의 시도당 창당대회와 중앙당 창당대회까지 열어버리는 데 성공하였다. == 당명과 로고 == * [[한국어]]: 청년당 ---- ||<-2> {{{#fff {{{+1 '''청년당의 로고'''}}}}}} || || [[파일:청년당 로고.svg|width=200]] || == 역사 == [[안철수]]나 [[김제동]] 등의 청춘콘서트에 참여하여 실무를 보거나 청춘콘서트를 청강하던 20~30대 사람들이 청년 진보정치를 따르겠다며 창당한 정당이다. 당시에는 진보 성향이었던 안철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친안]]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지만 정당에서 자체적으로 친안철수 정당이 아니라며 선을 긋고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과 세를 같이 하기도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등 [[SNS]]를 통해 세를 규합하였으며, [[2012년]] [[4월 11일]]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후보를 내기로 하였다. 하지만 신생정당이라 지역구에서 당선자를 내고, [[비례대표]] 선거에서 2%의 득표율을 올려서 [[정당]] 해산을 당하지 않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보는 시선이 있었고, 안철수도 당시에는 명확하게 정계 진출을 어떻게 해야될지 구상정도나 하고 있었을 때였기 때문에 안철수의 지원을 제대로 받은 것도 아니었다.[* 당시 안철수와 관계가 있었던 [[윤여준]]과 [[김종인]]은 안철수에게 정계에 진출했을때 먼저 총선에서 제3정당으로써의 세력을 갖추고 그 다음에 대선에 도전하자고 안철수에게 제안했지만 안철수는 이에 대해 머뭇거리다가 총선이 다지나고 나서야 대선 출마 선언을 하며 본격적으로 정치활동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결국 지역구에서 전원 낙선하고, 비례대표에서도 0.3%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치며 한 명의 당선자를 내지 못하고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 이후 이들은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제기하였고, 결국 득표율 2% 미만 정당이 해산된다는 규정은 위헌 결정이 내려져 폐지되었다.] [[2017년]]에 [[미래당|우리미래]]라는 이름으로 재창당하였다. 5년의 세월 사이 안철수가 우클릭을 했기 때문에 안철수 지지 성향은 완전히 사라졌으며 상호교차성 페미니즘계, 신좌파 세력 등이 들어오면서 보다 진보적으로 바뀌었다. 다만 당시 인원들 중 친안 성향이 명확했던 중도성향 당원들은 안철수를 따라 [[새정치연합]]에 합류했고 이후에도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의당(2016년)|구 국민의당]], [[바른미래당]]을 거쳐 [[국민의당(2020년)|신 국민의당]]에 잔류하거나 일부는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주이삭]] 서대문구의원이 이에 해당된다. 안철수를 따라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에 합류했으나 [[국민의힘]]과의 합당 결렬에 반발해 안철수와 결별했다.], [[국민혁명당]][* 19대 총선 당시 비례대표 1번으로 출마했던 [[강연재]]가 해당된다. 안철수를 따라 [[국민의당(2016년)|구 국민의당]]에 합류했으나 20대 총선 이후 [[자유한국당]]으로 건너가 [[친홍]]으로 전향했으며, 후에는 [[사랑제일교회]] [[전광훈]]과 손잡고 [[국민혁명당]] 소속이 되었다.] 등으로 이동한다. == 역대 대표 == [include(틀:청년당 대표)] == 관련 문서 == [include(틀:대한민국의 진보정당(문민정부-이명박 정부))] [[분류:대한민국의 진보정당]][[분류:2012년 정당]][[분류:2012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