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도시 체계)] {{{+1 光州尖端地區/ Gwangju High Tech Comple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첨단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첨단2.jpg|width=100%]]}}} || || '''[[쌍암동(광주)|{{{#373a3c,#ddd 쌍암동}}}]]''' 일대[* (교통방송 부근 상공, 사거리는 [[임방울대로]], 위쪽이 산월동(남쪽))] || '''[[월계동(광주)|{{{#373a3c,#ddd 월계동}}}]]''' 일대[* (쌍암공원 상공, 위쪽(서쪽)이 월계동, 9시방향에서 뻗어나오는 큰 도로가 임방울대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지스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광주과학관.jpg|width=100%]]}}} || || '''[[광주과학기술원|{{{#373a3c,#ddd 광주과학기술원}}}]]'''[br] [* (오룡동, 위쪽(북쪽)은 장성 진원면)] || '''[[국립광주과학관|{{{#373a3c,#ddd 국립광주과학관}}}]]'''과 '''앰코테크놀러지코리아'''[* 왼쪽에 보이는 건물은 광주과학고등학교다.][* (대촌동, 위쪽(북동쪽)은 장성 진원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첨단-힐스테이트리버파크.jpg|width=100%]]}}}|| || 첨단지구의 랜드마크인 '''[[힐스테이트 리버파크|{{{#373a3c,#ddd 힐스테이트 리버파크}}}]]'''[* 잠깐 동안 광주 최고층 건축물이었으며 현재는 두번째로 높은 건축물이다.] || [목차]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 [[쌍암동(광산구)|쌍암동]]과 [[월계동(광산구)|월계동]], [[산월동]] 그리고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광주광역시 북구)|오룡동]], [[대촌동(광주광역시 북구)|대촌동]] 일원에 조성된 [[신도시]]이자 [[산업단지]]이다. [[https://m.map.kakao.com/actions/detailMapView?id=8657400&refService=place|카카오맵 링크]] 지구이름이 일반명사로 쓰이는 그 첨단이다. 이는 원래 이 지구의 정식명칭이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저 명칭은 공식문서에서나 쓰이고 있으며 절대다수의 사람들, 언론사는 물론 심지어 관청에서도 첨단지구로 부르고 있다.[* 이정표에는 첨단산단(High Tech Complex)로 표기되어 있다.] 거주인구는 첨단2지구를 포함하여 약 115,000명[* 광산구 65,000명(첨단1동, 첨단2동), 북구 50,000명(건국동, 신용동)] 정도이며, [[상무지구]](치평동, 인구 30,000명), [[수완지구]](수완동, 인구 80,000명)와 함께 손꼽히는 광주광역시의 대표 신도시 중 하나이다. 동쪽으로 [[영산강]]을 끼고 조성되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서 영산강 건너편 [[북구(광주)|북구]] [[신용동(광주광역시 북구)|신용동]] 일대에 [[첨단2지구]]가 조성되었으며 북구 오룡동, 대촌동과 [[장성군]]과의 경계에는 [[인공지능|AI]] 집적단지로 개발될 ‘[[첨단3지구]]’라는 이름으로 광산구, 북구, 장성군에 걸쳐서 조성되는 대규모 신도시가 예정되어 있다. == 상세 == 첨단지구는 단순한 [[베드타운]] 역할이 아닌 [[산업]], [[연구]], [[교육]], [[주거]], [[사업]], [[문화]] 및 [[복지]] 기능이 복합된 첨단과학산업기지 건설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입주 업체는 주로 생명공학, 정밀화학, 정보산업, 신소재 등의 첨단산업 및 첨단제조업과 광산업, 첨단부품 소재산업, 첨단제조업, 물류업을 위주로 유치하고 있다. 산업시설 외에도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를 필두로 [[국토교통부]] 광주지검청, 광주지방 [[국세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청]], [[조달청]], 광주[[우편집중국]]과 같은 행정 기관들이 밀집해있고[* 행정부 지청 중에서는 병무청(학동) 빼고 다 있다 봐도 좋다.], 교육 시설로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방송통신대학교|방송통신대학교 광주전남지역대학]], [[조선대학교]] 첨단산학캠퍼스, [[광주대학교]] 산학융합캠퍼스, [[남부대학교]]가 있으며 의료 시설은 [[주월동]]에 있던 [[보훈병원|광주보훈병원]]이 이 곳으로 옮겨 왔고 사립 종합병원인 첨단병원도 있다. 이 외에도 [[국립광주과학관]], 광주디자인센터, [[광산구]] 청소년수련관, 첨단사회복지관, 여러가지 연구소 등등 복지시설과 문화, 연구시설들도 들어서 있다. 또한 [[호남고속도로]] [[광산IC|광산 나들목]]과 [[산월IC|산월 나들목]]이 바로 옆에 있고 [[광주제2순환도로]]와 연결되며 [[임방울대로]] 및 [[하남진곡산단로]]가 관통하여 도로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도 2단계 개통예정 구간인, 임방울대로 지하로 첨단지구 중심부들을 관통하여 지날 예정으로, 3개의 지하철역이 생긴다. [[2020년]] 광주시에 건의된 자치구 경계 조정안에 따르면 첨단1,2동(비아, 월계, 쌍암, 산월동)이 현 [[광산구]]에서 [[북구(광주광역시)|북구]]로 편입되게 된다. 이미 첨단의 알짜배기인 [[광주과학기술원]]과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정부청사]], 산업단지 내 앰코, [[삼성전자]] 등은 북구에 소속되어있는데 나머지 인구 70,000명의 첨단 시가지마저 북구로 넘긴다는 새 조정안에 광산구 정치권 및 일부 주민들이 강하게 반대하는 중이다.[* 첨단은 고속도로로 다른 광산구 지역과 단절되어 있어 생활권으로는 북구가 맞으나 광산구가 얻는 부분이 없고 인구 70,000명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격이라 찬성하기는 힘든 측면이 있다.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현 국회의원)때의 광주시와의 앙금이 남아 있는 듯 하다. 역사적으로는 구간 미세조정(쌍암공원-과학기술원간 법정동 맞교환)이 있었으나 현재의 광산구 지역은 과거 비아면 지역으로 광산군 영역이기는 했다. 북구 지역은 지산면 지역이었다.] 현재는 사실상 무산된듯. == 특징 == 첨단지구는 유별나게 5층짜리 저층아파트가 많은데, 그 이유는 바로 [[광주공항]]으로 인한 고도제한 때문이었다. 하지만 첨단지구 조성 이후에는 규제가 완화되었는지, 같은 [[월계동(광주)|월계동]]안에도 15층 높이의 아파트 단지들도 존재하고 [[산월동]]에도 15층 규모의 아파트단지가 생겨났다. 그래도 고도제한이 남아있는지 한동안 15층짜리 아파트들이 첨단 내 가장 높은 건물이었고 이렇다 할 고층건물이 없었으나, 2015년 [[쌍암동(광산구)|쌍암동]]에 29층 높이의 중흥S-클래스 리버시티 주상복합을 시작으로 첨단 스카이라인에 변화가 생기더니 광주우편집중국 뒤편에 있던 모텔촌을 전부 밀고 그 자리에 29층 규모의 [[대라수]], [[중해마루힐]] 주상복합들이 건설되었고 정부청사 앞에도 [[지식산업센터]] [[빌딩]]들이 건설 중이다. 거기에 [[롯데마트]] 건너편에는 최고 '''42층''' 높이의 [[힐스테이트 리버파크]]까지 생기면서 단조롭다 못해 칼로 벤 듯했던 첨단의 [[스카이라인]]이 많이 변하게 되었다. 도시 한가운데에 쌍암제라는 호수가 있으며, 호수 주변에는 쌍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파일:attachment/wkdrhqns.jpg]] [[파일:장고분528.jpg]] 월계동의 번화가인 LC타워와 빌라주택단지 옆에 광주역사민속박물관이 관리하고 있는 지방문화재인 월계동 장고분이 있다. 고대 [[전방후원분]][* [[임나일본부]]설의 떡밥이 되기도 한다지만, 근거가 매우 빈약하다. 전방후원분 항목 참조.] (장고분)이 있어 주변 도로는 직선으로 하지 않고 조금 구부러져 있다. 다른 곳에서 오는 타지 사람들은 주거지와 매우 인접한 문화재 장소와 조화를 이루는 신기한 광경지라 보고있고, 광주의 대학들 중에 지리쪽과 역사 관련된 학과들이 자주 견학하러 오는 곳이기도 하다. 도시 구획은 전형적인 바둑판 형태의 신도시이며 용도별 구분이 상당히 잘 되어있다. 아파트단지 주변에는 학교와 병원 등 필수에 가까운 시설들이 배치되어있고, 중간중간 근린공원과 가볍게 산책하기 좋은 가로공원이 있어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업지역이 주거지역과 구분이 확실하면서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어 접근성도 나쁘지 않다. 여기에 산업단지는 다른 동네라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주거·상업지역과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서로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도 전혀 없다. 반면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상무지구]]의 경우 각종 시설의 위치 선정에서부터 잡음이 많았었는데, [[광주공항]]에서 비롯되는 전투기 소음이 가장 심각한 치평동 서쪽에 학교를 배치하는 바람에 중간중간 들려오는 어마어마한 소음으로 수업 진행에 차질을 빚고 있고[* 오죽하면 주민들이 [[국방부]]를 상대로 소송을 냈고 보상금까지 받아냈다.], 폐기물처리시설인 상무소각장을 아파트단지와 불과 300m도 안 되는 거리에 지어놓아서 많은 주민들을 분노하게 했었다.[* 그나마 소각장은 2016년에 가동이 중단되었다.] == 상권 == [[충장로(광주)|충장로]], [[상무지구]]와 더불어 광주의 3대 중심상업지역으로 다양한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다. 초창기 첨단지구의 상권은 유흥업을 위주로 형성되었는데, 그러한 이유는 첨단지구의 상권형성시기에는 첨단지구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었고[* 지금은 첨단지구 옆으로 수완지구가 개발되었고 영산강 건너에 첨단2지구도 개발되면서 광산구 북부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중이지만, 90년대 첨단지구는 그야말로 허허벌판 위에 세워진 신도시라 광주 원도심(동,남,북구)에서 살던 사람들이 첨단지구 입주를 엄청나게 꺼렸다. 그 당시 첨단지구에 입주하는 사람들은 주로 하남공단에 근무하면서 직장 근처에서 출퇴근하려는 사람들 혹은 비아면에 오래 거주했던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1997년 조성당시 삼성전자에서 광주공장으로 일부 이전하면서 수원에서 내려온 사람들도 꽤 많았다.] 주 고객층이 첨단산단 및 주변 공단에서 일하는 사람들로, 업무 끝나고 술 한잔 하러 오는 사람들을 상대로 장사하는 가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술을 겸하는 식당, 노래주점, 룸소주방, 헌팅포차 등 유흥 쪽으로는 상무지구에도 뒤지지는 않는 유흥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첨단지구에 거주하는 인구도 크게 늘고 최근에는 상가들을 크게 재건축하고 있으며 오피스텔과 주상복합들이 계속 들어서고 있어서 더욱 커지고 있다. --[[광주과고]] 학생들이 좋아한다.-- [[쌍암동(광산구)|쌍암동]]에 [[메가박스]](구 폭스존시네마)와 [[CGV 광주첨단]]이 있으며, [[월계동(광주)|월계동]]에 [[롯데시네마]]도 새로 들어설 예정이다. 월계동 아파트단지 부근에는 LC타워와 --[[롯데슈퍼]]--[* 원래 지역업체인 빅마트 첨단점이었으나 부도로 [[롯데]]에서 인수했고 2019년부터는 [[롯데시네마]]와 [[롯데슈퍼]]를 포함한 [[힐스테이트 첨단|주상복합]]으로 재건축에 들어가서 현재는 휴업하였다.]도 있다. 쌍암동에는 [[롯데마트]]가 20년째 터줏대감처럼 자리 잡고 있는데 단층 매장이라 첨단의 인구를 생각하면 매장이 협소에 이용에 아쉬움이 많다. 2021년 11월에는 리뉴얼을 거쳤다. 첨단지구대와 엠파이어관광호텔이 있는 [[임방울대로]] 800번길에 상권이 가장 활성화 되어있으며 최근 아크레타 첨단이 신축되었다. 최근 [[시너지타워]]라는 부동산 개발회사에서 첨단 중심상업지구인 [[쌍암동(광산구)|쌍암동]] 일대에 큰 상가를 연달아 짓고 입점업체를 직접 엄선하면서 새로운 상권을 형성 중인데 '''‘시리단길’'''[* 시너지 + -리단길]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만큼 지역 내 반응이 상당히 좋다. [[임방울대로]] 826번길, [[첨단강변로]] 99번길에 들어선 [[시너지타워|더 시너지]]와 [[시너지타워|포플레이]]가 새로운 번화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인근에 보이저 첨단도 신축되었다.[* 여느 상가밀집지역들이 그렇듯 신축 건물들의 주차장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여 왕복4차선 도로의 양쪽을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24시간 점유하고 있으며, 야간에는 손님을 태우기 위해 대기중인 택시들이 이중주차를 하고있어서 사실상 1개 차선만이 가용할 정도이다.] 이외에도 여러곳에서 추가 재건축이 계획 및 진행중으로 이쪽 상권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마디로 쌍암동(동쪽)이 특히 천지개벽 수준으로 바뀌고 있다 보면 된다. 이런 큰 상권덕에 [[광산구]] 전체는 물론 [[북구(광주)|북구]]에서도 멀리 떨어진 [[충장로(광주)|시내]]보다는 이 곳을 많이 찾는다. === 주요 상권 건물 및 공원 === * LC타워 * 엠파이어관광호텔 * '''시리단길'''(시너지타운)[* ㈜시너지타워에서 운영 중인 상업시설들이 모인 곳으로 첨단상권의 부흥을 이끌고 있다.] * [[시너지타워|더 시너지]][* 제24회 광주시 건축상 동상(비주거부문) 수상[[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10141837|#]]] * [[시너지타워|포플레이]][* 제25회 광주시 건축상 동상(비주거부문) 수상[[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10772505|#]]] * [[시너지타워|보이저 첨단]] * --원더풀 시너지-- (건설중) * --시너지 54-- (건설중) * 아크레타 첨단 * 쌍암공원 * [[힐스테이트 첨단]](2024년 4월 예정)[* [[롯데슈퍼]]와 [[롯데시네마]]가 입점할 예정이라 완공 시 첨단 상권에 큰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 첨단 와이어스파크[* 제25회 광주시 건축상 금상(비주거부문) 수상[[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10772505|#]]] * [[CGV 광주첨단]] * 메가박스 첨단 * 어린이교통공원 * 광주시민의숲 == 주거 == 첨단지구는 대부분 아파트단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월계동(광주)|월계동]]과 [[산월동]], 그리고 새로 떠오르는 [[쌍암동(광주)|쌍암동]] [[주상복합]]단지들을 꼽을 수 있다. 월계동은 1990년대 중후반에 입주한 아파트들이며 상술한 것처럼 5층짜리 저층아파트들이 많다. 첨단의 ‘만남의 장소’나 다름없는 LC타워가 가깝고 첨단지구에서 두번째로 넓은 공원인 쌍암공원이 가깝다. 여기에 추후 들어설 [[롯데시네마]]까지 생기면 더욱 살기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5층짜리 단지들이 [[재건축]] 기대감에 시세가 급격히 오르는 중이다. [* 2021년 8월 실거래가 기준 준공 26년차인 첨단라인1차아파트의 경우 평당 약 1600만원에 달한다.] 산월동은 2000년대 초반부터 후반까지 입주한 아파트로 [[부영그룹|부영]]과 [[호반건설]]에서 지었다. 또한 [[보훈병원]]이 여기에 있다. 쌍암동은 첨단의 중심상업지역이라 그동안 아파트가 없었지만 광주에도 [[주상복합]]이 떠오르기 시작하면서 [[롯데마트]] 건너편에는 1,111세대 규모의 [[힐스테이트 리버파크]]가 들어섰고[* 원래 [[홈플러스]]가 대형마트를 지으려 했던 땅이었는데 지역상인들의 반대를 못 이기고 포기했고 이후에 힐스테이트가 들어오게 되었다.] [[우편집중국]] 뒤 모텔촌에도 [[대라수]] 1,2,3,5차와 [[중해마루힐]] 1,2차가 들어섰다. [[메가박스]]가 입점한 폭스존과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가 가깝다. 하지만 상업지역이다보니 이렇다 할 학군이 아예 없어 통학 거리가 상당히 멀다. === 단지 목록 === {{{#!folding 단지목록 [펼치기/접기] || '''단지명''' || '''소재지''' || '''세대수''' || '''입주시기''' || || [[첨단산업기지 라인1차아파트|첨단 라인1차]] || 월계동 || 1050세대 || 1995년 8월 || || 첨단 라인2차 || 월계동 || 299세대 || 1995년 12월 || || 첨단 라인3차 || 월계동 || 240세대 || 1995년 12월 || || 첨단 라인5차 || 월계동 || 327세대 || 1997년 5월 || || 첨단 라인6차 || 월계동 || 200세대 || 1997년 9월 || || 첨단 라인7차 || 월계동 || 200세대 || 1997년 9월 || || 첨단 라인8차 || 월계동 || 299세대 || 1997년 9월 || || 첨단 우미1차 || 월계동 || 200세대 || 1995년 11월 || || 첨단 우미2차 || 월계동 || 220세대 || 1997년 8월 || || 첨단 우미3차 || 월계동 || 360세대 || 1997년 8월 || || 첨단 호반1차 || 월계동 || 310세대 || 1995년 4월 || || 첨단 호반2차 || 월계동 || 590세대 || 1997년 5월 || || 첨단 두산1차 || 월계동 || 600세대 || 1996년 2월 || || 첨단 두산2차 || 월계동 || 298세대 || 1996년 5월 || || 첨단 서라아파트 || 월계동 || 320세대 || 1995년 6월 || || 첨단 남양파크 || 월계동 || 370세대 || 1996년 3월 || || 첨단 기산아파트 || 월계동 || 180세대 || 1996년 5월 || || 첨단 삼능아파트 || 월계동 || 200세대 || 1996년 9월 || || 첨단 삼성아파트 || 월계동 || 150세대 || 1996년 7월 || || 첨단 대주아파트 || 월계동 || 180세대 || 1996년 6월 || || 첨단 동아아파트 || 월계동 || 260세대 || 1997년 6월 || || 첨단 쌍용아파트 || 월계동 || 190세대 || 1996년 11월 || || 첨단 모아미래도 || 월계동 || 280세대 || 2001년 9월 || || 첨단 모아아파트 || 월계동 || 234세대 || 1997년 3월 || || 첨단 동부아파트 || 월계동 || 480세대 || 1997년 6월 || || 첨단 벽산아파트 || 월계동 || 235세대 || 1998년 11월 || || 첨단 금광아파트 || 월계동 || 318세대 || 1997년 3월 || || 첨단 일신아파트 || 월계동 || 334세대 || 1995년 12월 || || 첨단 금호타운 || 월계동 || 569세대 || 1996년 5월 || || [[첨단선경아파트|첨단 선경아파트]] || 월계동 || 552세대 || 1997년 11월 || || 첨단 신동아아파트 || 월계동 || 306세대 || 1996년 11월 || || 첨단 성원아파트 || 월계동 || 324세대 || 1997년 1월 || || 첨단 건영아파트 || 월계동 || 348세대 || 1998년 10월 || || 첨단 대우아파트 || 월계동 || 590세대 || 1997년 12월 || || 광주첨단1차 부영 || 산월동 || 1198세대 || 2003년 11월 || || 광주첨단2차 부영 || 산월동 || 600세대 || 2004년 6월 || || 광주첨단3차 부영 || 산월동 || 492세대 || 2005년 5월 || || 광주첨단 부영그린타운 || 산월동 || 384세대 || 2005년 10월 || || 광주첨단6차 부영사랑으로 || 산월동 || 720세대 || 2006년 11월 || || 광주첨단7차 부영사랑으로 || 산월동 || 644세대 || 2007년 1월 || || 첨단3-1차 호반리젠시빌 || 산월동 || 336세대 || 2003년 10월 || || 첨단3-2차 호반리젠시빌 || 산월동 || 586세대 || 2003년 10월 || || 첨단3-3차 호반리젠시빌 || 산월동 || 700세대 || 2003년 11월 || || 첨단3-5차 호반리젠시빌 || 산월동 || 524세대 || 2003년 12월 || || 첨단 대라수 1차 || 쌍암동 || 300세대 || 2018년 12월 || || 첨단 대라수 2차 || 쌍암동 || 180세대 || 2020년 10월 || || 첨단 대라수 3차 || 쌍암동 || 276세대 || 2019년 11월 || || 첨단 대라수 어썸시티 || 쌍암동 || 291세대 || 2020년 7월 || || 첨단 중해마루힐 1차 || 쌍암동 || 250세대 || 2020년 3월 || || 첨단 중해마루힐 2차 || 쌍암동 || 192세대 || 2023년 5월(예정) || || 첨단 중흥S클래스 리버시티 || 쌍암동 || 406세대 || 2017년 8월 || || 첨단 일신프레뷰 || 쌍암동 || 85세대 || 2020년 7월 || || [[힐스테이트 리버파크]] || 쌍암동 || 1111세대 || 2019년 2월 || || [[힐스테이트 첨단]] || 쌍암동 || 320세대 || 2024년 4월(예정) || || 라펜트힐 || 쌍암동 || 72세대 || 2024년 12월(예정) || || 아델리움57 그리니티 || 오룡동 || 29세대 || 2023년 10월(예정) || || 첨단 아델리움57 || 비아동 || 40세대 || 2021년 8월 || || 금호어울림 더 테라스 || 비아동 || 460세대 || 2019년 4월 || }}} == 교통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로는 [[호남고속도로]] [[북광산IC]][* 나들목의 소재지는 [[장성군]] 남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광주광역시|광주]]에 속한다.], [[광산IC]], [[산월IC]]가 위치하며, 첨단지구 서쪽으로 [[1번 국도]]([[북문대로]])가 다닌다. 또한 [[산월IC]]를 통해 [[광주제2순환도로|제2순환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동쪽으로 이동할때는 [[임방울대로]]의 [[첨단대교]]와, [[첨단교]]를 건너 [[동림동]], [[용두동]], [[양산동(광주 북구)|양산동]]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 도시철도 === 2029년 완전 개통할 --예정인--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첨단지구 중심을 관통하여 3개역에서 정차하는데, 의외로 좋지 않은 첨단지구의 대중교통이 편리하게 바꿔질 예정이다. ==== [[광주 도시철도 2호선|2호선]] ==== * [[응암공원역]](예정) * [[첨단역]](예정) * [[광주과학기술원역]](예정) === 시내버스 === 버스정류장은 대부분 걸어서 5분거리에 있다. 종착지 지역이라 버스 노선은 많은 편이다. 주로 [[유스퀘어]]와 [[충장로(광주)|번화가]]를 가는 주민들은 [[광주 버스 첨단09|첨단09번]]을 많이 이용한다. 허나 [[2019년]] 6월부터 [[광주 버스 수완03|수완03번]] 노선이 첨단지구까지 연장됨으로써, [[유스퀘어]]를 이용할 주민들이 첨단09번 버스보다 더 빨리가는 수완03번 버스로 대부분 바꿔 타버리기 시작했다. --물론 09번은 여전히 미어터진다-- 첨단지구에서 KTX나 일반열차를 이용하려면 그나마 가까운 [[광주송정역]]으로 가면 되는데, 송정역으로 가는 버스는 [[광주 버스 송정33|송정33번]] 뿐이라 주민들 대부분 이 버스를 ~~반강제~~이용 중이다. [[광주 버스 광산720|광산 720번]] 버스도 [[광주송정역]] 근처를 가긴 하지만 [[송정공원역]]까지만 가버려서, 내려서 환승 해야하는 까다로움이 존재한다. ==== 급행버스 ==== * [[광주 버스 첨단09]] * [[광주 버스 수완03]] ==== 간선버스 ==== * [[광주 버스 일곡10]] * [[광주 버스 매월16]] * [[광주 버스 첨단22]] * [[광주 버스 첨단23]] * [[광주 버스 봉선27]] * [[광주 버스 첨단30]] * [[광주 버스 문흥39]] * [[광주 버스 금호46]] * [[광주 버스 운림51]] ==== 지선버스 ==== * [[광주 버스 첨단20]] * [[광주 버스 송정33]] * [[광주 버스 첨단40]] * [[광주 버스 임곡91]] * [[광주 버스 첨단92]] * [[광주 버스 첨단192]] * [[광주 버스 첨단193]] ==== 마을버스 ==== * [[광주 버스 광산720]] * [[광주 버스 북구788]] == 참고 == * [[남부대학교]] * [[광주과학기술원]] *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 [[광산구/행정#3.2|첨단1,2동]] * [[쌍암동(광주)]] * [[월계동(광주)]] * [[산월동]] * [[유노윤호]] * [[승리(인물)]] * [[유빈]] * [[감스트]][* 이 곳 출신이다. 어린 시절 첨단지구에 살았다고 방송에서 밝혔다.] * [[첨단2지구]] * [[첨단3지구]] * [[수완지구]] [[분류:신도시]][[분류:산업단지]][[분류:광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