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드라마, rd1=철인왕후(드라마), other2=해당 드라마의 주인공, rd2=김소용)] [include(틀:역대 조선 왕비)] ---- ||<#bf14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철인왕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조선 대비)] ---- [include(틀:대한제국 추존 황후)]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철종의 왕비[br]{{{+1 철인왕후 | 哲仁王后}}}'''}}}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존호 · 시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3ba6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대한제국 철종의 황후[br]{{{+1 철인장황후 | 哲仁章皇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고종조 대비[br]{{{+1 명순대비 | 明純大妃}}}'''}}}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철종 예릉.jpg|width=100%]]}}} || ||<-2> {{{#ffd400 {{{-2 예릉 전경}}} }}} || ||<|2> '''출생''' ||[[1837년]] [[4월 15일]]^^([[음력]] [[3월 23일]])^^ || ||[[조선]] [[한성부|한성부 북부]] [[효자동(종로구)|순화방]] 김문근 사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종로구)|효자동]] 일대) || ||<|2> '''사망''' ||[[1878년]] [[5월 31일]]^^([[음력]] [[5월 12일]])^^[br]{{{-1 (향년 42세)}}} || ||[[조선]] [[한성부]] [[창경궁 양화당]][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 '''능묘''' ||[[서삼릉#s-2.3|예릉]](睿陵) || ||<|4> '''재위기간''' ||'''{{{#ffd400 조선 왕비}}}''' || ||[[1851년]] [[11월 5일]] ~ [[1864년]] [[1월 4일]] || ||'''{{{#ffd400 조선 대비}}}''' || ||[[1864년]] [[1월 9일]] ~ [[1878년]] [[5월 31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신 안동 김씨]][* 24세손 '병(炳)' 항렬이다.] || || '''부모''' ||부친 영은부원군 [[김문근(조선)|김문근]] (永恩府院君 金汶根, {{{-3 1801 ~ 1863}}}) 모친 흥양부부인 [[여흥 민씨]] (興陽府夫人 驪興 閔氏, {{{-3 ? ~ 1872}}}) || || '''형제자매''' ||{{{#!folding 1남 1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남동생 - 김병필(金炳弼, {{{-3 1839 ~ 1870}}})[* 김문근의 증손자인 서화가 [[https://ko.m.wikipedia.org/wiki/%EA%B9%80%EC%9A%A9%EC%A7%84_(1878%EB%85%84)|김용진]](金容鎭, {{{-3 1878 ~ 1968}}})은 영의정 [[김병국]][* 김문근 본인의 조카]의 장남인 사헌부[[대사헌]] 김정규(金貞圭, {{{-3 1866 ~ 1895}}})에게 입양되었다.] }}} || || '''배우자''' ||[[철종(조선)|철종 장황제]] || || '''자녀''' ||'''슬하 1남''' 아들 - [[이융준]](李隆俊, {{{-3 1858 ~ 1859}}}) || || '''전호''' ||효휘전(孝徽殿) || || '''존호''' ||'''명순'''휘성정원수령[br]('''明純'''徽聖正元粹寧) || || '''휘호''' ||경헌장목(敬獻莊穆) || || '''시호''' ||'''[[조선]]''': '''철인왕후(哲仁王后)''' ---- '''[[대한제국]]''':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제25대 [[조선/왕사|국왕]] [[철종(조선)|철종]]의 [[왕비]]. 본관은 [[장동 김씨|장동]](安東), 시호는 '''명순휘성정원수령경헌장목철인왕후'''(明純徽聖正元粹寧敬獻莊穆哲仁王后). 추후 [[대한제국]] [[고종(대한제국)|고종]] 때에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로 [[추존]]되었다. 그렇지만 사람들한테는 철인왕후(哲仁王后) 김씨 혹은 명순대비(明純大妃)로 잘 알려져 있다. == 생애 == [[장동 김씨|장동 김씨]] [[세도정치|세도 정권]]의 핵심 인물이었던 영은부원군 김문근과 흥양부부인 [[여흥 민씨|민씨]]의 딸로, [[순조]]의 비였던 [[순원왕후|순원왕후 김씨]]와 [[헌종(조선)|헌종]]의 첫번째 비인 [[효현왕후|효현왕후 김씨]]에 이어 세 번째로 '''[[장동 김씨|장동 김씨]]'''로서 [[왕비]]가 된 인물이다. [[순원왕후]]에게는 조카 뻘인 친척.[*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은 [[김수항]]의 아들인 노론4대신 중 한명인 [[김창집]]의 4대손인데, 철인왕후의 아버지인 김문근은 [[김창집]]의 동생인 김창협의 5대손이다.] [[1851년]](철종 2년) 9월 25일, 15살의 나이로 [[왕비]]에 간택되어 [[철종(조선)|철종]]과 [[결혼|가례]]를 올리고 정식으로 [[왕비]]로 책봉되었다. >'''인정전에 나아가 책비례를 행할 때의 교명문''' >---- >'''옥책문(玉冊文)'''에 이르기를, >"관저(關睢, 시경(詩經) 주남의 편명)가 왕도(王道)의 터전이 되었으니 주남(周南)의 교화가 집안과 나라를 다스렸고, >곤상(坤象)이 건원(乾元)에 화협하였으니 주역[羲經]의 점괘에 내외(內外)를 바로잡았다. >이에 어진 보좌(輔佐)의 아름다운 덕은 바로 인륜(人倫)의 시작이다. >이에 이장(彝章, 떳떳한 글)을 상고하여 곧 옥책문(玉冊文)을 선포한다. >그대 [[신 안동 김씨|김씨]]는 충량(忠良)한 '''화벌(華閥)'''의 후예요, 시례(詩禮)의 세가(世家) 명문(名門)이다. >견매(俔妹, 하늘에 비유할 여인상)의 아름다운 명성이 일찍이 드러났고, 성모(聖母)의 휘음(徽音)을 계승하기를 생각하였다. >단아(端雅)하고 근신(謹愼)하며, 유순하고 온공(溫恭)하였다. >자나깨나 좋은 짝을 구하였는데 하늘이 즉위(卽位)의 초두에 짝을 맺어 주었고, >숙덕(淑德)을 간택하여 장추전(長秋殿, 왕비가 거처하는 궁전)에서 '''[[왕비|중궁]](中宮)'''의 자리에 오름이 마땅하였다. >이에 지극히 존엄함에 짝하게 되어 마침내 주량(舟梁)의 예(禮)를 거행하였다. >(중략) >이에 사신(使臣)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정원용(鄭元容)'''과 행 용양위 대호군(行龍驤衛大護軍) '''서좌보(徐左輔)'''를 보내어 >절(節)을 지니고 예(禮)를 갖추어 [[왕비]]로 책봉하노라. 아! 오직 부지런하고 검소함으로 곤위(壼闈)에 임하고, >효경(孝敬)으로 가르침을 받들게 하라. 계명장(鷄鳴章)의 경계를 마음에 새겼으니, 만기(萬機)의 내조(內助)에 힘썼고, >자손(子孫)이 번성하여 후예(後裔)가 천억(千億)으로 늘어나리로다. >방유(芳猷, 아름다운 모책)를 모두가 송축하니, 큰 복록(福祿)이 길이 편안할 것이다. 이에 교시(敎示)하노니, 마땅히 모두들 알지어다." >하였다. >---- >'''《[[철종실록]]》 3권, 철종 2년([[1851년]], 청 함풍(咸豊) 원년) 9월 25일 (정축) 1번째기사''' 본래 그녀가 [[왕비]]가 된 것은 [[신 안동 김씨|안동 김씨]]가 권력을 독점하기 위해 비가 없던 [[철종(조선)|철종]]에게 자기 집안의 사람을 [[왕비]]로 맞아들이도록 해, 당시 조정을 장악하고 자신들의 부를 축적시키기 위한 의도였다. 하지만 단지 [[신 안동 김씨|가문]]의 이해를 위해 [[간택]]되었을 뿐, 정작 왕후 본인은 한 번도 정사에 나서거나 가문을 두둔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없었다. 오히려 말수가 적고 기분의 좋고 나쁨을 얼굴에 잘 드러내지 않았다고 하며 [[대왕대비]] [[신정왕후 조씨|신정왕후]]와 [[왕대비]] [[효정왕후]]를 극진히 모셔 칭송이 자자했다고 한다. 남편 [[철종(조선)|철종]]이 [[1863년]](철종 14년) [[죽음|승하]]한 이후 [[고종(대한제국)|고종]] 때에는 대비(大妃)가 되었으며, 또한 '명순(明純)'이라는 [[존호]]를 받았다. [[1858년]](철종 9년), 남편 [[철종(조선)|철종]]과의 사이에서 외아들 [[원자(왕족)|원자]](元子) [[이융준]]을 소생으로 두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에 급작스런 열병으로 6개월 만에 향년 2세로 [[요절]]했다. [[1878년]](고종 15년) 5월 12일, 42세로 [[창경궁]] [[창경궁 양화당|양화당]]에서 [[폐결핵]]으로 [[사망|승하]]하였다. >'''대비전께서 승하하다''' >---- >대비 전하(大妃殿下)께서 '''[[죽음|승하]](昇遐)'''하였다. >---- >'''《[[고종실록]]》 15권, 고종 15년([[1878년]], 청 광서(光緒) 4년) 5월 12일 (신유) 2번째기사''' >'''대비전의 상사를 발표하는 의식을 명정전에서 거행하도록 하다''' >---- >전교하기를, >"성의와 효성이 부족하여 오늘 인시(寅時, 오전 3시~5시)에 대비전(大妃殿)께서 '''[[창경궁 양화당|양화당]](養和堂)'''에서 [[죽음|승하]](昇遐)하셨으니 끝없는 슬픔을 어디에 비기겠는가?" >하였다. 또 전교하기를, >"궁성을 호위하라." >하였다. 또 전교하기를, >"거애(擧哀, 초상난 것을 발표함) 장소는 '''[[창경궁 명정전|명정전]](明政殿)'''으로 하라." >하였다. >---- >'''《[[고종실록]]》 15권, 고종 15년([[1878년]], 청 광서(光緒) 4년) 5월 12일 (신유) 3번째기사''' [[조선/왕실|조선 왕실]]의 마지막 '[[대비]](大妃)'이다. 철인왕후 다음의 [[왕비]]들인 [[명성황후]]나 [[순명효황후]]는 [[고종(대한제국)|남]][[순종(대한제국)|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으며, 그 다음인 [[순정효황후]]는 [[조선]]의 마지막 [[왕비]]이자 [[대한제국]] 최후의 [[황후]]다. === 사후 ===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고양)|원당동]]에 위치한 [[서삼릉]] 경내에 쌍릉의 형식으로 조성되어 있는 '''[[서삼릉#s-2.3|예릉]](睿陵)'''이다. 추후 [[대한제국]] [[고종(대한제국)|고종]] 때에 이르러 남편 [[철종(조선)|철종]]이 '''철종 장황제(哲宗 章皇帝)'''라는 [[대한제국]] [[황제]]로 [[추존]]됨에 따라, 그녀 역시 철인왕후에서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로 같이 [[추존]]되었다. == 가계 == === 친가([[신 안동 김씨|안동 김씨]]) === * '''고조부: 김성행(金省行)''' * '''증조부: 김이장(金履長)''' * '''조부: 목사(牧使) 김인순(金麟淳)''' * '''조모: 정부인 [[평산 신씨|신씨]](貞夫人 申氏)''' * 백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김수근(金洙根) * 백모: 정부인 [[풍양 조씨|조씨]](貞夫人 趙氏) * '''아버지: 영돈령부사 증 의정부 영의정 영은부원군(領敦寧府事 贈 議政府 領議政 永恩府院君) 김문근(金汶根)''' * '''어머니: 흥양부부인 [[여흥 민씨|민씨]](興陽府夫人 閔氏)''' * 오빠: 좌의정 예조판서 효정공(左議政 禮曹判書 孝貞公) 김병필(金炳弼) === 시가([[조선/왕실|전주 이씨]]) === * '''양시조부: ^^([[추존]])^^[[정조(조선)|정조 선황제]](正祖 宣皇帝) 이산(李祘)''' * '''양시조모: ^^([[추존]])^^[[수빈 박씨|현목수비]] [[반남 박씨|박씨]](顯穆綏妃 朴氏)''' * '''양시아버지: ^^([[추존]])^^[[순조|순조 숙황제]](純祖 肅皇帝) 이공(李玜)''' * '''양시어머니: ^^([[추존]])^^[[순원왕후|순원숙황후]] [[신 안동 김씨|김씨]](純元肅皇后 金氏)''' * '''양시숙: ^^([[추존]])^^[[효명세자|문조 익황제]](文祖 翼皇帝) 이영(李旲)''' * '''양동서: ^^([[추존]])^^[[신정왕후 조씨|신정익황후]] [[풍양 조씨|조씨]](神貞翼皇后 趙氏)''' ==== 배우자 / 자녀 ==== * '''남편: ^^([[추존]])^^[[철종(조선)|철종 장황제]](哲宗 章皇帝) 이원범/이변(李元範/李昪)''' * '''장남: [[원자(왕족)|원자]](元子) [[이융준]](李隆俊) - [[요절]]''' == 여담 == * 철인왕후는 [[조선]]의 [[대비]]들 중 유일하게 [[왕대비]]가 되지 못한 대비였다. 무슨 뜬금없는 [[소리]]냐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원칙적으로 선왕의 정실 부인인 대비(大妃)의 정식 명칭은 '''왕대비(王大妃)'''이다. 하지만 보통 줄여서 대비라고 부르는 것. 따라서 [[인수대비]]([[소혜왕후]]), [[소성대비]]([[인목왕후]])[* 흔히들 [[인목대비]]로 알고 있는데 정식 존호는 소성왕대비이고 '인목'의 [[존호]]는 [[왕비|왕후]]에 붙은 것이다.] 등의 정식 [[존호]]는 인수왕대비, 소성왕대비인 것이다. 그런데 [[조선]] 말기로 오면서 [[순조]], [[헌종(조선)|헌종]]이 젊은 나이에 [[죽음|승하]]하고 [[헌종(조선)|헌종]]이 아버지인 [[효명세자]]를 [[조선/왕사|왕]]으로 [[추존]]하면서 [[조선/왕실|왕실]]에 [[여성]] 웃어른들이 많아졌다. 그래서 [[철종(조선)|철종]] 대에는 선선선대 왕비(순조비 [[순원왕후]]), 선선대 왕비(추존 문조비 [[신정왕후 조씨]]), 선대 왕비(헌종비 [[효정왕후]])가 모두 생존해 있는 상황이 발생하였는데 이렇게 되자 [[대왕대비]] 위 혹은 대비(왕대비) 아래에 새로운 단계를 만들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대비(왕대비) 아래에 '대비'라는 단계를 새로 만들었고 선대 [[왕비]]들의 [[서열]]이 '대왕대비' - '왕대비'의 2단계에서 '대왕대비' - '왕대비' - '대비'의 3단계로 재편된 것이다. 그래서 [[효정왕후]]는 [[정희왕후]], [[소혜왕후]], [[문정왕후]], [[인원왕후]],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 등 이전 [[왕비]]들이 대비(왕대비)로 존봉된 것과는 다르게 '대비'로 존봉받았다. 그런데 [[철종(조선)|철종]] 또한 젊은 나이에 대왕대비([[신정왕후]]), 왕대비([[효정왕후]])보다[* [[효정왕후]]도 처음에는 [[대비]]로 존봉되었지만 당시 [[대왕대비]]였던 [[순원왕후|순원왕후 김씨]]가 [[1857년]](철종 8년)에 [[사망|승하]]하자 [[신정왕후]]와 함께 1단계씩 올라가서 [[왕대비]]로 존봉받았다. 게다가 [[효정왕후]]는 73세의 나이로 [[1903년]](광무 7년)에 [[사망|승하]]하여 [[대한제국]] 수립까지 보고 [[황태후]] 칭호를 들었다. 철인왕후도 생전에 두 대비 중 1명이 [[사망|승하]]했다면 1단계 올라간 [[왕대비]]로 올라갈 수 있었겠지만 [[신정왕후 조씨|신정왕후]]는 무려 83세까지 생존해 불과 [[명성황후]]보다 불과 5년 전에 [[사망|승하]]하여 '[[조선]] [[역사]]상 제일 장수한 [[왕비]]'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철인왕후가 일찍 [[사망|승하]]한 탓도 있지만 동서([[신정왕후]])와(신정왕후의 남편 [[효명세자|익종]]과 철인왕후의 남편 [[철종(조선)|철종]]은 같은 [[항렬]]이고 더군다나 [[철종(조선)|철종]]이 [[순조]]의 [[양자(가족)|양자]]가 되어 [[족보]]상으로는 [[효명세자|익종]]과 동복 형제이다.) 조카며느리([[효정왕후]])가 유독 장수하여 최소한 12년은 더 살아야 선선선대 [[왕비]]의 죽음을 보고 승급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먼저 [[죽음|승하]]하면서 철인왕후도 [[왕대비]]가 아닌 어정쩡한 '[[대비]]'의 칭호를 받았다. 게다가 [[고종(대한제국)|고종]]이나 [[신정왕후 조씨|신정왕후]]보다 일찍 [[사망|승하]]해 [[왕대비]], [[대왕대비]]가 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대비]](大妃)'로만 남았다.[* 이와 비슷한 사례가 [[조선]] 초 [[성종(조선)|성종]] 연간에 있었다. [[세조(조선)|세조]]비 자성대왕대비([[정희왕후]]) 윤씨와 [[성종(조선)|성종]]의 모후인 인수왕대비([[소혜왕후]]), [[예종(조선)|예종]]비 인혜왕대비([[안순왕후]]) 이렇게 대비 3명이 함께 생존했던 시기가 있었던 것. 하지만 [[인수대비]]와 [[안순왕후|인혜대비]]는 동서지간이고 인수대비의 남편이자 [[성종(조선)|성종]]의 생부인 [[의경세자|도원군]](의경세자)은 [[세자]] 시절 이른 나이에 [[요절]]했으므로 공식적으로 즉위한 적이 없어 특별히 명칭이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다만 [[성종(조선)|성종]]이 즉위할 때 [[대왕대비]] [[정희왕후]]가 [[성종(조선)|성종]]의 [[조선/왕사|정통성]]과 [[조선/왕실|왕실]]의 서열을 고려하여 [[인수대비]]를 [[안순왕후|인혜대비]]보다 위에 두는 것으로 결정하여 자성대왕대비 > 인수왕대비 > 인혜왕대비의 서열이 확정되었다.] * [[원자(왕족)|원자]](元子) [[이융준|융준]]을 잃고서 이후 남편 [[철종(조선)|철종]]이 [[1863년]](철종 14년) [[죽음|승하]]하고 시조카 [[고종(대한제국)|고종]]이 다음 [[조선/왕사|국왕]]에 즉위하자, 그녀는 [[대비]](大妃)가 된 뒤 자식 없이 생활하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하여 [[왕대비]]인 [[효정왕후]]와 함께 어린 [[궁녀]]를 자신의 대비전에서 돌보았었는데 이 아이가 [[조선]]의 마지막 [[궁녀]]인 '''천일청(千一淸) 상궁'''이다. == 대중매체 == 남편 [[철종(조선)|철종]]부터 [[사극]]에 잘 등장하지 않는데다가 설령 [[철종(조선)|철종]]이 등장하더라도 조연 또는 단역 수준으로 [[세도정치]] 시기 고통받는 민초들에 초점이 맞춰졌을 때 잠깐 [[얼굴]]만 비춰지거나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즉위 직전에 골골거리다가 [[사망]]하는 역할로만 나온다. 그러한 입지로 인해 철인왕후도 [[사극]]에서 [[관심]]의 대상이 아니며 자주 등장하지도 않았는데 2020년~2021년까지 방영된 [[tvN]] 드라마 《[[철인왕후(드라마)|철인왕후]]》에서 [[이원범(철인왕후)|남편]]과 함께 [[김소용|주인공]]으로 [[재조명]]된 건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금님의 첫사랑 철인왕후.jpg|width=100%]]}}} || * 1975년 [[동양방송|TBC]] 드라마《임금님의 첫사랑》에서는 아역엔 [[최유리#s-1.4|최유리]]가 연기했고, 성인 역은 [[전영선]]이 연기했다.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옥희 역을 연기한 전영선의 성인 연기 데뷔작이며, 아역인 최유리의 연기가 화제를 모았다. 해당 드라마에서 철인왕후는 첫사랑인 양순이를 못잊어 하는 철종을 걱정하며 양순이를 뒤에서 도와주는 모습이 나온다. 드라마 철인왕후 이전에 방영된 사극들 중에서 철인왕후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풍운 철인왕후.png|width=100%]]}}} || * 1982년 [[KBS]] 드라마 《[[풍운(KBS)|풍운]]》에서는 배우 조남경이 연기했다. 큰 비중은 딱히 없으며 [[원자(왕족)|원자]] [[이융준]]을 잃고 슬픔에 빠진 모습과 [[조선/왕실|왕실]] 사람들과 함께 새로 중건한 [[경복궁]]을 둘러보는 모습이 나온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왕조 오백년 철인왕후.jpg|width=100%]]}}} || * 1990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11부 [[대원군(MBC)|대원군]]에서는 배우 채유미[* 1988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9부 [[한중록(드라마)|한중록]]에서는 [[사도세자]]의 [[후궁]]이자 [[철종(조선)|철종]]의 증조할머니 [[숙빈 임씨]] 역.]가 연기했다. [[철종(조선)|철종]]([[최수종]])의 비가 되었으나 첫날 밤부터 양순이(신윤정)를 잊지 못하는 [[철종(조선)|철종]]에게 소박맞는다. 그래도 항상 남편 [[철종(조선)|철종]]을 생각하며 걱정하는데 [[철종(조선)|철종]]이 죽기 직전에 [[신정왕후 조씨|조 대비]]([[고두심]])가 [[옥새|대보]](大寶)를 챙겨 나가려 하자 "아직 [[철종(조선)|전하]]가 살아있는데 이럴 수 없다"면서 [[눈물]]로 막지만 힘에서 밀려 실패했다. [[고종(대한제국)|고종]]([[김홍석]]) 즉위 이후에는 간간히 [[조선/왕실|왕실]] [[어른]] 1 정도의 단역으로 등장하는데 실제 [[역사]]와는 달리 [[1880년대]]에도 살아있는 것으로 나온다.[* [[갑신정변]], [[경복궁]]에 처음 [[전기]]가 설치되었을 때에도 나온다.] [[대한제국]] 시기까지 생존했던 [[헌종(조선)|헌종]]의 [[왕비]] [[효정왕후]]가 등장하지 않은 것을 보아 [[효정왕후]]의 [[포지션]]도 철인왕후가 담당한 듯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철인왕후(드라마 명성황후).jpg|width=100%]]}}} || * 2001년 [[KBS]] 드라마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는 배우 유혜영이 연기했다. 항상 [[대왕대비]] [[신정왕후 조씨|신정왕후]]([[김용림]]), [[왕대비]] [[효정왕후]]([[김정하]])와 쪼르륵 앉아 맞장구치는 대비 정도의 비중으로 나왔으며 실제 [[역사]]대로 조용하고 유순한 [[성격]]으로 다른 등장 인물들과 마찰을 빚지 않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병에 걸려 시름시름 앓던 중 병수발을 들던 [[명성황후]]([[이미연(배우)|이미연]])에게 "[[철종(조선)|선왕]]은 [[성욕|여색]]을 가까이 해 몸을 버리고 정사를 그르쳤다"며 "[[고종(대한제국)|주상]]([[이진우(배우)|이진우]])이 그런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경계하라"고 조언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김소용|[[파일:철인왕후 김소용 인수타그람.png|width=100%]]]]}}} || * 2020년 [[tvN]] 드라마 《[[철인왕후(드라마)|철인왕후]]》에서는 배우 [[신혜선]]이 연기했다. [[주인공]]이자 역대 최강의 철인왕후 [[캐릭터]]로 철인왕후 김씨를 [[모티브]]로 하는 가공의 등장 인물이다. [[2020년]] [[대한민국]]을 사는 [[남자]] 최고 [[요리사]] [[장봉환]]([[최진혁]])이 [[낙상|불의의 사고]]를 당해서 [[1851년]](철종 2년), [[조선]]의 [[조선/역대 왕비|왕비]] [[철인왕후|김소용]]의 [[몸]]에 깃들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안송 김씨[* [[신 안동 김씨|신 안동 김씨(장동 김씨)]]를 모티브로 하는 가공의 가문.]의 험난한 [[세도정치]] 속에서 남편 [[이원범(철인왕후)|이원범]]([[김정현(1990)|김정현]])을 도와 자기 [[가문]]과 격하게 대립하며 [[역사]]를 크게 뒤바꾼다. 극 중 [[장봉환]]의 성격이 [[주색잡기]]를 밝히는 [[바람둥이]]인데 그 모습이 김소용에게서도 고스란히 묻어 나온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소용)] == 관련 문서 == * [[고종(대한제국)|고종]] * [[고종실록]] * [[김소용]] * [[김조순]] * [[대한제국]] * [[명성황후]] * [[세도정치]] * [[신정왕후 조씨|신정왕후]] * [[원자(왕족)|원자]] [[이융준]] * [[은언군]] * [[전계대원군]] * [[조선/왕사]] * [[조선왕조실록]] * [[창경궁]] * [[창경궁 양화당]] * [[철종(조선)|철종]] * [[철종실록]] * [[효명세자]] * [[효현왕후]] * [[효정왕후]] * [[흥선대원군]] [[분류:조선의 왕비]][[분류:안동 김씨(후)]][[분류:1837년 출생]][[분류:1878년 사망]][[분류:종로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