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장군의 읍면)] ||<-2> '''[[기장군|{{{#000000,#dddddd 기장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철마면}}}'''[br]鐵馬面 | Cheolma-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기장군 철마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기장군 || || '''행정표준코드''' || 3400019 || || '''관할 법정리''' || 11리 || || '''하위 행정구역''' || 22행정리 126반 || || '''면적''' || 53.95㎢ || || '''인구''' || 7,784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44.36명/㎢ || || {{{#ffffff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기장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동만]] ,,(초선),, || ||<-2>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종철 ,,(초선),, || ||<-2> '''기장군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홍복]]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황운철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철마로 485 (와여리 545-5) || || [[https://www.gijang.go.kr/jumin/index.gijang?menuCd=DOM_000000801005000000|철마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서부에 위치한 [[면(행정구역)|면]]. 북쪽은 [[정관읍]], 동쪽은 [[일광읍]]과 [[기장읍]], 서쪽은 [[해운대구]],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와 접한다. 기장군내 읍면에서 면적이 가장 넓다. == 상세 == 면소재지는 와여리이다. 권역이 크게 3개로 나뉘어져 있는데, 모두 '부산의 끝'이라고 부를 수 있는 지역이며 세 지역 사이의 산세가 험준해 부산광역시 경계선 안쪽에서 얼마 남지 않은, 거의 완벽하게 시골 오지의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어느 정도냐면, 시내에서는 [[빛공해]]로 인하여 거의 볼 수 없는 별을 여기서는 맨 눈으로 볼 수 있다! 참고로 면 소재지인 와여리를 비롯한 중앙 지역은 철마천이 흘러 개발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개발도 힘들고, 지형이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기장철마IC]]가 있다는 걸 제외하면 별로 볼 일 없는 동네다. 그나마 이곳에 철마도시농업공원이 들어온다고 한다. 교통 또한 불편해서 이 곳을 훑어주는 시내버스가 하나([[부산 버스 73]])밖에 없다. 그것도 1시간 이상 간격인데다 험준한 갈치고개와 곰내재를 넘어가는 지라 운전이 꽤 힘들다고. 다른 노선들은 전부 철마면사무소만 살짝 서고 지나가든가([[부산 버스 107|107]], [[부산 버스 1008|1008]])[* [[부산 버스 105|105번]]과 [[부산 버스 106|106번]]도 경로상으로는 철마면을 지나가지만 앞의 노선들과는 달리 정관산업로에서 중간에 일반도로로 나와 철마면사무소를 경유하는 게 아니라 '''무정차로 석대사거리까지 간다'''.], 고촌리와 안평리에서 기장읍내로 빠져나간다.[* 36번이라든지, 183번이라든지, [[부산 버스 188|188번]]이라든지...] 그 외에도 면소재지 내의 기장군 소속 마을버스 노선이 단 하나([[부산 버스 기장2-3]]) 밖에 없다![* 이외에는 안평역 근처에 [[부산 버스 기장11]]도 존재. 구해운대11.] 그것도 2017년 기장군 마을버스가 준공영제 되면서 기장군 마을버스가 된 것이였고, 원래는 금정구 마을버스였다. 다만 [[정관산업로]]가 개설되고 자가용으로 이동하기는 좀 편해졌다. 2014년 12월 27일 정관산업로를 경유하여 철마면 웅천리 백길, 석길,와여마을, 대곡마을을 경유하는 [[부산 버스 184|184번]]이 새로 개통되어 교통 불편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다만 면의 중북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철마산을 기준으로 서쪽에 긴 띠를 이루는 지역(임기리, 송정리)은 금정구와 맞닿아 있고 [[7번 국도]]가 지나는 관계로 시골마을 치고는 상당히 발달한 편. 도로가 잘 닦여 있고 시내와의 접근성도 나쁘지 않아 중·상류 가구의 별장이 좀 있다. 조금만 걸어 나가면 시내버스가 많이 다닌다. 물론 정류소가 있는 곳은 행정구역상 기장군이 아니다(…). 여담으로 이 근처로 '''[[KTX]]'''가 지나가기 때문에 소음 공해가 다소 있는 편. 부산시 학생야영수련원이 이곳에 있었다. 부산 시내 중고등학생이라면 한 번쯤 와 봤을 법한 곳. 현재 그 건물은 부산유아체험학습교육원으로 사용 중이다. 원래는 1969년 10월 23일 개교한 기장중학교 철마분교가 있었으나 1993년 3월 1일 폐교되었고 지금은 그 중학교 건물을 고쳐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부산학생야영수련원은 금정구 [[금성동(부산)|금성동]](금성마을) 인근으로 이전되었다. 철마분교의 폐교로 면내에 중학교가 전혀 없게 되면서 한때 고촌, 안평 지역은 [[해운대구]] 반송지역, 나머지는 [[금정구]]의 중학교로 진학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기장군]] 내 다른 지역 중학교에 진학한다. [[한우]]가 특산물이다. 부산과 인근 지역에서는 철마한우라는 브랜드가 어느 정도 알려진 편. 철마한우불고기축제를 매년 장전리에서 개최한다. 2022년 4월 1일자로 일광면이 일광읍으로 승격되면서, 기장군의 유일한 면이 되었다. == 교통 == === 철도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고촌역(부산)|고촌역]] * [[안평역]] * ~~[[안평기지간이역]]~~[* 역 외부로 나가는것이 불가능하다.] === 버스 === ==== 시내버스 ==== * [[부산 버스 36]][*B 고촌리/안평리만 경유] * '''[[부산 버스 73]]'''[*!! '''철마면 구석구석을 [[굴곡 노선/버스|요리조리 쓸고 지나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 [[부산 버스 115-1]][*A 차고지가 철마면 고촌리에 위치.] * [[부산 버스 129-1]][*A] * [[부산 버스 183]][*B] * [[부산 버스 184]] * [[부산 버스 187]][*A][*B] * [[부산 버스 188]][*B] * [[부산 버스 189]][*A] * [[부산 버스 189-1]][*A] * [[부산 버스 107]] * [[부산 버스 1008]] ==== 마을버스 ==== * [[부산 버스 기장2-3]] * [[부산 버스 기장11]] [*B] * [[부산 버스 금정2-2]] * [[양산시 시내버스|양산 버스 동면1]] * [[양산시 시내버스|양산 버스 동면1-1]] ==== 기장군버스 ==== * [[부산 버스 기장1]] (중리행) == 주요 시설 == === 주거 === * [[한국토지주택공사]] / 대보건설 고촌 LH - 2014년 2월 입주. === 공원 === * 철마체육공원(연구리)~~축구장1면~~ == 관할 리 == === 와여리 === 면사무소가 위치한 곳. [[정관신도시]]에서 내려오는 다양한 노선들[* [[부산 버스 1008]], [[부산 버스 107]], [[부산 버스 184]]]이 경유하여 가는 곳이며 멀지 않은 거리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하여 지나가기에 금정구로의 이동도 한결 수월해졌다. 철마 북쪽(백길, 석길, 웅천리)과 서쪽(이곡리, 상신리, 구칠리)의 몇몇 동네를 제외하면 [[교통]]은 철마면에서 가장 좋다. 이 곳에 [[철마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예전엔 건물이 지어진 지 오래되어 협소하고 낡았으나 새로 재건축하여 신설 학교 못지않게 웅장한 건물이 되었다. 또,부산꿈틀어린이텃밭학교가 여기 있다. === 장전리 === 면 서남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산 버스 기장2-3]]이 이 곳을 경유한다. 부산 치유의 숲이 있다. 인적이 굉장히 드문 곳이며, [[선두구동|선동]] 상현마을[* 부산 치유의 숲 진입로다. 다만 늦은 밤이 되면 상당히 음산한 곳이며, 2023년 기준으로 부산 치유의 숲 인근에는 도로 포장이 완료되었고 가로등도 설치되었지만 이남으로 내려가면 아직도 설치되어있지 않아 상당히 어둡다. 따라서 늦은 시간에 자가용으로 이 곳을 지나갈때는 반드시 [[상향등]] 켜고 지나가야 앞이 제대로 보이는 정도다.]과 [[금정체육공원]]과 연결되는 도로가 존재한다. 면사무소와 대곡마을 사이에 철마한우불고기축제 개최지로 사용되는 넓은 공터가 있다. === 백길리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는 [[기장철마IC]]가 있다. [[부산 버스 기장1]] (중리) 경유. === 웅천리 === 이 곳에 철마면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연꽃]][[공원]]이 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면 [[연꽃잎]]이 장관을 이루니 한번 가 보는 것도 나쁘진 않는 듯. 73번과 184번을 타고 찾아갈 수 있다. 기장8경 중 5경에 해당하는 홍연폭포와 트래킹 코스로 좋은 [[아홉산숲]]도 있다. 근처에 [[곰내터널]]이 위치하고 있고 곰내터널을 넘어가면 바로 [[정관신도시]]로 갈 수 있다. 사실상 [[정관읍]]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동네이다. === 연구리 === 과거 학생야영수련원이었던 부산유아교육체험원이 있다. 그 옆엔 기장철마체육공원이 있다. === 구칠리 === [[기장군]]에 존재하는 7개의 [[폐광]]중 하나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 이곡리 === 철마면 내에서 [[교통]]여건이 가장 심각하게 안좋은 동네이다. [[부산 버스 73|73번]]과 [[부산 버스 기장2-3|기장2-3번]][* 하지만 일부 시간대에 온다. ]이 경유하나 [[지선]] 형식으로 들어갔다 돌아나오는 구간(...)이기 때문에 철마면 내에서 대표적인 [[시골]] [[오지마을]] 중 하나이다. 길을 따라 산을 넘으면 [[일광읍]]으로 갈 수 있다. === 고촌리 === 연선인 고촌리에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고촌역(부산)|고촌역]]이 있으며 택지개발이 진행 중이다. 철마면에서 가장 [[아파트]]가 많은 동네. 교통이 철마면 내에서는 좋은 편. (36, 73, 183, 187, 188, 기장11, 도시철도 4호선) === 안평리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종점역인 [[안평역]]과 [[안평차량기지]]가 있다. [[기장군]]과 [[해운대구]]를 이어주는 길목. 바로 옆 고촌리와는 '''고촌주택단지'''로 연담화되어 있다. 2015년 10월 시점에서 주택단지 개발이 거의 다 완료되어 가는 시점이라 철마면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동네가 되었다. [[부산 버스 73|73번]]을 타고 가다보면 자전거 코스로 유명한 갈치고개가 나온다. === 임기리 === 면 서쪽에 있는 실질[[월경지]]1 [[7번 국도]] 연선에 있어 철마면 다른 곳보다 [[웅상]]이나 [[노포동]] 쪽으로 가기가 훨씬 쉽다. === 송정리 === 철마면 서북측에 있는 실질월경지2.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양산)|동면]] 여락리, 남쪽으로는 송정천을 경계로 [[금정구]] [[선두구동]]과 접해있다. 송정리는 리(里)의 남서쪽, 즉 상술한 지역과의 접경지 인근에 시장을 비롯한 대부분의 주거 및 편의시설이 몰려있는 경향을 보이며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야산(철마산)이다. 또한 송정리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의 노선들이 송정리를 직,간접적으로 경유하며, 모든 노선이 [[노포역]]([[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경유하기 때문에 고촌리, 안평리를 제외한 철마면 지역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산 도시철도|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용이한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송정리 내부를 경유하는 노선> * [[부산 버스 금정2-2]] * [[부산 버스 기장2-3]] * [[양산시 시내버스|양산 버스 동면1]], * [[양산시 시내버스|양산 버스 동면1-1]] <간접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노선('동면우체국' 정류장)> * [[부산 버스 37]] * [[부산 버스 50]] * [[양산 버스 17]] * [[양산 버스 58]] * [[부산 버스 1002]](심야) == 출신 인물 == * [[오규석]](와여리) * [[정종복(1954)]] [[분류:기장군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