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단명 ||'''철도청 야구단''' || || 모기업 ||[[대한민국 철도청]] || || 창단 ||[[1913년]]^^([age(1913-01-01)]주년)^^ || || 실업 전환 ||[[1946년]] [[4월 18일]]^^([age(1946-04-18)]주년)^^ || || 해체 ||[[1978년]]^^([age(1948-01-01)]주년)^^ || || 구단명 변천 ||철도 구락부(1913~1945)[br]철도국 야구단(1946~1962)[br]철도청 야구단(1963~1979)[br]철우 야구단(1977)[br][[홍익회]] 야구단(1978) || [목차] [clearfix] == 개요 == 1913년부터 1978년까지 존속했던 야구단이다. == 상세 == [[일본인]] 오지마(大島勝太郞)가 쓰고 당시 철도도서관 주사(主事)인 임정일씨가 서문을 작성한 《조선 야구사》에 따르면 최초 창단은 [[1913년]] 봄에 이뤄 졌으며 그다음해인 [[1914년]]에 조선야구대회 우승을 차지했다고 한다. 그리고 각 부서별로 야구단이 있어서 철도 구장에서 부서대항 야구대회가 열렸다고 기록되어있다. 해방 이전 철도 야구단은 조선 야구단을 대표하는 명문 구단 중 하나였으며 [[평양]]에도 철도야구단이 있었다고 한다.[* 해방 후 야구는 "자본주의"스포츠라며 강제 해산됐다고 한다.] || [[파일:attachment/korailbaseball1956.jpg|width=500]] || || [[1956년]] [[4월 18일]], 철도청 창단식 || 해방 후 [[1946년]]에 철도국이던 시기에 [[실업야구]]단으로 창단했고 [[1960년대]] 실업야구연맹의 발족 후 철도청으로 재창단했다. [[1977년]] 철우회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78년]] 자회사인 [[홍익회]]로 구단을 이관했으나 그 해 해체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의 성적은 저조했다. 해체하기 전 3시즌 연속 승률이 3할을 못넘었다. 그럴 만도 한 것이 굴지의 재벌인 [[롯데 자이언트|롯데]], [[포스틸 야구단|포철]]이 새로 야구단을 창단하면서 학생야구 유망주들을 싹쓸이한데다가, 홍익회는 당시 실업 야구단 중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선수들의 신분이 정규직이 아닌 임시직이었다고 한다. 승리 수당은 당연히 없었고.--[[열정페이]]-- == 여담 == * 한국 야구사 최초의 언더핸드 투수인 남궁택경[* 남궁택경의 조카 남궁성우도 홍익회 야구단에서 뛰었으며 남궁성우의 아들 남궁훈(개명 전 남궁지훈)도 야구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샌디에이고 파드레스]]의 스카우트가 됐다. 남궁훈과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정보고]] 동기 투수가 [[류제국]]이다.]이 이곳에서 에이스로 활약. * 삼미-청보(1983~85)와 롯데(1990)감독을 역임한 [[김진영]]은 [[김경기]] 부친으로 철도국 야구단 1960~63년, 1963~64년 철도청이 [[국토교통부|교통부]] 외청이 되면서 철도청 야구단으로 뜀. * OB내야수 [[유지훤]]은 대광고 졸업 후 1975~76년 철도청에서 뜀. * KBO 최초의 투수 골든글러브 수상자 OB 투수 [[황태환]]은 철도고 졸업 후 1973년 철도청 야구단 입단 후 육군 경리단 제대 후 1976년 철도청 복귀 후 1977년 한양대 진학. * [[금광옥]]은 동산고 졸업 후 1975~76년 철도청에서 뜀. * [[임호균]]은 인천고 졸업 후 1975년 철도청에서 뛰다 1976년 부산 동아대로 진학. * 1975년 유지훤, 금광옥, 임호균 1976년 유지훤, 금광옥, 황태환 뜀. * 1982년 원년 개막전 구심으로 유명한 [[김광철]]은 성남고 졸업 후 1966~70년 철도청에서 뛴 후 육군 경리단 제대 후 철도청 복귀 후 1972~73년까지 우익수로 활약. == 관련 문서 == * [[한국실업야구]] * [[한국실업야구/역대 참가 구단]] [[분류:대한민국 철도청]][[분류:대한민국의 해체한 실업 야구단]][[분류:1913년 창단]][[분류:1978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