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철도 기관사]], 철도 관제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철도공학과]]는 철도 교통, 철도 기계 공학 연구, 철도 제작에 집중된 학과로써 철도운전관제과와 연계되는 전공이지만 철도 기관사, 철도 관제사 면허를 얻는 것이 다르다. 하지만 철도운전관제과를 재학을 한다 해서 면허시험 및 취득을 할수있는 조건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취득을 하려면 철도차량 운전면허 및 철도관제자격증명서 관련 교육훈련기관에 입교를 하여 [[철도안전법]]의 국토교통부령에 따른 교육과정을 이수를 해야 면허시험 및 취득이 가능하다. 따라서 철도운전관제과는 학생들의 철도차량 운전면허, 철도관제자격증명서 취득 및 해당 교육훈련기관의 입소를 도와주는 성격이지 교육훈련기관의 성격과는 매우 다르다. 애초에 철도운전관제과 학생은 대학생활+교육기관 교육훈련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철도운전관제과의 교육훈련기관은 법대생의 로스쿨과 같은 인식이다.] 교육훈련기관 교육생 선발시험의 불합격의 이유로 교육훈련을 이수를 하지 못하면 철도운전관제과의 재학의 이유가 없어진다.[* 한국교통대학교의 경우는 철도공학부의 철도운전시스템전공에 재학을 하는 학생은 교육과정에 교육훈련도 포함이 되어있어 이 학과에 입학을 하는것은 즉 교육훈련기관에 입소를 하는것과 마찬가지이다.[* 등록금에 교육훈련비 까지 같이 포함이 되어 타 철도전공 및 학과에 비해 등록금이 비싸다. ] 따라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철도종사자 신체검사와 적성검사만 합격한다면 교육훈련기관 입소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교육훈련기관의 입교시험은 철도운전관제과 학생만 자격이 주어지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철도운전관제과가 설치가 된 대학의 경우는 해당 대학에 소속이 된 모든 재학생 혹은 일반인도 같이 자격이 주어진다. 따라서 경쟁에 밀려 입교시험에 탈락을 하여 교육을 이수하지 못한다면 면허시험도 못치고 그대로 졸업을 하여 철도 기관사 및 철도 관제사가 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잦다. 이러한 사례는 철도운전관제과 뿐만이 아닌 [[항공운항과]] 및 [[항해학과]]에서도 이런 현상이 다반사 이다.] [[철도 파업]]시에는 이들이 대체 운송인력으로 투입된다고 한다. 교육훈련기관에 대한 현황 및 위치 등 자세한 내용은 [[철도차량 운전면허]] 참조. == 교과목 == 학부과정은 철도차량운전면허 외의 전기, 기계, 전자, 토목, 경영, 물류 등도 같이 배우지만 철도차량운전면허 관련 교과목만 서술한다. 자세한건 [[철도차량 운전면허]] 항목을 참고 === 철도교통관제사 === 철도교통관제 이론관련 교과목이다. 학교 내의 면허기관에 입교하려면 해당 과목들을 수강해야 한다. * 관제관련규정 * 철도교통관제운영 * 철도시스템일반 * 철도관련법 * 비상시 조치(관제) === 제2종전기차량운전면허 === 전기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자격인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의 필기관련 교과목이다. 학교내의 면허기관에 입교하려면 해당 과목들을 수강해야 한다.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 운전이론 일반 * 도시철도시스템 일반 * 철도관련법 * 비상시 조치 등 == 철도차량 운전 및 관제 관련 학부가 설치된 대학 == 주로 제2종 전기철도차량 운전면허와 관련된 교과과정과 편성하였다. 하지만 아래에 언급한 대학의 학부 외 [[철도공학과]]에서도 학부 교과과정에 제2종 전기철도차량 운전면허관련 과목을 편성하여 관련 면허취득에 도움을 주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에 신설 된 철도운전관제시스템학과에서는 운전 및 관제를 복합 전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였다. 또한, 송원대학교와 한국교통대학은 제2종전기차량운전면허 및 철도교통관제사자격증명 전문교육훈련기관을 보유하고있다. === 4년제 대학 === || [[경일대학교]] || SMART인프라대학 || 철도학부 || || [[동양대학교]] || 철도대학 || 철도운전관제학과, 철도운전제어학부 || || [[송원대학교]] || 철도대학 || 철도운전시스템학과, 철도운전 ㆍ관제시스템학과[* 2022년 신설] || || [[우송대학교]] || 철도물류대학 ||철도건설시스템학부, 철도시스템학부, 철도경영학과, 철도물류시스템학과, 철도차량시스템학과 || ||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한국교통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학부/철도대학|철도대학]] || 철도공학부 철도운전시스템전공 || === 전문 대학 === || [[가톨릭상지대학교]] || 철도운전과 || || [[경북전문대학교]] || 철도전기기관사과 || || [[대원대학교]] || 철도운전경영과 [* 2020년 신설.] || || [[우송정보대학]] || 철도기관사전공[* 운전면허 취득을 원하는 철도관련학과 학생들은 따로 면허과목들을 수강신청한 후 입교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 == 철도관제 관련 학부가 설치가 된 대학 == === 4년제 대학 === || [[동양대학교]] || 철도대학 || 철도운전제어학과[* 교육과정에 관련 교과목 있음], 철도관제정보학과[* 2021년 신설.] || || [[송원대학교]] || 철도대학 || 철도운전시스템학과, 철도운전.관제시스템학과[* (2022년 신설)], 철도차량.전기시스템학과, 철도운전경영학과 || === 전문 대학 === [[분류:학과]][[분류: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