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바둑 기전)] {{{+1 天台山世界女子围棋团体锦标赛 }}} * 주관: [[중국기원]] * 주최: 저장 성 타이저우 시 톈타이 현 인민정부 * 후원: 1,2회때는 화정차업, 3회 때는 갈현녹차. 2018년(7회)는 삼연양범. 앞의 대회 때를 제외하면 천태농상은행 * 제한시간: 각자 2시간, 60초 [[초읽기]] 5회 * 상금: [[우승]] 30만 [[위안]], [[준우승]] 15만 위안, 3위 10만 위안, 4위 5만 위안 * 방식: 3인 단체전, 풀리그. 각 지명끼리 맞대결. 팀 승수 > 개인 승수 > 주장전 승수 > 2지명 승수 > 3지명 승수 순으로 우승자. [목차] == 개요 == [[중국기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바둑 기전]]. [[여자]] [[바둑]] 단체전이다. == 상세 == [[2012년]] 창설된 이후 후원사가 자주 바뀌어서 대회 이름도 왔다갔다한다. 1, 2회 때는 화정차업배. 3회 때는 갈현녹차, 4회때부터 현재의 천태산농상은행배. 7회에 와서 천태산삼연양범배가 되었다. 대국장소는 중국 절강성의 천태현이다. == 대회 진행 == * [[2018년]] : [[제7회 천태산삼연양범배 세계여자단체전]](선발전 3. 26~27, 대회기간 5월 10~12일) : 스폰서가 바뀌면서 천태산삼연양범(...)배가 되었다. ||<:><-5>선발전대진표|| ||<:>선발전라운드||<:><-2>대진1||<:><-2>대진2|| ||<:>1R||<:>'''김다영'''||<:>오정아||<:>'''김채영'''||<:>조혜연|| ||<:>2R||<:><-2>김다영||<:><-2>'''김채영'''|| ||<:>진출자||<:><-4>김채영|| * [[2019년]] : [[제8회 천태산배 세계여자단체전]](선발전 3. 18~20, ) ||<:><-7>선발전 <랭킹시드 최정 / 상비군시드 오유진>|| ||<:>선발전라운드||<:>대국자1||<:>결과||<:>대국자2||<:>대국자1||<:>결과||<:>대국자2|| ||<:>1R||<:>'''김윤영'''||<:>260수 백 불계승||<:>김다영||<:>'''조승아'''||<:>226수 백 불계승||<:>김혜민|| ||<:><|3>2R||<:>대국자1||<:><-2>김윤영||<:><-3>조승아|| ||<:>결과||<:><-2>231수 흑 불계승||<:><-3>185수 흑 불계승|| ||<:>대국자2||<:><-2>'''김채영'''||<:><-3>'''오정아'''|| ||<:><|2>3R||<:><-2>대국자1||<:><-2>결과||<:><-2>대국자2|| ||<:><-2>'''김채영'''||<:><-2>169수 백 불계승||<:><-2>오정아|| === 7회 대회 일람 === 한국 출전자 : 김채영(선발전 통과자) / 최정(랭킹 시드) / 오유진(국대 시드) * 제한시간 2시간 / 초읽기 1분 5회 / 우승 상금 30만 위안 * 1차전 (5월 10일) ||<:> 한국 ||<:> 중국 ||<:> 결과 ||<:> 일본 ||<:> 대만 ||<:> 결과 || ||<:> 최정 ||<:> 위즈잉 ||<:> [[위즈잉]] 흑 불계승 ||<:> 셰이민 ||<:> 헤이자자 ||<:> [[헤이자자]] 흑 불계승|| ||<:> 오유진 ||<:> 루이나이웨이 ||<:> [[루이나이웨이]] 백 불계승 ||<:> 후지사와 리나 ||<:> 양쯔쉔 ||<:> [[양쯔쉔]] 백 불계승|| ||<:> 김채영 ||<:> 리허 ||<:> [[김채영]] 백 0.5집 승||<:> 우에노 아사미 ||<:> 장카이신 ||<:> [[우에노 아사미]] 백 불계승|| ||<:>국가||<:>당일 결과(승패 수)|| ||<:>중국||<:>2-1 || ||<:>대만||<:>2-1 || ||<:>일본||<:>1-2 || ||<:>한국||<:>1-2 || * 2차전 (5월 11일) ||<:> 한국 ||<:> 일본 ||<:> 결과 ||<:> 중국 ||<:> 대만 ||<:> 결과 || ||<:> 최정 ||<:> 셰이민 ||<:> [[최정(바둑기사)|최정]] '''319수''' 흑 불계승 ||<:> 위즈잉 ||<:> 헤이자자 ||<:> [[위즈잉]] 215수 흑 불계승 || ||<:> 오유진 ||<:> 후지사와 리나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230수 백 불계승 ||<:> 루이나이웨이 ||<:> 양쯔쉔 ||<:> [[루이나이웨이]] 144수 백 불계승 || ||<:> 김채영 ||<:> 우에노 아사미 ||<:> [[김채영]] 117수 흑 불계승 ||<:> 리허 ||<:> 장카이신 ||<:> [[리허]] 149수 흑 불계승 || 최정 대국이 '유일하게 300번대 착수 후 불계'가 된 케이스.(현재 대회 내 기준) ||<:>국가||<:>당일 결과(승패 수)||<:>누적 결과(승패 수)|| ||<:>중국||<:>3-0||<:>5-1|| ||<:>한국||<:>3-0||<:>4-2|| ||<:>대만||<:>0-3||<:>2-4|| ||<:>일본||<:>0-3||<:>1-5|| * 3차전 (5월 12일) ||<:> 한국 ||<:> 대만 ||<:> 결과 ||<:> 중국 ||<:> 일본 ||<:> 결과 || ||<:> 최정 ||<:> 헤이자자 ||<:> [[최정(바둑기사)|최정]] 218수 백 2.5집 승 ||<:> 위즈잉 ||<:> 셰이민 ||<:> [[위즈잉]] 216수 백 불계승 || ||<:> 오유진 ||<:> 양쯔쉔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187수 흑 불계승 ||<:> 루이나이웨이 ||<:> 후지사와 리나 ||<:> [[후지사와 리나]] 백 0.5집 승 || ||<:> 김채영 ||<:> 장카이신 ||<:> [[김채영]] 170수 백 불계승 ||<:> 리허 ||<:> 우에노 아사미 ||<:> [[우에노 아사미]] 251수 흑 불계승 || 바둑TV는 당일 아침부터 오유진 : 장카이신이라고 자막에 표기했다(...) 심지어 김채영은 이름도 안 내보냈다. ||<:>국가||<:>당일 결과(승패 수)||<:>누적 결과(승패 수)|| ||<:>한국||<:>3-0||<:>7-2|| ||<:>중국||<:>1-2||<:>6-3|| ||<:>일본||<:>2-1||<:>3-6|| ||<:>대만||<:>0-3||<:>2-7|| * 최종 순위(괄호는 총합 승패 수) * 1위 : [[한국]](2승 1패 개인승수 7-2) * 2위 : [[중국]](2승 1패 개인승수 6-3) * 3위 : [[일본]](1승 2패 개인승수 3-6) * 4위 : [[대만]](1승 2패 개인승수 2-7) * 3전 전승 : [[김채영]] (한국 3장) // [[위즈잉]] (중국 1장) * 3전 전패 : [[셰이민]] (일본 1장) // [[장카이신]] (대만 3장) === 8회 대회 일람 === 한국 출전자 : 김채영(선발전 통과자) / 최정(랭킹 시드) / 오유진(국대 시드) * 대국 규칙은 전회 대회와 같다. ---- * 1R (5. 10 13:00)[* 바둑TV배 마스터스 32강 이지현-박상진 대국이 이날 진행된다] - 한국 3승 / 대만 2승 1패 / 일본 1승 2패 / 중국 3패 ||<:> 한국 ||<:> 중국 ||<:> 결과 ||<:> 일본 ||<:> 대만 ||<:> 결과 || ||<:> 최정 ||<:> 위즈잉 ||<:> 최정 흑 불계승||<:> 후지사와 리나 ||<:> 헤이자자 ||<:> 헤이자자 흑 2.5집 승 || ||<:> 김채영 ||<:> 루민취안 ||<:> 김채영 백 불계승 ||<:> 우에노 아사미 ||<:> 양쯔쉔 ||<:> 양쯔쉔 백 불계승 || ||<:> 오유진 ||<:> 왕천싱 ||<:> 오유진 흑 불계승 ||<:> 셰이민 ||<:> 위리쥔 ||<:> 셰이민 백 불계승 || * 2R (5. 11 13:00) - 한국 6승 / 중국 3승 3패 / 대만 2승 4패 / 일본 1승 5패 ||<:> 한국 ||<:> 대만 ||<:> 결과 ||<:> 일본 ||<:> 중국 ||<:> 결과 || ||<:> 최정 ||<:> 헤이자자 ||<:> 최정 승 ||<:> 후지사와 리나 ||<:> 위즈잉 ||<:> 위즈잉 승 || ||<:> 김채영 ||<:> 양쯔쉔 ||<:> 김채영 승 ||<:> 우에노 아사미 ||<:> 루민취안 ||<:> 루민취안 승 || ||<:> 오유진 ||<:> 위리쥔 ||<:> 오유진 승 ||<:> 셰이민 ||<:> 왕천싱 ||<:> 왕천싱 승 || * 3R (5. 12 13:00) - 한국 9승 / 중국 6승 3패 / 대만 2승 7패 / 일본 1승 8패 ||<:> 한국 ||<:> 일본 ||<:> 결과 ||<:> 대만 ||<:> 중국 ||<:> 결과 || ||<:> 최정 ||<:> 후지사와 리나 ||<:> 최정 승 ||<:> 헤이자자 ||<:> 위즈잉 ||<:> 위즈잉 승 || ||<:> 김채영 ||<:> 우에노 아사미 ||<:> 김채영 승 ||<:> 양쯔쉔 ||<:> 루민취안 ||<:> 루민취안 승 || ||<:> 오유진 ||<:> 셰이민 ||<:> 오유진 승 ||<:> 위리쥔 ||<:> 왕천싱 ||<:> 왕천싱 승 || == 역대 우승 == ||<:> 회차 ||<:> 후원사 ||<:> 연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 ||<:><|2> 화정차업 ||<:> [[2012년]] ||<:> [[한국]] ||<:> [[중국]] ||<:> [[일본]] ||<:> [[대만]] || ||<:> 2 ||<:> [[2013년]] ||<:> [[한국]] ||<:> [[중국]] ||<:> [[일본]] ||<:> [[대만]] || ||<:> 3 ||<:> 갈현녹차 ||<:> [[2014년]] ||<:> [[중국]] ||<:> [[한국]] ||<:> [[일본]] ||<:> [[대만]] || ||<:> 4 ||<:><|3> 천태산-농상은행 ||<:> [[2015년]] ||<:> [[중국]] ||<:> [[한국]] ||<:> [[일본]] ||<:> [[대만]] || ||<:> 5 ||<:> [[2016년]] ||<:> [[중국]] ||<:> [[한국]] ||<:> [[대만]] ||<:> [[일본]] || ||<:> 6 ||<:> [[2017년]] ||<:> [[한국]] ||<:> [[중국]] ||<:> [[일본]] ||<:> [[대만]] || ||<:> 7 ||<:> 천태산-삼연양범 ||<:> [[2018년]] ||<:> [[한국]] ||<:> [[중국]] ||<:> [[일본]] ||<:> [[대만]] || ||<:> 8 ||<:> 천태산-체채 ||<:> [[2019년]] ||<:> [[한국]] ||<:> [[중국]] ||<:> [[대만]] ||<:> [[일본]] || [[분류:바둑 기전]][[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